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or response

검색결과 1,398건 처리시간 0.022초

아나필락시스 반응과 비만세포 활성화에 대한 한국전통약제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 채옥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01-209
    • /
    • 2010
  •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 중 가자와 지모, 단삼은 면역조절 및 항암효과,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만세포와 관련된 아나필락스를 이해할 수 있는 세포학적 기전에 대한 가자와 지모, 단삼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 실험을 통하여,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비만세포 활성화 및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와 귀부종 반응,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하였다. 2)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과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가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내로의 칼슘 유입이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억제함으로써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가자와 지모, 단삼은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otherapy Results of Early Uterine Cervix Cancer)

  • 최두호;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3-39
    • /
    • 1996
  • 목적 : 초기 자궁경부암은 수술과 방사선치료 모두 가능하며 결과도 비슷하다고 알려져있다. 이에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의 생존율, 실패율, 부작용등을 다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IB 48명과 IIA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85년 11월 부터 1993년 5월 까지 등록된 환자들로 최소 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외부전골반 방사선치료를 40-50Gy 시행후 3가지 다른 1회 조사량으로 고선량 강내치료를 시행후, 추적조사하여 생존율, 실패양상과 합병증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2.3\%,\; 72.8\%$였으며 예후인자는 병기 병소의 크기, 병리조직 (선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이었다. 19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대부분 24개월이내에 발생하였다. Grade 2이상의 만성합병증은 방광이 $8.8\%$, 직장이 $15\%$, 모두 $17.5\%$ 였으며 발생율과 심한 정도는 강내치료 1회 조사량과 총 선량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초기 자궁암의 방사선치료는 수술의 결과와 비슷하였으며 예후가 나쁜환자는 결과가 안좋아서 더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필요하며 만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질 packing 등으로 주위조직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고 고선량 강내치료시 적절한 1회 조사량의 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539 및 NCI-H460 인체 폐암세포의 증식 및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가미삼기보폐탕의 영향 (Effect of Gamisamgibopae-tang on the Growth and Apoptosis of A539 and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s)

  • 김진영;김현중;정광식;박철;최영현;감철우;박동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0-148
    • /
    • 2008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Gamisamgibopae-tang(GMSGBPT), an oriental herbal formulation, on the growth of NCI-H460 and A549 human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 lines. Methods : Cytotoxicity and cell morphology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d inverted microscope, respectively.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flow cytometer. The expression levels of mRNAs and proteins of target genes were determin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respectively Result and Conclusion : We found that exposure of A549 cells to GMSGBPT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MTT assay, but GMSGBPTdid not affect the growth of NCI-H460 cell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MSGBPT treatment in A549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DNA fragmentation, and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at GMSGBPT treatment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apoptotic-sub G1 phase. Growth inhibition and apoptotic cell death by GMSGBPT were connected with a up-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WAF1/CIP1) mRNA and protein in a tumor suppressor p53-independent fashion. However GMSGBPT treatment did not affect other growth regulation-related genes such as early growth response-1 (Egr-1),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activated gene-1 (NAG-1),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s (COXs), telomere-regulatory factors in A549 orNCI-H460 cell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partially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GMSGBPT.

  • PDF

Calpain protease에 의한 cyclin D3의 post-translation조절 (Calpain Protease-dependent Post-translational Regulation of Cyclin D3)

  • 황원덕;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15
  • 칼슘 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neutral protease calpain에 의한 단백질 분해는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단백질들의 역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yclin의 분해는 세포주기의 진행을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다. D-type cyclins는 외부자극이나 신호에 의하여 세포주기의 G1 초기에 합성이 된 후 cyclin-dependent kinases (cdk4 및 cdk6)와의 결합하여 세포주기 S기 진입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yclin D3 단백질이 calpain protease에 의하여 번역 후 수준에서 조절 받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lovastatin과 actinomycin D가 처리된 PC-3-M 전립선 암세포에서 cyclin D3 단백질의 발현이 완전히 사라졌지만, calpain inhibitor인 LLnL의 처리에 의하여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6S proteasome의 선택적 억제제인 lactacystin, lysosome 억제제인 ammonium chloride 및 chloroquine,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PMSF는 동일 조건에서 lovastatin과 actinomycin D 처리에 의한 cyclin D3 단백질의 발현저하를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In vitro 조건에서 순수 분리된 calpain은 cyclin D3 단백질을 칼슘 농도 의존적으로 분해하였으며, cyclin D3 단백질의 반감기는 LLnL 처리에 의하여 매우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calpain 저해인자인 calpastatin의 과발현은 PC-3-M 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NIH 3T3 섬유아세포에서도 cyclin D3 단백질의 반감기 및 안전성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yclin D3 단백질이 칼슘에 의해 활성화 되는 protease calpain에 의해 조절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LPS로 자극된 macrophage RAW264.7 세포에서 ascochlorin에 대한 단백질체 분석 (Proteome Analysis of Responses to Ascochlorin in LPS-induced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by 2-D Gel Electrophoresis and MALDI-TOF MS.)

  • 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14-825
    • /
    • 2008
  • 아스코크로린(Ascochlorin, ASC)은 Ascochyta viciae로부터 추출된 프레닐페놀 물질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감소시키고 종양 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스코크로린이 생리학적 혹은 병리학적인 작용과 염증반응에서 약리학적으로 유도되는 반응을 어떻게 조절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하여 이에 대한 프로테옴의 특이적인 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PS를 처리한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하여 염증과정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테오믹스를 시행하였다.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한 조건과 무처리한 조건으로 나누어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 SDS-PAG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ALDI-TOF-MS)와 bioinformatics 방법으로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한 mouse macrophage Raw264.6 세포의 프로테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 처리 시 Calreticulin이 4배 감소, ${\beta}-actin$도 4배 감소 그리고 vimentin이 1.5배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rabaptin 아스코크로린 처리에 의해 3배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단백질 발현은 RT-PCR을 수행하여 결과에 대해 재확인 하였으며, 프로테오믹스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ASC를 처리한 후 이차원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변화 및 양상을 규명하고 단백질 지도를 확립 하였으며, RAW264.7 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 모델에서 ASC의 항염증 작용을 중심으로 생리활성 조절기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분자 기능 조절 연구와 전 임상 연구를 통해 ASC의 생리활성 조절 기능을 규명한다면 ASC는 항염증 및 항암활성을 갖는 약물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Snail의 Akt/PKB의 활성화와 p53의 downregulation를 통한 5-FU-induced apoptosis의 necrosis로의 전환 (Snail Switches 5-FU-induced Apoptosis to Necrosis through Akt/PKB Activation and p53 Down-regulation)

  • 이수연;전현민;주민경;김초희;정의경;박혜경;강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18-1023
    • /
    • 2012
  • Snail은 E-cadherin 발현을 직접 억제하는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로서, 암세포의 invasion과 metastasis를 촉진시키는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를 유발한다. 또한 Snail은 세포사멸 자극과 세포 생존물질의 제거로 인한 세포사멸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분자기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암제 중의 하나인 5-fluorouracil (5-FU)에 의한 세포사멸에 대한 Snail의 저항성 기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CF-7 #5 세포주에 doxycycline (DOX)을 처리하여 Snail을 과발현시킨 세포에서 5-FU에 의한 세포사멸이 억제되고 세포괴사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DOX 처리 및 Snail expression vectors인 pCR3.1-Snail-Flg와 phosphorylation-resistant mutant Snail vector인 pCR3.1-S104, 107A Snail-Flg을 이용하여 Snail을 과발현 시킨 경우 ERK1/2의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PTEN 발현억제 및 불활성화, 그리고 Akt/PKB 활성화가 유도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Snail은 5-FU에 의한 p53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nail은 prosurvival kinase인 Akt/PKB의 활성화와 p53 억제를 통해 5-FU에 의한 세포사멸을 세포괴사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식도 종양에 의한 식도의 협착 및 폐쇄 (Esophageal Steno-Obstruction due to Nonesophageal Tumors)

  • 오윤경;길학준;정수미;윤세철;신경섭;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11-117
    • /
    • 1987
  • 암 환자에 있어서 영양상태는 치료에 대한 반응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된다. 그래서 연하곤란은 암 환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은 1983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1,400명의 환자 중 연하곤란 및 호흡기계 문제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식도암 이외의 암에 의한 식도의 헙착 및 폐쇄를 일으킨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과 식도의 협착 및 폐쇄에 대한 방사선 치로의 효과 및 생존기간을 후향성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1.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빈도는 $1\%$이었다. 2. 가장 빈번한 원인은 폐암 (14/16)이었고, 식도 중부 (14/16)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부위였다. 3.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연하곤란의 정도와 2주 간격으로 촬영한 바륨조영사진으로 평가하였는데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의 $80\%$(8/10)에서 반응을 보였다. 4. 반응이 시작되는 선량은 1,000cGy-6,010cGy의 범위에 들어 있으며 중앙치는 2,880cGy였고 평균치는 2,993 cGy였다. 5. Kaplan-Meier 방식에 의한 15주와 30주 생존율은 전예에서는 $60\%$$46\%$였고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에서는 $77\%$$51\%$였다. 6. 4예에서는 연하곤란의 재발 없이 90주 이상 생존하고 있다.

  • PDF

수술후 재발된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 (Radiotherapy of Recurrent Uterine Cervical Cancer)

  • 하성환;박찬일;채규영;강순범;이효표;신면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31-136
    • /
    • 1987
  • 수술후 골반강내에 국소재발된 자궁경부암의 진단하에 1979년부터 1984년까지 6년 간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47명의 환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는 35명으로 완전관해율은 $74.5\%$이었다. 2. 완전관해를 보인 35명중 7명에서 국소재발 또는 원격전이를 보여 전체적으로 19명 $(40.4\%)$의 환자에서 치료실패를 나타내었다. 3. 4년 무병생존을 및 전체생존율은 각각 50.1 및 $55.2\%$이었다. 4. 병소의 범위를 자궁경부암에 적응되는 FIGO병기 결정기준에 의하여 분류한 결과 각 병기에 따른 4년 생존율은 IIa기에서 $80.4\%$, IIb기에서 $73.0\%$, IIIb기에서 $25.0\%$, IVa기에서 $0\%$이었다. 따라서 수술 후 골강내에 국소재발된 자궁경부암의 경우 적절한 방사선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궁경부암의 외부방사선 치료 성적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lone)

  • 김미숙;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63-367
    • /
    • 1993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중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치료한 환자에서 생존율, 합병증,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79년 3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총 6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 중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45 Gy내지 50 Gy의 전골반 조사후 3 내지 2 조사야를 사용한 축소야로 12 Gy에서 22 Gy의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외부방사선조사만 시행한 이유는 심한 종양괴사로 인한 경우 25예, vaginal vault가 좁은 경우 5예, 외부방사선 치료 중 자궁강의 파열 1예등 강내조사용기구삽입이 불가능한 경우(poor geometry) 31명, 내과적 문제 5명, 고령 2명, 환자의 거부 2명, 장관 유착과 골반질환이 각각 1명이었다. FIGO병기 IB, IIA, IIB, IIIA, IIIB, IVA의 환자수는 각각 1명, 3명, 12명, 1명, 20명, 5명이었다. 병기 IIA, IIB, IIIB, IVA에 따른 5년 국소치유율은 각각 $66.7\%,\;38.9\%,\;27.0\%,\;20.0\%$이었고 5년 생존률은 각각 $66.7\%,\;36.4\%,\;32.8\%,\;25.0\%$으며 1명씩의 IB와 IIIA의 환자는 무병생존했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후 치료반응 판정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은 의미있게 높았으나 $(45.3\%\;vs\;17.8\%\;p=0.04)$ 5년 생존률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43.5\%\;vs\;23.1\%\;p=0.17)$. 방사선 치료후 1개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 $(53.8\%\;vs\;0\%\;p=0.0002)$과 5년 생존률$(51.3\%\;vs\;1.0\% \;p=0.001)$이 의미있게 높았다. Grade 2와 Grade 3의 합병증은 각각 $12\%$$10\%$였다. 진행된 경우일수록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 PDF

Effects of dietary protease on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 Lee, Jeong Jae;Kang, Joowon;Park, Sangwoo;Cho, Jin Ho;Oh, Sejong;Park, Dong-Jun;Perez-Maldonado, Rider;Cho, Jee-Yeon;Park, Il-Hun;Kim, Hyeun Bum;Song, M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174-179
    • /
    • 202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etary protease on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Weaned pigs (n = 75; 7.06 ± 0.18 kg BW; 28 d old)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reatments (5 pigs/pen; 5 pens/treatment). Dietary treatments were positive control, a diet with required protein level (PC), negative control, a diet with lower protein level than PC (NC), and NC + 0.02% dietary protease (PRO). The dietary proteas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commercial product containing 75,000 protease units/g derived from Nocardiopsis prasina produced in Bacillus licheniformis. The dietary treatments did not contain any ingredients or additives that may provide antibacterial or physiological effects. Pigs were fed respective dietary treatments for 6 weeks. Blood was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2 pigs in each pen on d 1, 3, 7, and 14 after weaning. Measurements wer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BC),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d C-reactive protein (CRP). Pigs fed PRO had lower WBC on d 7 (14.84 vs 20.42 × 103/μL; p < 0.05) and TNF-α on d 7 (618 vs 889 pg/mL; p = 0.085) and 14 (437 vs 576 pg/mL; p = 0.069) than those fed NC,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WBC and TNF-α between PC and PRO. Pigs fed PRO had lower TGF-β1 on d 3 (630 vs. 1,588 and 1,396 pg/mL; p < 0.05) than those fed PC and NC.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CRP among dietary treatments. In conclusion, addition of dietary protease reduced inflammatory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