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qual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옥상 잔디녹화시 Heating system의 효과 (Effect of Heating system on Roof garden for Turf growth)

  • 고석구;신홍균;태현숙;김용선;안길만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9-286
    • /
    • 2009
  • 빌딩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할 목적으로 동절기 옥상정원에서 푸른 잔디를 유지하기 위한 잔디생육시험을 실시하였다. 옥상정원 지반에 Heating system을 설치하여 시기별 잔디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울철 옥상녹화 지반을 heating처리한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잔디품질 및 피복률이 우수하였으며, 잔디의 뿌리길이, 잔디밀도가 모두 상승하였다. 표면온도를 비교한 결과, heating지반의 온도는 평균 $10.9^{\circ}C$$0^{\circ}C$를 유지하였던 무처리 지반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나, 수분함량은 평균 1.9% 낮아진 것은 $10.9^{\circ}C$로 유지된 지온으로 인해 수분증발이 계속 이루지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적설량이 15cm 이상 쌓인 상황에서, 히팅 시스템이 설치된 잔디밭에서는 4일만 눈이 완전히 녹았으나 대조구에서는 적설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Heating system의 보일러 수온을 $55^{\circ}C$에서 $60^{\circ}C$로 높이자, 잔디는 건조 스트레스를 받아 잎끝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났다. 앞으로 옥상정원에서의 잔디 재배과 관계된 세부적인 생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모래 토양에서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 뗏장의 피복도, 균일도, 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 비교 (Comparison of Establishment Vigor, Uniformity, Rooting Potential and Turf Qualtiy of Sods of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and Cool-Season Grass Mixtures Grown in Sand Soil)

  • 김경남;박원규;남상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9-146
    • /
    • 2003
  •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의 뗏장실험 결과 파종 후 피복도, 균일도, 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간 피복도 경향은 초기에는 발아속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후기에는 생장습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파종 후 6주까지는 발아속도가 가장 빠른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피복도가 가장 양호하였고, 톨훼스큐는 중간 정도, 그리고 발아속도가 느린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하지만, 파종 후 7주정도 지나서는 퍼레니얼라이그라스나 톨훼스큐에 비해 켄터키블루그라스의 피복도 향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조성 후기에 피복도 경향이 달라지게 된 것은 켄터키블루그라스의 경우 생육형이 R-type으로 발아 후 생장이 직립경과 지하경으로 둘 다 가능함으로 생장속도가 빨라지면서 잔디면 피복이 빠르게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초기 피복도가 양호한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연약한 줄기조직으로 인해 병에 쉽게 걸려 밀도가 떨어졌고, 톨훼스큐는 저온에 약한 특성으로 인해 생장 속도가 저조해지면서 피복도가 떨어졌다. 3. 뗏장의 균일도가 가장 우수한 종류는 켄터키블루그라스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R-type으로 지하경 포복으로 낮게 자라는 습성 및 질감이 고운 세엽 특성 때문이었다.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톨훼스큐의 중간 정도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B-type으로 생장이 직립경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줄기간의 초장 차이가 크게 나타나면서 균일도가 다소 떨어졌다. 그리고 단일 초종구 중 톨훼스큐의 균일도가 가장 불량하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B-type으로 직립경으로 생장하고, 또한 질감이 거칠은 광엽 특성과 함께 신초의 전개 각도가 넓어 잔디면이 북더기 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었다. 혼합구 균일도는 색상, 밀도, 질감 및 생육형 등의 특성이 서로 다른 여러 초종이 혼합되었기 때문에 단일 초종 보다 낮았다. 따라서 균질의 품질을 기대 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혼합(mixture)하여 파종하는 것보다는 단일 초종을 사용 (blend)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4. 또한, 혼합구의 경우 단일 처리구에 비해 신초 출현 시 경합이 강하게 나타났다. 혼합구에서 켄터키블루그라스의 신초 발생 속도는 켄터키블루그라스 100% 단일종으로만 식재한 것에 비해 30∼40% 정도 느렸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도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00% 단일종류에 비해 20∼30%정도 늦었다. 따라서, 뗏장 재배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천편일률적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컨셉에 따라 적절하게 초종 및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뗏장의 뿌리 형성 능력은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좋았고, 가장 저조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뗏장 형성 능력은 초종의 혼합비에 따라 뿌리 형성력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뿌리 형성 능력은 증가하였다. 6. 뗏장 수확시 잔디 품질은 단일 초종구의 품질이 혼합구에 비해 양호하였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고,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 다음으로 중간정도, 그리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균일한 잔디 면, 고밀도 및 예초 후 상태가 우수한 특성으로 품질이 양호하였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품질이 저조하였던 것은 초장이 길어 잔디 면이 누운 상태로 나타나 균일도 저하 및 예초 후 품질이 켄터키블루그라스나 톨훼스큐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혼합구의 품질은 여러 종류가 혼합됨으로 인해 색상 및 밀도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또한 예초 시 물결처럼 불균일하게 깎여 잔디 표면이 불량하였기 때문이었다. 7. 골프장이나 경기장 기본 설계 시 초기 피복도 및 뿌리 형성력이 양호한 특성만을 고려해서 퍼레니얼라이그라스위주로 결정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우수한 잔디 품질을 원할 경우 퍼레니얼라이그라스보다는 켄터키블루그라스 위주의 파종이 더 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왜냐하면 조성 후 품질, 뿌리생육 및 환경 적응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잔디 적응력은 켄터키블루그라스가 가장 양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프장이나 경기장 건설 시 초종 선택은 기후, 지형, 인프라, 식생 지반, 장비, 관리 수준, 관리예산 및 기술인력 등의 현장 분석 및 조성 후 잔디품질의 기대수준, 잔디사용정도 및 운영방향 등의 장기적인 컨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중합물이 토양의 입단화와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valuating the Influence of Liquid Organic Polymer on Soil Aggregation and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 이상국;데이브 미너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72
    • /
    • 2011
  • 토양입단화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활발한 과정이다. 토양입단화를 통해서 생성된 토양공극은 토양에서 공기와 물의 순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 안정화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은 많은 연구결과에서 보고가 된 바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화와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유기중합물의 세가지 농도가 적용이 되었으며 실험을 위해 두가지 토양이 사용이 되었다. 첫번째 토양으로 4.0%의 유기물이 함유된 양토가 건조된 후 사용이 되었으며 두번째 토양으로 점토가 사용이 되었다. 유기중합물 처리에 따른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색, 품질,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중합물이 토양입단화에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의 구체적인 실증을 위해서 필드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인천국제공항 착륙대 녹지지역의 잔디식재를 위한 한국잔디류 시공법 비교 (Comparison of Construction Methods with Zoysiagrass at the New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이상국;이정호;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3
    • /
    • 2002
  • The back-filled soil of the New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site was reclaimed with sea sand in near the Young-Jong island. The primary stud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93 to June 1997 to study soil amendment and to select salt resistance turfgrass species. This study dealt with low maintenance area that included most part of open space of airport site. The second experiment, from October 1996 to August 1998, focused on soil amendment and selection of turfgrass species for alongside runway where turf area was maintained. Through two previous studies, propagation methods with zoysiagrass were tested for alongside runway and surrounding areas at 1998. The study of construction methods with zoysiagrass, vegetative propagation showed better results on visual quality and cover rating compare with seeding propagation. However,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vegetative and seeding propagation was not showed on visual quality and drought tolerance after one year of plot establishment. The cover rating by seeding construction methods reached in excess of 70% of limitation suggested by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operation. Zoysia net and sprigging net methods were the most suitable where there requires rapid and high rate of ground cover. Seeding propagation should be acceptable to obtain a resonable cover rating where there allows relatively longer period of completion.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attain a proper rating of ground cover on the site of open space, alongside runway or areas similar to the New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is being built on dredged seashore sand. However, the methods of soil amendment, selecting salt tolerance species, and proper construction procedure should be considered at the a time.

골프장 답압지역의 토양개량 (Effect of Soil Amendments at Heavy Traffic Area in Golf Course)

  • 태현숙;김용선;고석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07-1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amendments for reducing soil compaction at heavy traffic area in golf cours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t follows: 1. In the Lab. experiment, the poros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n the materials, such as peatmoss, charcoal, and tire chip mixtures were used respectively. Especially mixture of sand and 20% peatmoss showed higher effectiveness (10%) in porosity, comparing with ordinary sand. This soil mixture(sand 80%+peatmoss 20%) was observed the best in water retention, soil hardness and hydrauric conductivity. 2.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traffic pressure was given 7 times a day on several combination of mixture treatments to see the top dry weight. The soil mixture of 20% peatmoss showed the highest in the top dry weight. When the more traffic pressure(15 time/day) were given on the different treatment, the top dry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the mixture of 20% peatmoss also had the least influence on this type of heavy traffic. 3. In the field experiment, the soil amendments were treated in traffic area f golf course, and observed at 30days, 60days, 90days, 120days after treatment. Visual turf quality(color), root length and soil compaction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s a result, overall treatments with soil amendments were effective, which showed better turf quality and less soil compaction. 4. In the field test, physical characters of soil (such as soil hardness and hydrauric conductivity) in sand+tire chip+peatmoss(60:20:20, %, v/v)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Also in the slow increasing of traffic, the soil comp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soil hardness.

  • PDF

종합 토양개량재 KOB-Soil이 잔디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B-Soil as a Soil Amendment on Turfgrass Growth)

  • 이상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7
    • /
    • 2003
  • 본 실험은 종합 토양개량재 KOB-Soil이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Creeping bentgrass 및 Kentucky bluegrass (KB) 75%+perennial ryegrass(PR) 25%로 조성된 잔디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기간은 2001년 9월 1일∼2002년 8월 31일까지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강원카지노 리조트 실험포 화절령 지구에서 수행하였다. 처리는 USGA 지반의 혼합층에 모래 80%+피트 20%, 모래80%+KOB-Soil 1호 20% 및 모래 80%+KOB-Soil 2호 20%로 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잎 길이(mm), 잎 수, 잔디품질, 뿌리길이(mm)를 조사하였다. 종합 토양개량재 KOB-Soil은 한지형 잔디인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Kentucky bluegrass (KB) 75%+perennial ryegrass(PR) 25%의 잎 길이, 잎 수, 잔디품질, 및 잔디 뿌리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OB-Soil에 있어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KB 75%+PR 25%의 생육은 KOB-Soil 1호가 2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OB-Soil 1호는 BFS-1000이 ㎥당 2.76L 수량 및 Root grow(황산고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토양개량제)가 ㎥당 0.48L 의 수량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캔터키블루그래스 잔디에서의 제초제와 비료의 단독과 혼용처리에 의한 잡초방제 (Weed Control by Herbicides and Fertilizers Applied Separately or Combined on Kentucky Bluegrass Lawn)

  • 다이엥리;컬크호와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9
    • /
    • 2007
  • 잔디밭 관리 시 제초제와 비료의 혼합 처리는 시간 절약 및 답압 감소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Weed & Feed는 제초제와 비료를 혼합 조제한 제품이다. 본 실험은 캔터키 블루그래스 잔디밭에서 비료 및 제초제를 단독으로 처리할 때와 Weed & Feed를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Weed & Feed 28-3-3에는 세 가지 제초제 - 2,4-D 0.64%, MCPP 0.31% 및 dicamba 0.03%가 혼합 조제된 약제이다. 첫 번째 처리는 5월에 실시하였고, 두 번째 처리는 6월 또는 9월에 실시하였다. 단독으로 사용한 제초제는 2,4-D(LV-4, 4EC), MCPP(4EC) 및 dicamba(Clarity, 4EC)로 Weed & Feed의 50% 및 100% 수준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우점 잡초는 민들레였으며, 제2 우점종은 2004년에는 엉컹키, 2005년에는 왕질경이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5월과 6월에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수용할 수 있는 잔디밭 품질 유지기간은 각각 112.3일과 83.7일 정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Weed & Feed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58.7일과 83.7일로 나타났다. Weed & Feed 효과는 사용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초방제 시 Weed & Feed에 비해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직접 처리하는 것은 Weed & Feed를 사용하는 그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 비료 제형의 엽면 살포가 가을철 한지형 잔디의 생장 증대 (Increase of Growth on Cool Season Turfgrass by Foliar Application of Preparations of Turfgrass Fertilizer during Fall Season)

  • 구준학;허혁재;김양선;윤정호;장석원;이승준;장태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1-49
    • /
    • 2014
  • 액상 잔디비료의 4종류의 제형을 가을철 한지형 잔디에서 시험하였다. 상업용 제품 개발을 위한 PS-A, PS-B, PH-C 및 PH-D은 필수영양원소와 해추출액, 아미노산 및 휴믹 물질함유하고 있다. 켄터키블루그라스 혼합품종(Midnight 33%, Moonlight 33%, Prosperity 33%)과 크리핑벤트그라스 "Penn-A1" 품종에 대한 생장과 품질은 잔디색, 엽록소 함량 및 뿌리길이, 뿌리생체중 및 개체수(분얼수) 밀도로 평가하였다. 4종류의 제형을 2013년 가을철에 합천 뗏장농장에서 7일간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를 하였다. 잔디 생장은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4종류 모드에서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PS-A에서 잔디생장이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잔디색은 PA-A를 2와 3회 살포한 크리핑벤트그라스와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잔디 개체수밀도는 PA-A와 PA-B를 살포한 처리구에서 살포 후 20일에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유의 차이는 보였다. 이 결과는 개발 제형을 가을철에 뗏장잔디 생산과 골프장에서 사용 할 경우 잔디색과 엽록소함량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초흡수성 고분자 중합체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의 잔디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ighly Water-Absorbing Polymer on Thrfgrass 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9-68
    • /
    • 2011
  • 본 연구는 토양개량재 혼합구에서 고분자 중합체 비율이 주요 초종의 잔디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수분 흡수 중합체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개량제 혼합구는 모래, 토양개량재 SOA 및 중합제 WSP를 이용하여 전체 12개 처리구틀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생장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의 잔디품질은 토양개량재 SOA 및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종별 잔디품질은 크리핑 벤트그래스 > 들잔디 > 켄터키 블루그래스 순서로 나타났고, 시각적 잔디품질 점수는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크리핑 벤트그래스 0.3~9.6, 켄터키 블루그래스 0.3~4.0 및 들잔디 0.9~5.8 사이로 초종 간 최대 5.6정도 차이가 있었다. 3종류 공시초종에서 잔디품질의 변화패턴은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경시적으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잔디품질을 고려할 때 혼합비율은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들잔디는 5%,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5~10% 범위가 적절하였다. 잔디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WSP 중합체 처리효과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 모두 SOA 20% 혼합구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토양개량재 SOA를 함유한 식재층 토양에 WSP 중합체 혼합 시 SOA 혼합비율은 한지형인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경우 15~20% 사이, 그리고 난지형인 들잔디는 20% 정도를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유가질 토양개량재를 함유한 식재층 토양에서 0~15% 사이의 저수준의 WSP 중합체 혼합과 함께 칼슘, 펄라이트 등 무기 영양분이 초장, 밀도 및 품질 등 잔디생육 특성에 대한 효과검정을 통해 WSP 중합체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뮤다그래스 페어웨이에 퍼레니얼라이그래스 오버시딩에 따른 두 초종의 밀도 및 품질 변화와 Trifloxysulfuron-sodium 처리에 의한 전이시기 조정 (Transition of Density and Quality of Turfgrasses on Bermudagrass Fairway with Perennial Ryegrass, and Adjustment of Transition Period by Treatment of Trifloxysulfuron-sodium)

  • 김대근;전재만;오상익;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2012
  • 버뮤다그래스에 퍼레니얼라이그래스를 오버시딩 했을 때 퍼레니얼라이그래스의 밀도는 3월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5월 말에는 88,000주/$m^2$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장마기를 거치면서 급격히 줄어들어 9월 초순경에는 0주/$m^2$가 되었다. 반면에 버뮤다그래스의 밀도는 3월경에 2,000주/$m^2$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5월 중순경에 10,000주/$m^2$, 6월 초순경에는 20,000주/$m^2$로 증가하였으며, 장마기를 거치면서 일조량 부족으로 7월 중순경에는 4,000주/$m^2$로 떨어졌다. 장마 후에는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9월 초순경에는 50,000주/$m^2$ 정도를 유지하였다. 퍼레니얼라이그래스로 오버시딩한 버뮤래스 페어웨이의 품질은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좋은 품질이 유지되다가 장마기이후 7월말에 가장 나빴으나 이후 점차 향상되어 9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좋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봄철 버뮤다그래스의 전이시기를 앞당겨 장마기의 품질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trifloxysulfuron-sodium을 처리한 결과, 5월중순경부터 버뮤다그래스로 전이가 이루어져 6월 중순경에는 70,000주/$m^2$ 정도의 밀도를 보였으며 장마기에도 약 30,000주/$m^2$를 유지하여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3배 이상의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