• 제목/요약/키워드: tutoring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초

기업 내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학습양식, 튜터기능, 학습성취도의 상관관계 (Interrelation among Learning Style, Tutoring Fun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nterprise e-learning Environment)

  • 유규식;최인준;한성년
    • 산업공학
    • /
    • 제19권4호
    • /
    • pp.324-332
    • /
    • 2006
  • It is believed that each learner has a preferred method to acquire and manage knowledge according to her/his learning style which influences learning achievement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tistically analyz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learning styles, tutoring func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e-learning environment. 524 survey results from participants of enterprise e-learning classes are classified into total group and superior group. T-Test and ANOVA analyses are carried between learning styl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utoring func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dividual learning styles do not contribute to learning achievement while they are strongly related to preferences for some of tutoring function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dentify limitation of current e-learning practice and design better e-learning systems, especially, supporting appropriate tutoring functions for different types of learners.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 최원영;김혜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63-274
    • /
    • 2014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First, we classified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applied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to the test group. According to results,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pre-survey and the post-survey were conducted to the test group. The survey contains five categories including 1)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2) learn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 3) the intention of the continual learning Mathematics, 4) th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5) general Mathematics learning satisfaction. We found some fac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urveys. Th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after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the test group. Even though this trend has not changed regardless of sex, high school levels and teaching understanding.

학습자 행위 선호도에 기반한 적응적 학습 시스템 (An Adap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Learner's Behavior Preferences)

  • 김용세;차현진;박선희;조윤정;윤태복;정영모;이지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19-525
    • /
    • 2006
  • Advances i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ncreasingly reveal the potential of computer supported education. However, most computer supported learning systems until recently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s adaptive to learner's preferences and tasks are desired. Each learner has different preferences and needs, so it is very crucial to provide the different styles of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that are more preferred and more efficient to them. This paper reports a study of the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s preferences are diagnosed using learner models, and then user interfaces are customized in an adaptive manner to accommodate the preferences. In this research, the learning user interfaces were designed based on a learning-style model by Felder & Silverman, so that different learner preferences are revealed through user interactions with the system. Then, a learning style modeling is done from learner behavior patterns using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approaches. In this way,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daptive to learning styles can be built. Further research efforts are being made to accommodate various other kinds of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 and motivation as well as learning mastery in providing adaptive learning support.

  • PDF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동료 교수법이 컴퓨터 실기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iendship-Based Peer Tutoring on the Achievement of Computer Literacy Instruction)

  • 박재득;김민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실기 교과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료교수법을 도입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동료 교수법이 강의식 교수법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급우 관계에 의해 학생들이 희망하는 짝을 동료로 구성하는 방식이 기존의 성적 위주의 동료 구성 방식과 비교할 때 학업성취도 효과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기 위주의 컴퓨터 소양 교육에서 동료 교수법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동료 교수법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방식은 실험 처치 초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차이를 보였으나, 처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료 간 친밀도가 갖는 효과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컴퓨터 운영체제 실습 수업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cused on Application Practices in Computer Operating System Lab Education)

  • 이만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1-70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교 컴퓨터 실습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습자의 적극적인 활동과 상호 교수를 통한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상호 동료 교수 모형(Reciprocal Peer Tutoring)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운영체제를 교육함에 있어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최소한의 준비 과정으로 단기간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학년 61명의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습자의 반은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나머지는 일반 교육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동료 교수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가 높은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 및 교수 만족도도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상호 동료 교수 모형 적용법은 실제 대학 실습 교육 현장에 쉽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이용한 사교육비 지출의 성적 향상효과 분석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on Acade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강창희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2호
    • /
    • pp.139-171
    • /
    • 2012
  • 본 논문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이 어느 정도의 성적 향상효과가 있는지를 추정한다. 사교육비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본 논문은 도구변수법과 비모수 구간추정법(nonparametric bounds analysis)을 사용한다. 분석 결과, 두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사교육비 지출의 증가가 유의미한 정도의 성적 향상으로 연결된다는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다. 도구변수법의 결과에 의하면, 10% 높은 사교육비 지출은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을 각각 약 1.24%, 1.28%, 0.75% 향상시킨다. 구간추정법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 모두 10% 증가된 사교육비 지출의 효과가 0보다 크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 본 논문의 실증 결과는 내생성을 통제한 여타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증가에 따른 가구의 소비지출 변화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n the change of consumption structure of households depending on income bracket)

  • 백학영;안서연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9-47
    • /
    • 2012
  • 본 연구는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과 다른 소비지출과의 관계와 소득계층에 따른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층의 사교육비 지출 수준은 중산층과 상층가구에 비해 적을지라도,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게 나타난다. 또한 가구의 사교육비 비중이 증가 또는 감소로 인해 조정되는 소비 비목은 소득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즉 중산층과 상층은 사교육비 비중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다른 소비를 조정하는 반면, 빈곤층은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소비 항목에 제약이 있었다. 이는 빈곤층은 사교육비 지출로 인한 소비지출의 제약으로 인해 생활에 필요한 충분한 소비를 하지 못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빈곤층 가구에서 사교육비 지출은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구 소비의 위축을 가져와 실질적인 경제적 안녕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빈곤층의 사교육비 부담과 지출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 안녕의 훼손과 불안정한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 정미진;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127-153
    • /
    • 2011
  • 수학학습에서의 개인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가 교실에서 이뤄지는 또래교수이다. 일반적으로 또래교수는 기본학습과정을 먼저 끝낸 학습우수아가 기본학습과정을 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습부진아를 도와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또래학습에 관한 연구가 또래교사보다는 또래학습자의 학습에 초점을 맞춰왔고 이런 이유로 부진아 지도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연구되어졌다. 그러나 또래교수가 학습 부진아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지라도 또래교사에게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할 뿐 아무런 이득이 되지 않는다면 효율적인 교수학적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고 윤리적이지도 못하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또래교수가 이뤄지기 전과 후의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KLIPS Using A Polarization Index and Gini Coefficient)

  • 양정호;한희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139-315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의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교육비 지출 격차에 대한 추이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분석대상은 해당 년도마다 한국노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약 1,300개에서부터 1,800개 가구이다. 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2001년도 이후 사교육비 지출은 계속적으로 늘었으며, 5분위 집단으로 나눈 집단간 비교에서도 사교육비 지출에 격차가 크게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교육비 지출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적은 1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만원에 머무르고 있는데 반해서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0만원을 넘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교육비 지출 1분위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격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최근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를 브라운지수평활방법을 이용해 5년간을 예측한 결과는 사교육비 양극화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비에 대한 교육정책 수립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