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ring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제천 의림지 소나무 연륜생장 쇠퇴도 분석을 통한 고사 연도 및 원인규명 연구 (Examination of Death Years and Causes by the Analysis of Growth Decline in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from the Euilimji Lake Park in Jecheon, Korea)

  • 서정욱;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11
  • Six pine trees (Pinus densiflora S. et Z.) at the Euilimji Lake Park in Jecheon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ree ages, growth decline pattern and the years of death. Tree-ring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Lintab with a resolution of 0.01mm. Tree age were 80-176 years. Cross-dating between the tree-ring series of each tree and the local chronology from Worak Mountain resulted that four and two trees died in 1998 and 1999, respectively. Three dead trees had only formed earlywood in the outermost tree ring and the others had incomplete latewood. Therefore, it was proven that the former trees died between spring and early summer, whereas the later ones died during late summer and/or autumn. The simultaneous deaths of trees suggest the insect damage and/or drought may be the crucial reason of the death, but frequent reaction woods, which were formed by leaning stem, and scars formed by physical damage may also contribute to the death.

Structure of Longitudinal Tracheids in Different Tree Heights for Pinus koraiensis

  • Ahmed, Sheikh Ali;Chong, Song-Ho;Park, Byung-Su;Kim, Kyeong-So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9-114
    • /
    • 2006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annual ring width, longitudinal tracheid diameter and wall thickness in different tree heights for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annual ring width increased along with the tree height, however the tracheid diameter and wall thickness decreased with the tree height. Tracheid wall thickness was found the thickest at 2.0m from the above ground samples and it increased gradually from pith to bark. Radial tracheid diameter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at of tangential tracheid diameter in earlywood. But, it was found to be the opposite in latewood. In earlywood, the average values of tracheid wall thickness was found the range of $2.1-3.0{\mu}m$, whereas, in latewood, it was $2.4-4.2{\mu}m$.

  • PDF

충북지역 주요 수종의 연륜생장량 특성에 관한 연구 (Annual Tree Ring Growth Characteristics for Major Species in Chungbuk Province)

  • 서연옥;이영진;박상문;표정기;정진현;김성호;최정기;이우균;정동준;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1-6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도 조사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북지방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하여 평균 연륜생장량과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56개소로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 분포 비율이 높은 10개 수종에 대하여 총 800본의 연륜생장량이 조사된 목편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충북지방에서 평균 연륜생장량이 가장 높은 수종은 아까시나무(2.30mm/yr)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졸참나무(2.27mm/yr)>산벚나무(1.98mm/yr)>일본잎갈나무(1.98mm/yr)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요 수종들의 경우, 영급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륜생장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Reconstructing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Using Its Relationship with Carbon Isotope Variations in Annual Tree Ring of Red Pine

  • Choi, Woo-Jung;Lee, Kye-Han;Lee, Sang-Mo;Lee, Seung-Heon;Kim, Han-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2-366
    • /
    • 2010
  • Carbon isotope ratio ($^{13}C/^{12}C$, expressed as ${\delta}^{13}C$) of tree ring can be proxy of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CO_2$]) due to the inter-correlation between atmospheric [$CO_2$], ${\delta}^{13}C$ of atmospheric $CO_2$, and ${\delta}^{13}C$ of plant tissue that assimilates atmospheric $CO_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f ${\delta}^{13}C$ of tree ring of Pinus densiflora in polluted area may show a lower value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atmospheric [$CO_2$] using its relationship with ${\delta}^{13}C$ of tree ring.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9 and 2005, ${\delta}^{13}C$ of tree annual ring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nd the ${\delta}^{13}C$ in polluted area (-27.2‰ in 2009 to -28.3‰ in 2005) was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at (-26.0‰ in 1999 to -27.1‰ in 2005) in unpolluted area. This reflects a greater emission of $CO_2$ depleted in $^{13}C$ in the polluted area. Atmospheric [$CO_2$] was significantly (P<0.01) correlated with ${\delta}^{13}C$ of tree ring in a linear fashion. Using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atmospheric [$CO_2$] in the polluted area was estimated to range from 392.3 ppm in 1999 to 410.9 ppm in 2005, and these value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e national atmospheric [$CO_2$] monitored at the Anmyoundo meteorological station (from 370.7 ppm in 1999 to 387.2 ppm in 2005). Our study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atmospheric [$CO_2$] in a certain area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ring ${\delta}^{13}C$ and atmospheric [$CO_2$].

신생대 제4기 울릉도 나리칼데라 부석층에서 산출된 탄화목의 연륜연대 및 수종식별 연구 (A Study on Tree-ring Dating and Speciation of Charcoal found in Pumiceous Deposit of the Quaternary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 임지현;추창오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501-508
    • /
    • 2015
  •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칼데라에서 산출된 탄화목의 수종식별, 연륜분석, 방사성탄소 연대를 통해 고식생/고환경, 분출연대 및 화산쇄설물의 정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탄화목은 울릉도 최후기 화산쇄설층을 대표하는 나리테프라층의 최하부(Member N-5) 부석질 퇴적층 내에서 채취되었으며, 나이테의 원형(횡단면)이 잘 보존된 나무의 가지 부분이다. 분석결과, 수종은 소나무과 중 가문비나무속(Picea spp.)으로 식별되었으며 최외각 나이테의 연륜은 $263+{\alpha}$ 년으로 확인되었다. 나이테는 중심(pith)에서 바깥쪽을 향해 그 나이가 점차 젊어지며 $20,260{\pm}230$, $19,995{\pm}245$$19,975{\pm}265cal\;BP$ 의 보정연대를 가진다. 가장 젊은 연대인 19,710 cal BP 는 Member N-5의 분출과 관련된 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결과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울릉도 나리칼데라는 가문비나무가 번성하였으며, 한랭 습윤한 기후조건하에 있었음을 지시한다. 광택, 취성, 색 및 조흔색 등의 특성에 기초하면, 탄화를 야기한 화산쇄설물의 최소 온도는 약 $350{\sim}500^{\circ}C$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기후인자가 Pinus densiflora의 연륜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 이상태;박문섭;전향미;박진영;조현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7-186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의 지역별 연륜생장의 특성 및 기후권역 분류에 의한 온도 및 강수량이 임목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륜생태학적 측면에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전국 28개 시군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 권역별 군집분석에 의하여 구분된 5개 기후권역은 거창, 보은, 봉화, 영주, 영동, 영월, 원주, 제천, 태백 등의 백두대간지방과 구미, 대구, 문경, 안동, 영천, 의성 등의 경북내륙지방, 금산, 남원, 임실, 장수 등의 호남내륙지방, 밀양, 산청, 진주, 합천 등의 경남내륙지방과 그리고 김해, 영덕, 울산, 울진, 포항 등의 동부해안지방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른 각 지역별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월별평균 온도, 월별강수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3월, 경북내륙지방과 동부해안지방은 당해연도의 2~3월 그리고 호남내륙지방은 생장기 전년도 10월에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4월, 경북내륙지방은 전년도 8월과 9월 그리고 당해연도 3월에서 정의 상관을, 호남내륙과 경남내륙지방에서는 생장기 당해연도 6월, 동부해안지역에서 6월과 9월의 강수가 정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점 강우자료와 기후지표자료에 나타난 동아시아 기후의 종관적 변화특성 (Synoptic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 Climate Appeared in Seoul Rainfall and Climatic Index Data)

  •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건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B호
    • /
    • pp.409-4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ree-ring width 지표자료, 태양흑점수, 남방진동지수(SOI) 및 지구온도 아노말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울지점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정확도를 가늠해 보았다. 그리고 한반도 인근지역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과거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상관성과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측우기 강우량 자료는 다른 비교분석 대상 자료들과 경향성과 변화심도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반도 주변 6개 지점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분석결과, 장기적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는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상관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에는 장주기적인 재현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 이후의 기후변화 특성은 통계적인 거동특성이나 변화폭이 과거의 재현사상의 한계를 넘지는 않으나 과거와는 다른 경향성과 불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현주기도 짧아지고 있어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거자료에 근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장기 예측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