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bidity

검색결과 1,713건 처리시간 0.021초

입상활성탄 흡착지 운영에서 역세척 주기와 팽창률의 영향 평가 (Decision of Backwashing frequency and method on the GAC adsorber)

  • 채선하;조창현;이희대;왕창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3-762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ckwashing frequency and method on the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in G WTP. A backwashing period was determined as 50 days and 60 days, respectively. Prior to Backwashing by head loss build, biomass concentration in effluent as constant and DO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more than 11.5 mg/L in GAC bed. Peak turbidity of backwashing water was 73.6~303 NTU. Mean turbidity of backwashing water at initial 9 minute of backwash operation was 50.7~82.8 NTU. After 30 minute backwashing operation, final turbidity reaches approximately 10 NTU. The frequency of backwashing and turbidity of backwashing water overtime were evaluated. At 20days of backwashing frequency, the peak turbidity was 73 NTU and 42 NTU respectively when 10% and 25% of expansion of GAC were applied. At 14 minute of backwashing time, it was observed that turbidity of 10% expansion of GAC was higher than that of 20% expansion.

응집침전공정에서 수온, 응집제 종류, 전염소 주입에 따른 크립토스포리 디움과 지아디아 제거 효율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emperature, Coagulants, and Pre-chlorination on the Removal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by Coagulation Process)

  • 박상정;정영희;정현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1-538
    • /
    • 2007
  • The effects of temperature, coagulants and pre-chlorination on the removal of turbidity and pathogenic protozoa by coagul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using jar test of lab scale. In room temperature ($25^{\circ}C$), protozoa were removed over 1.0log at the proper concentration range of coagulants, and up to over 2log at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oagulants. Considering the 1.5log target removal for Giardiain the processes of coagulation,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his results implies that the target could be satisfied. However, the removal of protozoa and turbidity was reduced, and optimal PAC concentration was narrowed in low turbidity and cold temperature ($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rop of coagulation efficiency may be occurred in winter if the conditions are not optimized. Despi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the relation of turbidity and protozoa removal appeared to be good. The various kinds of coagula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for removals of turbidity and protozoa when the concentrations of $Al_2O_3$ were considered. Prechlorination did not increase or decrease the removal of turbidity and protozoa in optimum condition at room temperature, pH 7, 15mg/L of PAC concentration.

EGTA를 첨가한 한외여과 탈지유의 물성에 미치는 초고압의 영향 (Hydrostatic Pressure Effects on Physical Properties of Ultrafiltrated Skim Milk in the Presence of EGTA)

  • 김영주;;;이창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2-37
    • /
    • 2001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tein concentration, EGTA and strength of hydrostatic pressure on pH, viscosity and turbidity for ultra filtrated skim milk retentates. The results showed that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up to 600 MPa did not affect the viscosity of skim milk, while the turbidity of skim milk increased at higher than 200 MPa. Addition of EGTA caused reduction in turbidity of skim milk, two times (2SR) and three times (3SR) concentrated skim milk retentates. Viscosity for 2SR and 3SR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amount of EGTA, but viscosity of skim milk was not influenced by EGTA. High pressure treatment also did not cause any difference in viscosity and turbidity of skim milk. However, this treatment decreased viscosity and turbidity for 2SR and 3SR. In particular, 200 MPa treatment showed to induce a higher decrease in turbidity compared with 400 MPa.

  • PDF

탁도에 따른 Echo Sounder 관측 한계 분석 (Analysis of Measuring Limit of Echo Sounding by Turbidity)

  • 김용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7-203
    • /
    • 2005
  • 연안에서의 준설, 매립, 항만건설 등의 공사 시 해상에서의 측량 조건에 따른 수심측량의 효율성과 정밀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측량조건에 따른 수심측량의 정밀도 향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수심측량의 정밀도 저하 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탁도 증가에 따른 echo sounder의 측심 특성 파악과 한계 탁도 구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수조에 탁도 유발물질을 인위적으로 투입하여 탁도 별 수심측정 값을 취득한 후,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탁도 증가에 따른 측심 특성이 정상관측구간, 한계구간, 관측불가능구간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탁도에 대한 echo sounder 수심관측 한계구간이 $217\~259NTU$로 나타났다.

성층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유동특성과 영향에 관한 연구 (Flow regimes and water quality impact of turbidity current into a stratified reservoir)

  • 정세웅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69-272
    • /
    • 2002
  • Turbidity currents, often develop after heavy storm events, deliver various non-point pollutants and tend to lead eutrophication, depressed dissolved oxygen, and sedimentation in reservoirs. Field observation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w regimes of turbidity currents and their impact on reservoir water quality in Daecheong Reservoir. A 2D laterally-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urbidity in the reservoir, and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field data.

  • PDF

천연 제올라이트 활용을 통한 댐 및 호소의 오염수 처리 (Polluted Water Treatment of Dam and Reservoir using Natural Korean Zeolite)

  • 박기호;서진국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3-120
    • /
    • 2005
  • Due to the Typhoon MAEMI on Sep. of 12 in 2003, the turbidity value of DOAM Dam was recorded more than 300NTU until now. The natural zeolite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was applied to reduce turbidity with cation exchange process. The result of this technique, the value of turbidity was reduced less than 1NTU. Also the value of pH showed stable state compare to before and after.

  • PDF

탁도에 따른 음료의 미각 인지: 20,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Beverage Taste Perception Influenced by Its Turbidity: Results from Twenties and Thirties)

  • 김태수;최경아;석현정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3-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음료의 탁도와 맛의 교차-양상에 근거한 연상관계를 탐색하였다. 시각 자극물로 무채색의 막걸리와 탄산음료를 선정하였으며, 자극물은 각각 0.0625~32 g/L, 0.0078~4 g/L 범위 내에서 인지적 등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열 단계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시각적 관능 평가 실험에서는 '단맛', '짠맛', '쓴맛', '신맛', '마시고 싶은' 기본 미각 형용사와 더불어, 막걸리와 관련된 '누룩향이 나는', '술맛이 나는', '산뜻한' 특징 미각 형용사와 탄산음료와 관련된 '부드러운', '톡 쏘는', '인공적인' 특징 미각 형용사를 선별하여 리커트 3점 척도로 평가하였다(N=35). 실험 결과 기본 미각에 대한 판단에 있어 막걸리는 탁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 맛이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반면, 탄산음료의 경우 '신맛'에서만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특히 막걸리의 '마시고 싶은' 척도는 4.6~20 g/L 범위에서 가장 높이 관찰됐는데, 이는 시판되는 막걸리 탁도 범위와 일치하여 기억 탁도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료 별 미각 형용사에 대해서는 '산뜻한' 맛과 '인공적인' 맛을 제외하고 두 음료 모두 탁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료의 미각적 경험을 공유할 때 탁도를 활용한다면, 각 음료가 추구하는 맛을 보다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탁도에 의한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ACQ)의 농도 예측 (Prediction of Alkaline Copper Quat (ACQ) Wood Preservative Concentration by Turbidity)

  • 이종신;김경태;최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43-749
    • /
    • 2016
  • 균일한 품질의 방부처리 목재 생산을 위해서는 방부약액의 농도관리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목재방부처리 현장에서 농도관리를 위하여 간편하게 방부약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CQ 목재방부제를 대상으로 비교적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탁도를 이용하여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탁도가 현저하게 작은 알칼리성의 ACQ 약액에 20%의 인산 용액을 첨가하면 백색의 현탁 물질이 생성되며 탁도가 증가한다. 인산 용액의 최적 첨가량은 약액의 탁도가 최고치에 도달하는 pH 7 수준이며, 첨가량이 많아지면 약액의 산성화와 함께 탁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고 약액은 투명해진다. ACQ 약액의 농도와 탁도 간에는 정(正)의 상관을 가지며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농도와 탁도로부터 유도된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여 산출한 현장 채취 약액의 예측 농도 값과 적정법으로 측정한 실측 농도 값 간의 농도 차이에는 t 검정 결과,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탁도와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ACQ 현장 약액의 농도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과 토양에서 인의 농도, 탁도 그리고 pH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urbidity, and pH in water and soil)

  • 민영홍;현대용;음철헌;이승호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304-309
    • /
    • 2011
  • 본 연구는 물과 토양에서 pH와 상등액을 변화 시켜었을 때 인과 탁도의 행태에 관해 연구 하였다. 탁도의 인 용출율은 pH 4 이하 또는 pH 7 이상일 때 증가 되었고, 토양으로 부터 탁도 발생율은 pH가 증가하면 증가하며, pH 4 보다 커지면 급격히 상승한 후 pH 6 이상에서 안정화된다. 용존성인은 2-24시간까지 증가 후 안정화 됐고, 탁도 역시 24 시간까지 정점에 도달한 후 96시간까지 감소됨. 시료상 등수를 교체를 하면 용존성인과 탁도는 감소한다. 시료를 pH 6에서 pH 10으로 증가시키고, 상등액 교체를 1회에서 4회로 동시에 증가시킬 때 용존성인과 탁도의 행태는 유사하다. 이 결과로 용존성인과 탁도는 pH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사료되며, 호수는 pH 7-10 정도이기 때문에 이 결과는 대단히 중요하다.

팔당호에서 수중 탁도의 일 변동과 고탁수의 입자 분포 (Daily Variations of Water Turbid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High Turbid-Water in Paltang Reservoir, Korea)

  • 신재기;강창근;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57-268
    • /
    • 2003
  •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에서 탁도의 변동과 탁수에 포함된 입자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1999${\sim}$2001년동안 일 모니터링 하였다. 수중 탁도와 탁수의 입자 분포는 강우 패턴의 기후학적 요인과 유입${\cdot}$방류량의 수문학적요인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탁도의 연 평균 농도는 매년 비슷하였고, 연중 10 NTU 이하는 85.0%를 차지하였다. < 5 NTU는 겨울철${\sim}$봄철에, 5${\sim}$10 NTU범위는 가을철에, > 20 NTU이상은 여름철에 우점하는 계절적 특성이 뚜렷하였다. 탁도의 최대값은 7월 하순${\sim}$8월 초순에 발생하였고, 수문 변동과 달리 1999년에서 2001년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2001년에 저수지의 최대탁도는 하류로 갈수록 더욱 증가하는 양상이 현저하였다. 또한, 1999년에는 유량과 탁도가 완만하게 증감되었으나, 2000년과 2001년에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유량이 커지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탁수의 입자는 전 정점에서 clay성분으로 갈수록 분포가 더욱 조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비율도 높았다. 탁수에서clay는 63.9${\sim}$66.6%, silt는 33.4${\sim}$36.1% 범위로서 총 입자수의 98.9${\sim}$100%범위를 차지하였고, sand는 1.1%이내이었다. 하천형 저수지에서 수중 탁도는 비강우기에 플랑크톤의 생물량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으나 강우기에는 토양 성분을 근간으로 하는 무기입자의 양과 상대적 비율이 매우 우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