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analysis zon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2초

메타분석을 이용한 공사구간 가변속도제한시스템(VSL)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Variable Speed Limit Systems(VSL) in Work Zones based on Meta-analysis)

  • 조영;윤석민;오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91-103
    • /
    • 2016
  • 도로를 점용하는 공사구간은 교통의 흐름이 불안정하여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교통처리 용량을 저하시켜 혼잡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공사구간으로 인한 교통류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교통관리 전략이 연구 개발 되고 있다. 그 중 가변속도제한시스템(VSL ; Variable Speed Limit)은 운전자에게 실시간 교통상황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제한속도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구간에 VSL 적용시 교통운영효율성과 교통안전성 향상 효과를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교통운영효율성 평가에서는 통과교통량이 유의한 변수로, 교통안전성 측면에서는 주행속도의 감소량이 의미있는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과교통량의 승산비 효과크기는 1.164로 공사구간에 VSL 적용 시 16.4%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주행속도의 승산비 효과크기는 0.835로 음의 관계를 나타내어 1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구간의 안전성 및 운영효율성 증대를 위한 VSL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용량 개정에 따른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of-Service Changes of Expressway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raffic Capacity at Work-Zone)

  • 류성우;박권제;한승환;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09-117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available working time at work-zone on the Expressway in accordance to the new capacity manual. METHODS : Sensitivity analysis on variable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the adjusted capacity at work-zon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SULTS :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 available working time at the work-zone were its capacity, number of lanes, terrain and lane width. Other factors have minimal effect on the available working time. Based on the analysis, a calendar of lane closures was suggested. CONCLUSIONS : A series of studies concluded that the capacity at work-zone in the new capacity manual reduced to 76-82% of the existing manual. As such, the available working time decreased.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available working tim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making a plan to rehabilitate the distressed pavement.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어린이 교통사고 모형 개발 (Modeling Traffic Accident Occurrence Involving Child Pedestrians at School Zone)

  • 백태헌;손슬기;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89-498
    • /
    • 2016
  • 이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과 인근지역의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어린이 교통사고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12-2014년 동안 청주시 초등학교 60개소에서 발생한 어린이 교통사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두 개의 어린이 교통사고(사고건수 및 EPDO) 모형이 개발된다. 가산자료 모형 중 포아송 모형이 선택되며, 모형의 우도비는 0.533 및 0.273로 분석 된다. 둘째, 모형의 공통변수로는 4차로 이상의 도로 비율, 진출입구 수, 어린이 보호구역내 신호 횡단보도 수, 어린이 보호구역 표지판 수, 어린이 보호구역 노면표지 수 및 속도제한 표지 수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정변수는 대상지 내 도로 연장, 도로 반사경 및 어린이 보호구역 외 신호 횡단보도 수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어린이가 많은 도로에서는 운전자의 주의 및 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트래픽량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ffic Volume Prediction for e-Commerce Systems)

  • 김정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1호
    • /
    • pp.31-44
    • /
    • 2011
  • 네트워크 기반의 적절한 컴퓨팅은 네트워크 대역폭의 가용성에 의존한다. 백본 네트워크 용량과 액세스 네트워크 상에 심각한 버틀넥이 발생하여 ISP 사업자와 고객 간의 갭이 발생된다면 그만큼 ISP 사업자는 사업에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기 이전 ISP 사업자가 트래픽량 예측과 종단간 오버로드가 높은 링크 구간을 감지할 수 있다면 ISP 사업자와 고객 간의 갭은 그만큼 줄어 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래픽량 예측과 종단간 오버로드가 높은 링크 구간을 감지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ACE, ADM, Flow Analysis를 소개한다. 이들 툴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의 연속적인 트랜잭션을 실망에서 측정한 후 측정된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상 망 환경에 임포트하고 백그라운드 트래픽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가상 망 환경을 토대로 점차적인 사용자 수 증가에 따른 트래픽량 예측과 링크 로드가 높은 구간을 시뮬레이션 결과로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raffic Safety Assessments for Fishing Vessels Near the Southwest Sea Offshore Wind Farm

  • Yoo, Sang-Lok;Jeong, Jae-Yong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ffic safety assessments for fishing vessels near the southwest offshore wind farm. This study applied a collision model for safety assessment. It also involved a spatiotemporal analysis of vessels engaged in fishing to identify fishing hotspots around the offshore wind farm. This study used data from fishing vessel location transmission devices gathered over 1 year in 2014. As a result, in September, when the average number of vessels engaged in fishing is high, 62 ships were operating in fishing section 184-6 and 55 ships in section 184-6. In addition, in fishing sections 184-8 and 192-2, where an offshore wind farm was located, there were 55 and 38 ships operating, respectively. As the recovery period for a seaway near wind farm turbines is 55 years, it was determined that safety measures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collision frequency while allowing fishing vessels to navigate through offshore wind farms. Meanwhile, the return period of Seaway B between the groups of generators considered was 184 years. A safety zone for offshore wind farms should be installed covering a distance of at least 0.3 NM from the boundary of turbines. Then, the collision return period was derived to be close to 100 years. Through this traffic safety assessment, it has been concluded that such measures would help prevent marine accidents.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특성 및 저감방안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and Reduction Methods by Elderly Drivers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Focused on Jeju-)

  • 김경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51-16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유형과 특성 등을 분석하여 교통사고 저감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노인을 위한 실제적인 교통안전정책의 방향 수립에 있다.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실태를 분석한 결과, 노인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조명시설 등 교통안전시설물 설치가 열악한 도시 외곽지역인 지방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는 18~20시 사이로 태양빛이 사라지고 어둠이 드리우는 일몰시간대로 나타났다. 안전운전의무 불이행과 같은 주의력 부족에 의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노인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안전을 위해서는 교통약자인 노인을 배려하는 법제도의 개선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도로안전시설물 등의 정비가 필요하며, 신체적 능력이 저하된 노인운전자는 자신 스스로가 자신의 운전능력을 의심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신뢰 기재인 면허갱신제도 등에 의한 테스트와 대체교통수단 이용을 통한 직접 운전수요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로곡선반경에 따른 가변전광표지의 교통안전효과 분석 (An Analysis of Safety Impacts of Variable Message Signage as Functions of Road Curve Radius)

  • 이상혁;조혜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47-56
    • /
    • 2015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act of variable message signage (VMS) on traffic safety as a function of road curve radius using statistical methods.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VMS installations on traffic safety, travel speed, lateral distance, and geometric data relating to road curvature in each study area was acquired and analyzed for the impact of providing VMS information on driver performance and traffic safety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student t-test, Mann-Whitney test, and the Anderson-Darling test for estimating traffic safety hazard zone in each lan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driv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providing VMS information, it was determined that by providing VMS information, mean travel speed is deceased and vehicles are driven with increased precision, following the centerline in the first and second lanes. Also the results of analyzing traffic safety impacts of VMS indicate that traffic safety performance factors in the first lane of the Gapyeong section can, on average, increase i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lane by 19.22% and 68.98%, respectively,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lane, safety impacts, on average, can increase in both sides by 100%. For the Hongcheon section, traffic safety impacts in the first lane, on average, can increase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ne by 32.31% and 47.18%, and within the second lane, traffic safety can be increase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lane by 10.97% and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act on traffic safety obtained by providing VMS information for road sections with smaller curve radii is greater than can be obtained for road sections with larger curve radii.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안전시설이 구간통행속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of Travel Speed Using the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s)

  • 이호원;주두환;현철승;김동효;박부희;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2
    • /
    • 2012
  • 어린이의 경우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떨어지거나 완성되지 못한 이유 등으로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고, 특히 피해자로서 차대사람 사고(보행 중 사고)의 비중이 다른 연령층이나 비장애인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1995년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보행안전을 확보하고자 일련의 정책들을 시행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의 보호구역에 대한 효과검증 작업에 대한 기초 연구가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해 이러한 시설들의 설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평가지표(MOE)로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구간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하였다. 차량의 속도와 교통사고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과속방지턱, 고원식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은 차량속도를 감속시키는데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행자 보호구역의 교통안전시설물 효과분석: 가변형속도제한표지와 비콘 중심으로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Pedestrian Protection Area: Focusing on Variable Speed Limit Signs and Beacons)

  • 김중효;하동익;박민철;송원철;하태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1-133
    • /
    • 2017
  • 1990년대 중반 이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등 학교 주변 안전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어린이 통학 시의 주요 이동경로가 이루어지는 통학로까지는 확대되지 못해 사고예방 효과가 크지 않았다. 또한 자동차 급증으로 첨두시간대의 간선도로 교통이 이면도로로 우회함에 따라 어린이들의 주요 생활공간인 학교 권역까지 침범하는 등 어린이 안전과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을 파악하고 서울시 여의도 중고등학교 및 경기도 운중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행자 보호구역(어린이보호구역 포함)에 가변형속도제한표지 및 비콘을 설치하여 해당시설이 차량의 통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변형속도제한표지는 약 8.3km/h의 통행속도 감속효과가 나타났으며 비콘의 경우 미미하나마 오히려 0.8km/h의 통행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도출되었다. 또한 설치전후의 신호위반 차량대수를 조사한 결과 승용차, 버스, 화물차의 신호위반율이 약 3% 감소하였다.

양방향 2차로 도로의 지체시간 산정을 이용한 승용차환산계수 결정이론 (A Mathematical Model for Determination of PCE's Based on Delay for Two-Lane Two-Way Highway)

  • 이승준;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62
    • /
    • 1999
  • 양방향 2차로 도로의 설계, 용량 및 운영분석의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핵심사항으로 화물차와 같은 중차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들 수 있다. 중차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은 승용차환산계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교통류 운영분석의 주 MOE's로 사용되는 교통량, 운행속도, 지체시간, 주행의 자유 등에 대하여 중차량이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승용차 몇 대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PCE환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중차량을 승용차로 환산하는 척도이며, 이러한 승용차 환산 척도는 계량화가 가능하고 교통류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특성을 지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CE 산정의 척도로서 지체시간을 선정하였으며, 이의 계산을 위하여 도로구간을 추월가능구간과 추월금지구간으로 나누어 지체시간을 계산하였다. PCE의 환산은 Werner와 Morrall이 제시한 것처럼 Walker's Method를 이용하여 교통류 상호간에 발생하는 지체시간과 중차량 1대의 유입으로 인해 유발되는 지체시간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추월가능 및 금지구간 뿐만 아니라, 추월가능구간과 추월금지구간이 조합되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도로구간의 평균 PC료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