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end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초

교정용 브라켓 접착부의 피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TIGU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ENAMEL)

  • 최해운;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72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학중합형의 접착제(Mono-$Lok^2$)로 소구치에 부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기계적 및 열적 피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종의 금속 브라켓(Ormesh, Microloc)과 3종의 세라믹 브라켓(Fascination, Starnre, Transcend 2000)을 사용하였다. 100만회의 반복 비틀림과 1,000회의 thermocycling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파절부위를 stereoscope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면에 대한 브라켓 접착계면의 전단결합강도는 Fascination 군이 $20.78\pm5.23$ MPa로서 가장 크고, Microloc 군에서 $14.88\pm3.10$MPa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Fascination, Starfire 군과 Microloc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10^5$회의 반복비틀림을 가한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Fascination 군이 $20.19\pm3.45$ MPa로 가장 크고 Starfire 판이 $9.10\pm8.33$ MPa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피로시험 후 Transcend 2000 군(P<0.01)과 Starfire 군(P<0.05)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3. 1,000회의 thermocycling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Ormesh 군이 $19.36\pm2.76$ MPa로 가장 크고, Starfire 군이 $11.94\pm6.86$ MPa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hermocycling 후 Transcend 2000(P0.01), Microloc과 Starfire 군(P0.05)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4. 접착계면의 파절양상은 thermocycling시는 정적 시험군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반복비틀림시는 Ormesh와 Transcend 2000 군에서는 모두 브라켓과 레진 계면에서, Microloc 군은 모두 레진내에서 파절되는 경향을 보였다. Fascination 군은 피로시험조건에 관계없이 법랑질과 레진의 계면에서 파절되었다.

  • PDF

세라믹 브라켓과 교정용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FERENT CERAMIC BRACKETS AND ADHESIVES)

  • 이주원;유동환;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5-326
    • /
    • 1997
  • 여러 세라믹 브라켓과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영구 소구치 48개를 대상으로 베이스의 유지 형태가 다른 3종의 세라믹 브라켓을 광중합과 화학 중합을 포함한 3종의 교정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을 관찰한 결과, 화학 중합형 레진으로 접착한 경우 광중합형으로 접착한 경우보다 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화학적 결합을 하는 Starfire 브라켓이, 기계적 결합을 하는 Transcend나, 복합형 결합인 Fascination 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낮았다. Trascend는 주로 법랑질과 레진(E/R)에서, Fascination은 법랑질, 레진, 브라켓 베이스에 혼합(COMB)되어 파절되며, Starfire는 레진과 브라켓 베이스(R/B)에서 파절이 나타났다.

  • PDF

교정용 브라켓과 호선 간의 마찰 저항력의 비교 (Comparison of frictional forces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archwires)

  • 서충환;정혜승;조진형;강경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6-126
    • /
    • 2005
  • 본 연구는 고정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 치료에서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 사이의 활주 이동 동안 발생하는 마찰력에 디자인과 재질이 다른 각각의 브라켓과 여러 종류의 호선 다양한 브라켓-호선 각도 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브라켓 (stainless steel twin 브라켓인 Gemini, 좁은 근원심 폭경과 single bracket의 디자인이 포함된 Mini Uni-Twin. metal-reinforced 세라믹 브라켓인 Clarity. 세라믹 브라켓인 Transcend)을 사용하고, 3종의 교정용 호선(0.015"$0.010\times0.022"$ stainless steel 호선, 0.010" Nitinol)을 이용하여 브라켓-호선 각도를 각각 $0^{\circ},\; 3^{\circ}8^{\circ},\; 9^{\circ}$로 조절하면서 실험한 결과, Gemini는 유의하게 가장 낮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으며 (P<0.001). Clarity는 $0^{\circ}$의 브라켓-호선 각도에서 Transcend는 $5^{\circ}와\;9^{\circ}$의 각도에서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고 (P<0.001) $0.016{\times}0.022"$ stainless steel 각형 호선은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으며 (P<0.01). 0.016" stainless steel 원형 호선은 $0^{\circ}와\;3^{\circ}$의 브라켓-호선 각도에서 (P<0.01), 0.016" Nitinol은 $8^{\circ}와\;9^{\circ}$의 각도에서 (P<0.001) 유의하게 가장 낮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고 브라켓-호선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정지, 운동 마찰력도 증가하였다 (P<0.001)

화학중합형 및 광중합형 레진접착제가 금속 및 도재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MICALLY CURED RESIN AND LIGHT CURED RESIN ON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 AND CERAMIC BRACKET)

  • 윤덕상;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5-134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for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s and failure patterns of four experimental groups which combinated mesh-backed metal brackets and texture based ceramic brackets (Transcend series $2000^{(TM)}$) with chemically cured resin (Mono $Lok2^{(TM)}$) and visible light cured resin $(Transbond^{(TM)})$. Brackets were bonded on the extracted human bicuspids, after etching them by manufacturer's recommand, an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on the Instron machine after 24 hrs passed in the $37^{\circ}C$ water ba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ramic brackets, transcend series $2000^{(TM)}$, bonded with $MonoLok2^{(TM)}$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mesh-backed metal brackets bonded with $MonoLok2^{(TM)}$.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metal and ceramic brackets bonded with $(Transbond^{(TM)})$. 3. Ceramic brackets bonded with both $(Transbond^{(TM)})$) and $MonoLok2^{(TM)}$ showed primarily fractures between brackets adhesive interface. 4. Enamel crack was not found in anyone specimen.

  • PDF

도재 및 레진 브라켓에 대한 광중합 접착제의 전단 접착 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ceramic and resin brackets used with visible light-cured adhesives)

  • 황유선;노준;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3-244
    • /
    • 1996
  • 성인 환자의 증가와 심미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도재나 레진 브라켓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에서의 광중합 접착제의 사용은 짧은 광조사 시간에서도 광중합 접착제의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으로 우수한 수 종의 도재 및 레진 브라켓을 수 종의 광중합 접착제로 접착시켜 전단 접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140개의 소구치를 협측면이 노출되도록 자가중합 레진으로 매몰하고 소구치 협측면에 Plastl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및 Starfire TMB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 및 Transbond로 제조자 지시에 따라 접착시켜 열변환기 로 1800회 온도 변화를 준 후 전단 접착 강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고 접착 파절 양상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10초와 20초의 광조사 시간과 두가지 광원에 대해 전단 접착 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동일한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와 Transbond로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 접착 강도는 Plastic bracket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동일한 접착제로 Plasti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Starfire TMB를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 접착강도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Starfire TMB에서 가장 큰 전단 접착강도를 보였고 이는 Transcend 6000과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Singnature와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접착 파절은 전체 군에서 잔류 접착제가 반 이상 또는 모두 치아면에 남은 경우가 $72.1\%$로 대개 브라켓과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4. 접착제 중합을 위한 광조사 시간은 10초와 20초에서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400mW/cm^2$ 이상의 광도에서는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해도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도재 브라켓의 전단 접착강도는 브라켓 조성과 브라켓 접착면의 유지형태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고 광중합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접착 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임상에서 브라켓이나 접착제 선택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라믹 브라켓의 제거 시 Er:YAG 레이저의 효능 (Efficiency of ceramic bracket debonding with the Er:YAG laser)

  • 서충환;장나영;채종문;조진형;김상철;강경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3-2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브라켓 제거에 Er:YAG 레이저 조사가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 브라켓 제거에 적합한 레이저 조사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또 이렇게 적용된 레이저가 치수와 법랑질에 손상을 주는지도 알아보았다. 총 190개의 치아,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MISO),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Transcend series 6000)과 KEY Laser3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단결정, 다결정)와 레이저의 에너지(140, 300, 450, 600 mJ)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레이저를 브라켓당 두 곳에 1펄스씩 조사하고,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는 군으로 하였다. 레이저 조사에 의한 열 효과는 브라켓 하방 법랑질과 치수강에서 측정하였으며, 전단 강도 측정 후 치면에 남아있는 접착제의 양을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레이저 조사로 인한 접착제의 파괴 양상과 법랑질 표면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모든 세라믹 브라켓군에서 레이저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전단 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브라켓 하방 법랑질에서 최대 온도 변화는 평균 $3.78^{\circ}C$ 상승에 그쳤으며, 치수강에서 최대 온도 변화는 평균 $0.9^{\circ}C$ 상승에 그쳤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법랑질과 접착제 단면 관찰에서 접착제 표면이 레이저에 의해 붕괴되어 분화구 모양의 구덩이로 관찰되었으며, 일부 시편에서 약 $10\;-\;30{\mu}m$의 법랑질 손상이 발견되었다. Transbond XT로 부착된 단결정 도재 브라켓(MISO)의 디본딩에 Er:YAG 레이저를 이용할 경우, 300 - 450 mJ의 레이저 에너지를, 그리고 다결정 도재 브라켓(Transcend series 6000)의 경우는 450 mJ 정도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단접착강도와 탈락양상을 고려한 브라켓-접착제의 선택 (A Study on Bracket-Adhesive Combinations in Aspect of Shear Bond Strength and Bond Failure)

  • 한재익;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5-974
    • /
    • 1998
  •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손상과 브라켓파절을 적게 일으키는 브라켓-접착제의 그룹을 찾아내기 위하여 전단접착강도, 법랑질손상, 브라켓탈락양상,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연구하였다. 교정치료 목적으로 발치한 240개의 치아를 각각 10개씩 2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브라켓을 접착한 후 48시간 후에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탈락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접착된 치아를 반으로 자른 후 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였다. 6종류의 브라켓과 4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되었으며 브라켓은 Image, Plastic, Crystaline, Fascination, Transcend, metal bracket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제로는 No-mix, Light-Bond, OrthoLC, Superbond C&B가 사용되었다. 이와같은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전단접착강도는 Fascination-Light Bond 군에서 36.58 Kg(410.07 Kg/$cm^2$)으로 가장 높았으며 Image-OrthoLC 군에 서 8.93 B◎ (75.51 Kg/$cm^2$)으로 가장 낮았다.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전단접착강도는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비교적 낮았다. 2.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Fascination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Image, Plastic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낮았다. Crystaline, Transcend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metal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와 비슷하거나 낮았다. 3. 전단접착강도와 법랑질 파절, 브라켓 파절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접착강도가 증가할수록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증가하였다. 4.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Superbond C&B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는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의 빈도가 높았다. 5. No-mix, Light-Bond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eramic bracket에서 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6.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을 일으키지 않는 군은 Crystaline-No mix, Crystaline Light Bond, Crystaline-OrthoLC, metal-No mix, metal-Light Bond, metal-OrthoLC군이였다.

  • PDF

$O^{2}LDM$ : 객체지향 논리 데이터모형을 위한 언어 ($O^{2}LDM$ : A Language for Object-Oriented Logic Data Modeling)

  • 정철용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4권2호
    • /
    • pp.3-34
    • /
    • 1994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w data modeling language we call $O^{2}LDM$. $O^{2}LDM$ incorporates features from object-oriented and logic approaches. In $O^{2}LDM$ there is a rich collection of objects organized in a type hierarchy. It is possible to compose queries that involve field selection, function application and other constructs which transcend the usual, strictly syntactic, matching of PROLOG. We give the features of $O^{2}LDM$ and motivate its utility for conceptual modeling. We have a prototype implementation for the language, which we have written in ML.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executable semantics of the deductive process used in the language. We work some examples to illustrate the expressive power of the language, and compare $O^{2}LDM$ to PROLOG.

  • PDF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비물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materiality in Contemporary Interior Space)

  • 신홍경;옥창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76-83
    • /
    • 2004
  • Nowadays, our societies use digital technology in new architectural shape and space design to transcend three dimension limit so the boundary of the imagination world and actuality world has been collapsed. Traditional spatial value has been collapsed. Also indetermination and temporary assumption in time, fluidness and dematerialized, simultaneity and reiteration in image are relative with this circumstances. In architectural shape, media characteristics which secede from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place tectonic value have occurred. Therefore, indifference and interests in shape, inter-permeation in interior and exterior space, homogeneous equivalence spatial extension have occurred. The purpose in this study examines dematerialized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and light materials and also investigates general and architectur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ircumstances of human have changed from physically limited boundary to unfixed, nonphysical, lightness and vague things. Second, casting off volume in shape and also dissembling exclusive and constructive Third, interior and exterior space by transparency intimates media possibility of information screen. Fourth, seek information and organic response, ambivalent transformation, accumulation of image and new mutual understanding system.

현대 공간의 비(非)물질화 경향과 초표피(超表皮) 건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vism in the De-materialization and the Hyper-surface Architecture)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4호
    • /
    • pp.3-9
    • /
    • 2002
  • Entering into the 21st century, digital culture and the innovation of media technology have drastically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pace. Increase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made possible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pace design, which, in turn, offers a possibility for a new paradigm in space design. Given these fundamental chang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to understand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pace.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investigates de-materialization tendency in modern architectural design such as transparency, anti-gravity, complexity and simultaneity of space. It examines the interaction-oriented nature of space among human, information and time. Finally, based on concepts such as new hyper-surface, which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it explores new emerging trends in spac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