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29초

Bus Links를 고려한 부산지역 간선도로 소통체계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Optimal Design of the Travel System with Bus Links on the Arterial in Pusan)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9-105
    • /
    • 1994
  • Today travel demand in the City of Pusan is increasing with the wide scope of activity and the better living circumstances as a big city with a population of about 4 million. Also, the transportation problem of Pusan city becomes one of the severest urban problems with travel demand increasing in spite of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find the travel characteristics on the arterial under the study, construct the optimal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TSM) which could increase the travel capacity of the arterial based upon the optimal travel systems constructed. Thus, it was concluded that more emphasis should be of the automobiles into the Downtown areas, increase the travel capacity of the arterial through Mass Transportation System(MTS) including the HOV lanes or the Bus Exclusive Lanes instead.

  • PDF

무빙부품의 과다 닫힘 방지를 위한 오버슬램 범퍼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Over-slam Bumper for Moving Part Over-travel)

  • 최연욱;기원용;이종현;허승진;이철홍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66-72
    • /
    • 2014
  • A kinematic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as analysis method for dynamic behavior of moving parts of vehicle, especially hood part. Such analysis method, however, has its limitations in terms of design technology, including, over travel of hood that occurs due to lack of considerations of compliance characteristics, such as flexible components of hood's weather strip and over slam bump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ing which reflects compliance of flexible components of hood and elastic characteristics of panel for improvement of design process. In this thesis, a finite element method as mentioned earlier, is developed to represent over travel of hood. Also optimization process applying sequential approximate optimization is suggested to prevent over travel. The over travel analysis method and optimization process, which are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would make it possible to design with high quality and credi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time for design would be reduced and the design quality also improved.

TCS 자료를 이용한 강설과 고속도로 통행특성 관계 연구 (Analysis of Snowing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Using TCS Data)

  • 백승걸;정소영;이태경;원제무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8-79
    • /
    • 2010
  • 기상조건은 도로 및 운전조건을 열악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와 정체의 원인이 되며, 운전자의 통행선택에 영향을 미쳐 기종점통행특성도 변화시킨다. 기종점 통행량은 교통계획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지만, 기상조건과 통행량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강설조건이 기종점간 통행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 1998년-2008년 기상자료와 TCS 통행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설일과 비강설일의 차종별 일통행량, 평균통행거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강설수준별 통행량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설일 대비 비강설일의 통행량은 감소하며, 통행거리도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강설시 주말/평일별 차종별로 통행특성의 차이가 있고, 강설수준에 따른 통행량의 차이도 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SNS 여행정보특성이 온라인 여행상품 구매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NS Touris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the Determinant Factor of Internet Travel Products Purchase)

  • 전창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6
    • /
    • 2018
  • 본 연구는 SNS 여행정보 특성과 온라인 여행상품 구매결정요인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SNS 여행정보에 대한 특성은 신뢰성, 흥미성, 상호작용성 및 유용성의 4가지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여행상품 구매결정요인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17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4가지 차원 즉, 안전성, 가격 및 비용, 고객서비스, 이용 편리성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SNS 여행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집단은 온라인 구매결정요인 중에서 이용편리성을 중요시하고 SNS 여행정보의 흥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가격 및 비용을 중요시하고 SNS 여행정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모두가 고객서비스 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궤적 기반 고령인구 통행유형 분류 (Understanding elderly's travel pattern based on individual trip trajectory using smart card data)

  • 이주윤;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153-169
    • /
    • 2022
  • 평균수명의 연장과 급속한 고령화로 고령 인구 개인의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상이해짐에 따라 해당 연령층을 하나의 집단으로 정의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해당 연령층을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집단으로 보고, 각 특성에 따른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이용 궤적 데이터인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 인구 개인이 가지는 통행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마트카드 자료의 전처리를 통한 개별 사용자의 통행특성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사한 통행특성을 보이는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4개 유형 중 원거리 저빈도 체류형과 근거리 중빈도 이동형 유형은 은퇴 후 여가를 위한 외부 활동 통행 특성을 보이며, 원거리 고빈도 체류형, 원거리 고빈도 이동형 그룹은 정기적 출퇴근 통행을 포함한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고령 인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속버스 통행시간 예측의 정확도 제고를 위한 입력자료 분석기간 선정 연구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for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Express-Bus Travel Times)

  • 남승태;윤일수;이철기;오영태;최윤택;권건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9-108
    • /
    • 2014
  • PURPOSES : The travel times of expressway buses have been estimated using the travel time data between entrance tollgates and exit tollgates, which are produced by the Toll Collections System (TCS). However, the travel time data from TCS has a few critical problems. For example, the travel time data include the travel times of trucks as well as those of buses. Therefore, the travel time estimation of expressway buses using TCS data may be implicitly and explicitly incorre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expressway bus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DSRC-based travel time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METHODS : All expressway buses are equipped with the Hi-Pass transponders so that the travel times of only expressway buses can be extracted now using DSRC.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ravel time patterns of the expressway buses operating between Seoul and Dajeon. And then, this study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for the expressway bus travel time estimation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odel. RESULTS : As a result of feasi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period, overall MAPE values were found to be similar. However, the MAPE values of the cases using similar volume patterns outperformed other cases. CONCLUSIONS : The best input period was that of the case which uses the travel time pattern of the days whose total expressway traffic volumes are similar to that of one day before the day during which the travel times of expressway buses must be estimated.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to Korea)

  • 김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07-51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있어서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성별, 나이, 국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 특성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여행형태, 동반자수, 방문 목적, 이용 숙박 시설, 주요 방문지, 방문 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지출 경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횟수에 따라 1인당 개별 숙박비, 1인당 본인 거주국 지불 경비에서, 만족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출입국 절차,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 매력, 관광 안내 서비스, 치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행 후 행동의도 및 이미지 평가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향후 3년 내 재방문 의향, 타인 추천 의향, 여행 전 한국 이미지, 여행 후 한국 이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관광 수익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하다.

KTX 통근권역의 통행행태 분석 (Travel Behavior Analysis of KTX Commuter Belt)

  • 이진선;김경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17-423
    • /
    • 2008
  • 교통계획을 수립하는 계획가들은 그동안 출퇴근 교통수단의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본 논문은 경부축 고속철도 등장이후 지역간 통행체계의 변화된 통근행태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코레일의 2004년$\sim$2008년 간의 자료이다. KTX 정기권 이용자의 등장으로 인해 그동안의 정성적인 추정이 아닌 계량적인 분석을 통해 통근권 변화에 대해서 거리대, 시간대, 운임수준 및 기종점 통행패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KTX로 인해 통근거리는 길어졌지만 통행시간 감소로 인한 편익을 인식하게 되면서 정기권 이용자의 통근권역이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

비신호교차로에서의 교통류특성 및 접근지체모형 개발 -상충지역 통행속도 이용-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Approach Delay Models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Based on the Travel Speed)

  • 박용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63
    • /
    • 199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to develop approach delay model of unsignalized intersection based on the travel speed in the conflicti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The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s of Left-turning speed show a few differences among approaches and they are distributed to lower range of speeds.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rough speed show obvious differences among bounds. The similar results also show in the analysis of Percentile speed. 2.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ing movements to travel speed in the conflicting area a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Left-turning speed model shows that Left-and Right-Conflicting speed. Through-speed model is also developed, when approaching through volume is less than 420vph. 3. Since the lost time due to the acceleration stop, and decelerlation is occured in the conflicting area, approach delay model is delivered using the travel speed models under the condition of small queuing delay.

  • PDF

강우와 고속도로 통행특성의 관계 연구 (Analysis of Rain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 백승걸;김범진;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9-128
    • /
    • 2008
  • 기상조건은 도로 및 운전조건을 열악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와 정체의 원인이 되며, 운전자의 통행선택에 영향을 미쳐 기종점통행특성도 변화시킨다. 기종점 통행량은 교통계획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지만, 기상조건과 통행량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상조건이 기종점간 통행특성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연구로, 2006년 1년간 전국적 강우일의 고속도로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강우일과 비강우일의 차종별 통행량, 총통행거리, 평균통행거리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강우수준별 통행량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우일의 통행량 및 통행거리는 비강우일 때보다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강우시 주말/평일별 차종별로 통행특성의 차이는 있으나, 강우수준에 따른 통행량의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