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butary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42초

저수지 모델의 지형정보 엽력자료가 수리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청호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the Effects of Bathymetry Data on Hydraulic Results - Daecheong Reservoir -)

  • 이재일;서세덕;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4호
    • /
    • pp.229-234
    • /
    • 2009
  • A lot of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IS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function of a geometric data acquisition for reservoir and river models, however, is not enough to satisfy multiuser' convenience. CE-QUAL-W2 is a two-dimensional(2D) longitudinal/vertic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for surface water bodies, modeling eutrophication processes such as temperature-nutrient-algae and sediment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ing which bathymetry information affects hydraulic results. There are consisted of three scenarios under consideration. The first scenario takes into account only tribatary type data such as Heoin and Okchen river. The second scenario, Heoin river constructs to tributary and Okchen river constructs by branch. Last scenario constructs Heoin and Okchen river by branch. The RMSE error results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enarios are 0.61, 0.36 and 0.28 respectively.

유량변화와 지류유입에 따른 금강의 수질 변화 (Influence of River Discharge Fluctuation and Tributary Mixing on Water Quality of Geum River, Korea)

  • 심무준;이수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3-318
    • /
    • 2015
  • To study the influence of changes in river discharge on water quality of the main stem of the Geum River, we investigated variation of inflow load from tributaries with river discharge. We also studied the mixing behavior of pollutants during mixing of waters of the main stem and Gap Stream. For this study, we collected water quality data such as suspended solids (S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representing pre-monsoon, monsoon, and post-monsoon events of 2013 from a website of Wa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flow load, the Gap and Miho streams may be ones of tributaries which may largely influence water quality of main stem in upper river region. The Suksung and Nonsan Streams seemed to further affect water quality downstream. Results of modified EMMA indicated SS and TP may have another source(besides Gap Stream) at pre-monsoon,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 In contrast, TN and organic matter (BOD, COD, TOC) were conservative at pre-monsoon and post-monsoon. However, when river discharge increased, these pollutants may also came from unspecified non-point sources. Therefore, we need to attempt to find non-point sources for the pollutants in the main channel of upper Geum River region.

유입지천을 고려한 낙동강 본류구간의 공간적 수질특성 분석 (Spatial Water Quality Analysis of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Inflow of Tributaries)

  • 김소래;김상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40-64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spatial characteristics for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tributary inflow. The flow and water quality (BOD, TOC, TP) data for 32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the main stream and the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were collected from 2003 to 2016. From the results of the flow and water quality analyses for each site, a status map of the flow and the water quality for Nakdong River was produced. The water quality of each river sec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even river-environment standards. The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main stream before and after the confluence were analyzed spatially. As a result, the water quality of Kumho River, in particular the Kumho B to Kumho C section, is the worst among the tributaries.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grades of the lower streams such as Nam River and Miryang are worse than that of the upper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In the case of the main stream, the water quality grades of the sections between the Wicheon and Nam River confluences and the section from Nakbon L to Nakbon N are relatively poor.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 Seo, Jin-Won;Kim, Hee-Sung;Yi, Hye-Suk;Jeong, Sun-A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95-501
    • /
    • 2009
  •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7~2008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Nakdong River.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study sites was 3,671 representing 7 families 24 species.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2 introduced speci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caught in the Gam Stream, a total of 57 individuals were found at shallow depth (0.14~0.46 m) and run (0.239~0.585m $sec^{-1}$). As a result of sieve analysis, stream beds consisted of about 1% gravel and 99% sand (83.4% coarse sand, 15.6% find sand). Therefore, Gobiobotia naktongensis seemed to inhabit shallow-run with coarse sand bed than deep-pool microhabitat. The findings indicate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efficiency of fish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with understanding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in microhabitat including protected species.

First record of Macrognathus aral (Bloch & Schneider, 1801) from the Himalayan Kingdom of Bhutan

  • Laxmi Sagar;Karma Lodhen Wangmo;Dhan Bdr. Gurung;Karma Wangchuk;Rinchen Dorji;Rupesh Subedi;Tshering Zangmo;Pelden Dorj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708-714
    • /
    • 2023
  • This study reports a new record of freshwater fish Macrognathus aral (Bloch & Schneider) from Aiechu-Kalikhola tributary of the Maukhola river in Sarpang, Bhutan. The species was found in shoal of the tributary and was identified using its morphometric characters. It can be identified and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reported in Bhutan by dorsal fin rays XIX, 47, anal fin rays III, 52, rostral plates 28, pectoral fin rays 19, caudal fin rays 15, soft rayed part of dorsal and anal fin separated by a notch from rounded caudal fin, and presence of four ocelli at the base of dorsal fi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its distribution, ec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in the country. A key to species belonging to Mastacembelidae of Bhutan including the new record is provided.

왕피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을 이용한 군집분석 (Community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 in Wangpi-cheon)

  • 박영준;임헌명;김기동;조영호;남상호;권오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56-565
    • /
    • 2010
  • 본 연구는 왕피천의 섭식기능군을 이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시기동안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6강 16목 58과 138종이었으며, EPT index 값은 61.59%로 매우 높게 나타나 왕피천의 하천생태계는 매우 청정하고 건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왕피천의 하천지점별 섭식기능군을 살펴본 결과 긁어먹는 무리와 주워먹는 무리가 지류에 비해 우점하고 있는 일반적인 하천 중류의 특징을 보이는 그룹과 썰어먹는 무리가 본류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상류 특성을 보이는 지류의 그룹인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유사도 지수를 근거로 각 지점별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자연 상태의 비교란 지역(A그룹)과 제방 및 보 등에 의한 인위적 교란지역(B그룹; 지점 8, 11)으로 그룹화 되었다. 또한 비교란 지역은 본류(지점 1, 2, 3, 4, 7) 및 지류(지점 5, 6, 9, 10)의 특성을 갖는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Fishway in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 성진욱;박정호;김재옥;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85-191
    • /
    • 2013
  •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ullet}$ 786개 하천에 설치된 보 및 어도를 조사한 결과, 보는 9,164개, 어도는 1,263개로 조사되었고, 어도설치율은 약 14%로 나타났다. ${\bullet}$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어도를 분류한 결과, 표준형 (풀형식, 수로형식) 어도는 62%, 비표준형 어도는 38%로 나타나 대체로 표준형 어도가 많았지만,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되지 않은 비표준형 어도도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형 어도중에는 풀형식 37% 수로형식 63%로 수로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풀형식은 일반형, 노치형 계단식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bullet}$ 1,263개소의 어도를 평가한 결과 중 양호 354개, 중간 835개, 불량 74개로 전체어도 중 약 72%가 중간등급 이하로 평가되어 대체로 보수 및 보완이 필요한 어도가 많은 것(풀형식 제외)으로 나타났다. 중간등급 어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경사도가 가장 큰 문제점을 보였고, 출구가 가장 적은 문제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개선이 이루어져야 어도가 제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bullet}$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의 경우 어도설치율이 14%이며 이 중 양호한 어도가 28%로 평가되어 실제 어류가 이용가능한 어도는 약 4%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에서 실제 어류가 이용가능한 어도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 하천의 단절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설치된 어도의 보수 및 보완과 어도의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도를 신설할 때에는 무분별한 어도의 설치보다는 수산연구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어도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 설치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법령개정 및 예산확보를 통해 어도의 지속적인 점검 및 관리가 이루어질 때 생물의 이동통로가 확보되어 횡구조물에 의한 하천의 단절현상을 점차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하류의 수질과 오염 부하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ater Quality and the Loading of Pollutants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한영호;홍성근;김영섭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2호
    • /
    • pp.72-78
    • /
    • 1984
  • 물금, 양산천, 화명동 그리고 하단에 이르는 낙동강하류역에서 1983년 5~6월에 조석변동에 따른 수질분석과 유출량을 조사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양산천의 본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산천의 총부유물질 값은 6.1~21.3mg/l로 다른 측점에서보다 높았다. BOD의 평균치는 물금에서 1.16mg/l, 양산천 1.83mg/l, 화염동 0.79mg/l, 하단에서 3.56mg/l였다. 2. 영양염류의 농도는 하단에서 가장 높았고, 양산천에서의 값 역시 본류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구리와 아연의 농도는 양산천에서 가장 높았다. 3. 각 측점에서의 평균유출량은 물금 97.02m super(3)/sec 양산천 3.7m super(3)/sec, 화명동에서 98.76m super(3)/sec였고 양산천의 본류에 대한 유출량 비는 약 4% 정도였다. 4. TSS, VSS, BOD에 대한 오염부하량들은 상류인 물금에서 하류인 화명동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BOD와 영양염류의 부하량은 화명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5. 물금에서의 평균부하량에 대한 양산천의 평균부하량 비는 약 8.3%로 나타났다.

  • PDF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 구간에서 유입유량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특성 변화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Flow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Discharge Variations at the Confluence of Nakdong and Geumho Rivers)

  • 장은경;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59-66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하천의 지류와 본류가 만나는 합류부를 대상으로 유량변화에 의한 수리특성 변화를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 구간은 각각 본류와 지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으로 인해 복잡한 흐름이 형성되는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구간은 단순히 합류각이나 하폭비 등으로 일반화하여 흐름 양상을 정의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닌 본류의 만곡과 지류의 유입이 동시에 나타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구간이다. 수치모의 조건은 해당구간에서 2012년에 실제 발생한 홍수사상을 모의조건으로 선정하였다.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었던 합류부 구간에 비해 합류 후 만곡부 구간에서의 가장 큰 유속이 발생하였으며 유속 및 하상변화 또한 동일한 구간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유량 변화에 의한 영향으로는 홍수에 의한 변화보다는 평수시 흐름이 이 구간의 흐름과 하상변화에 더 지배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의 대상구간에서는 하도 안정화를 위한 대처가 필요한 구간이 합류부 구간보다는 합류 후 만곡부 구간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