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conversion proces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7초

CTOC에서 루프 벗기기 구현 (Implementation of Loop Peeling in CTOC)

  • 김기태;김제민;유원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7-35
    • /
    • 2008
  • 최근 웹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바 바이트코드의 분석과 최적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CTOC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CTOC는 바이트코드에 대해 분석과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 E-Tree를 중간 표현으로 사용하는 eCFG를 생성한다. eCFG는 바이트코드에 대한 제어 흐름 분석에 적합하도록 확장한 제어 흐름 그래프이다. 또한, 바이트코드를 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E-Tree를 SSA Form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과정 중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에서 루프가 발견된다. 하지만 기존의 CTOC에서는 루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SSA Form으로 변환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SSA Form으로 변환 이전에 루프를 처리하면 더욱 효율적인 SSA Form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루프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E-Tree를 SSA Form으로 변환하는 과정 이전에 eCFG에서 루프를 발견하고 이와 관련된 루프 트리를 생성한 후 루프 벗기기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다.

  • PDF

INTERACTIVE SYSTEM DESIGN USING THE COMPLEMENTARITY OF AXIOMATIC DESIGN AND FAULT TREE ANALYSIS

  • Heo, Gyun-Young;Lee, Tae-Sik;Do, S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51-62
    • /
    • 2007
  • To efficiently design safety-critical system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with the requirement of high reliability, methodologies allowing for rigorous interactions between the synthesis and analysis processes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a reliability-centered design framework through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Axiomatic Design (AD) and Fault Tree Analysis (FTA). Integrating AD and FTA into a single framework appears to be a viable solution, as they compliment each other with their unique advantages. AD provides a systematic synthesis tool while FTA is commonly used as a safety analysis tool. These methodologies build a design process that is less subjective, and they enable designers to develop insights that lead to solutions with improved reliability. Due to the nature of the two methodologies, the information involved in each process is complementary: a success tree versus a fault tree. Thus, at each step a system using AD is synthesized, and its reliability is then quantified using the FT derived from the AD synthesis process. The converted F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ompleteness of the outcome from the synthesis process.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the design of a Containment Heat Removal System (CHRS). A case study illustrates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CHRS with an interactive design framework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the AD process to FTA.

CTOC에서 루프 트리 구성하기 (Constructing A Loop Tree in CTOC)

  • 김기태;김제민;유원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2호
    • /
    • pp.197-206
    • /
    • 2008
  •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바 바이트코드의 분석과 최적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CTOC 프레임워크가 구현되었다. CTOC에서는 바이트코드에 대해 분석과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eCFG를 생성하였다. 분석하기 어렵다는 바이트코드의 특성 때문에 기존의 바이트 코드를 제어 흐름 분석에 적합하게 확장하여 제어 흐름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를 확장된 제어 흐름 그래프인 eCFG라 부른다. 또한 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eCFG를 SSA Form으로 변환 하였다. 변환 시 많은 프로그램에서 루프가 발견되었다. 이전 CTOC에서는 루프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SSA Form으로 변환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SSA Form으로 변환하기 이전에 루프에 대한 부분을 처리하면 더욱 효율적인 SSA Form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루프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eCFG를 SSA Form으로 변환하는 과정 이전에 루프를 발견하고 이와 관련된 루프 트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인다.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nking Rhus Tree-Extract on Performance of Broiler)

  • 손장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1
    • /
    • 2004
  • 본 연구는 육계 생산과정에서의 천연항생제 개발을 위해서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320수의 1일령 육계에 옻나무 추출액 0 ppm (대조구), 500 ppm (T1), 1,000 ppm (T2) 및 2,000 ppm (T3)을 음용수와 함께 7주간 급여하였다. 증체중과 사료요구율은 35일령 까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그 이후는 옻나무추출액의 급여구가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고 그 개선정도는 T3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맹장 내용물 및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옻나무 추출액의 급이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사료중 건물,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 급이에 의해서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으며, 사료중 조단백질 소화율은 3개의 처리구 공히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증체량, 사료요구율, 맹장내용물과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총의 감소 및 영양소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동단말을 위한 적응적 웹 문서 변환 (Adaptive Conversion of Web Content for Mobile Terminals)

  • 강성천;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6호
    • /
    • pp.635-64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단말에 적응적으로 웹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문서 변환 방법과 적응적 태그 단순화(tag reduction)를 수행하기 위한 RHTML(Reduced HTML)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적응적 문서 변환 방법은 마크업(markup) 오류 제거 과정을 통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응용 문서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웹 문서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사용하여 트리 구조로 손쉽게 다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동 단말에서 마크업 오류를 수정하는 하드웨어의 부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문서를 단순화하는 과정에서는 RHTML에 정의 된 3가지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중 하나를 참고하여 이동 단말에 적응적으로 웹문서를 제공한다.

  • PDF

낙엽송 제재에 따른 이용재적 산출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Wood Recovery Estimation Model for the Tree Conversion Processes of Larix kaempferi)

  • 권기범;한희;설아라;정혜진;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84-490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 개체목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제재목 및 제재 부산물의 양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수간곡선 추정식을 이용하여 개체목의 전간재적을 산출하고 절동된 원목에 대한 목재 가공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재 및 각재, 원주목의 규격에 따른 최대 생산가능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제재목 가공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톱밥 및 죽데기의 잔존재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흉고직경 12 cm 이상부터 제재목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제재목의 생산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큰 규격의 판재와 각재를 생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판재와 각재 혹은 원주목을 생산하는 것에 비해 더 많은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이 모델은 낙엽송의 이용재적 산출을 통한 산림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물론, 최근 목질계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톱밥과 같은 제재 부산물의 양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XMDR을 이용한 정형화된 메시지 교환 기법 설계 (Design of Formalized message exchanging method using XMDR)

  • 황치곤;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87-1094
    • /
    • 2008
  • 최근 들어 XML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XML 문서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같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경우 데이터 이동은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MDR 래퍼는 XML Schema의 트리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트리 구조를 통해 XML Schema를 재생성하여 XMDR_Query와 함께 각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결과로 반환되는 XML 문서는 XML Schema에 따라 XML 태그를 코드화하여 정형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정형화된 XML 문서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XML 계층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 추출, 변환 및 정렬에 효율적 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정형화된 형식 이므로 XSLT를 통한 변환과정에서도 효율적이다. 각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XML Schema와 XMDR_Query는 XMDR(eXtended Meta-Data Registry)을 통해 생성하고, 각 스테이션의 래퍼에서 결과 생성 및 XML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X-treeDiff+ 기반의 프로그램 복제 탐지 (Program Plagiarism Detection based on X-treeDiff+)

  • 이석균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4호
    • /
    • pp.44-53
    • /
    • 2010
  •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프로그램 복제는 프로그래밍 학습 효율을 저해하는 심각한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과제의 무분별한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유사 또는 동일 프로그램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지문법이나 스트링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탐지 기법과는 달리, 우선 C 프로그램을 파싱하여 문법요소를 엘리먼트로 하는 XML 문서로 변화시킨 후 XML 문서의 변화탐지 알고리즘인 X-treeDiff+를 실행시켜 그 차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때 대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도와 두 문서의 차이로 제시되는 일련의 편집연산인 편집스크립트를 프로그램 복제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복제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편집스크립트의 분석은 두 프로그램 간의 변환 과정을 유추할 수 있게 하여 기존 방법들과는 달리 사용자는 과제의 성격이나 복제의 정도를 고려한 정성적인 판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HVDC 서브모듈용 커패시터의 고장 분석 (Failure analysis of capacitor for sub-module in HVDC)

  • 강필순;송성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41-947
    • /
    • 2018
  • 일반적으로 커패시터는 빈번한 충 방전으로 시스템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압, 대전류의 HVDC 서브모듈용 필름 커패시터의 핵심 고장원인을 분석하여 커패시터의 설계 및 제조공정의 주의사항을 분석한다. 먼저 커패시터의 FMEA 수행을 통해 고장원인, 고장모드, 고장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커패시터의 고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고장원인과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커패시터에 대한 고장나무(Fault-tree)를 제시하고 설계인자와 구동환경의 조건에 따른 고장률을 분석한다. 커패시터 고장의 핵심 원인이 커패시턴스 변화에 있음을 확인하고, 커패시터의 고장률 저감을 위해서 커패시터의 설계와 제조공정 중 온도상승, 코로나 발생, 전극팽창, 절연거리 감소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을 검증한다.

RS/GIS를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의한 녹지의 이산화탄소 (CO2) 흡착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Carbon Absorption Distribution by Land Use Changes using RS/GIS Method in Green Land)

  • 나상일;박종화;박진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39-45
    • /
    • 2010
  • Quantification of carbon absorption and understanding the human induced land use changes (LUC) forms one of the major study with respect to global climatic changes. An attempt study has been made to quantify the carbon absorption by LUC through remote sensing technology. The Landsat imagery four time periods was classified with the hybrid classification method in order to quantify carbon absorption by LUC. Thereafter,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the stand biomass of forest was estimated with the total weight, which was the sum of individual tree weight. Individual tree volumes could be estimated with the crown width extracted from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In particular, the carbon conversion index and the ratio of the $CO_2$ molecular weight to the C atomic weight, reported in the IPCC guideline, was used to convert the stand biomass into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Total carbon absorption has been modeled by taking areal estimates of LUC of four time periods and carbon factors for land use type and standing biomass.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LUC suggests that over a period of construction, 7.10 % of forest and 9.43 % of barren were converted into urban. In the conversion process, there has been a loss of 6.66 t/ha/y (7.94 %) of carbon absorption from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