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textil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발광 스마트 백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uminous Smart Bag for Smartphone Users)

  • 박진희;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1호
    • /
    • pp.15-2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pose creative smart bags in emotional e-textiles using LEDs that inform smartphone users of motion-induced luminescence and ringing of cell phones. The LED light-emitting operation tasks produced in the study were applied to each of the three design smart bags, setting the five cases of luminance by a call initiated, absent phone, rejecting answering phone, texting, and motion-induced luminescence. In the male laptop bags of LED luminous images using wappen, 10 LEDs could be separated by a total of three pins to display the luminous mode, and all 10 LEDs became a total of five luminous patterns, including all that illuminate and those that illuminate randomly. E-wappen rendered the motif a strong sense of visibility and performed six roles on phone rings and texting. To develop a women's tote bag, we did a laser cut and attached the leather strips and placed 10 triangular LEDs to form a geometric LED e-textile.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simple design from traditional fashion into a more interesting and various smart designs. An entertainment smart bag using graphic design was constructed by applying a tilt sensor to look like a light in the night sky by shaking and moving the bag. The graphic design and composition of LEDs indicate that LEDs and fashion item are applied in harmony rather than heterogeneous, enabling them to be applied as fashion-oriented wearable smart products.

Research on the Status of Domestic Wedding Industry - Focusing on Dress, Studios, Makeup Firms -

  • Shin, Kyeong-Seob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3호
    • /
    • pp.153-1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verall process of the wedding industry - arranging domestic wedding firms and formulating a database related to the business. Simultaneously, with all the data in hand the research attempts to seek flaws within the wedding industry and tries to offer solutions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section. Because the list of articles is enormously expansive, for the purpose of basic research, objects have b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cess presented below. Wedding-product firms have been classified within the boundaries of dresses, studios, and makeup firms; distributing channels are mainly focused on wedding planners and related-consulting firms; related departments of universities and wedding organizations are illustrated as well. Due to the unorganized system of this particular field, the research process has been conducted with materials from personal experiences, newspapers, magazines, Internet websites,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wedding-related firms and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As a result, over 13 subjects which formulate a market structure of over 30 trillion won. However, due to lack of systemization of the industry, as it expands, numerous problems occur.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wedding-consulting firms and the lack of reliable education for wedding planners, unnecessary external investment and the lack of product research, fals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puts the entire industry in a inefficient position. Organizations such as Korea Traditional clothes Industrial Union, Korea Wedding Consulting Association, Korea Martial Industrial Promotion Association(KOMIPA) etc, are made to seek for solutions. For the wedding industry to revitalize, wedding-product firms, wedding planners and consulting firms must maintain an organic relationship every season. They must systemize a proper distribution system, with wedding-product companies enhancing the quality of products, wedding planners organizing wedding plans with responsibility, and consulting firms focusing not only on profits. In order to make high-valued products, wedding-product companies must put their greatest effort in producing talented minds, and universities with related departments must do so as well. In other words, the industrial and educational section of our society must cooperate through a sophisticated system. In addition, related organizations must act to receive governmental support in order to support the industry.

朝鮮中期 出土된 綿織物의 理化學的 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Exhumed Cotton Fabrics of the Middle Age of Yi Dynasty)

  • Lee, Jeong Sook;Kim, Sung Reo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15
    • /
    • 1996
  • Three pieces of cotton fabrics used for this study were exhumed in the Mt.Moo Deung near Kwang Ju in 1965. The fabrics were remains of Jang Heung Lim Si-the nephew's wife of General Kim Deok Ryeong. It was reported that Jang Heung Lim Si died in 1615. The cotton fabri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 B and C, according to their color. The fabric A was inherent color of cotton, the fabric B was that of light brown and the fabric C was that of dark brow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tton fabrics were examined. In the meantime the construction of cotton fabrics and traditional dyeing of Yi dynasty were studied through various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electromicroscopic examination, the lumen in the cotton fiber had not been developed enough, therefore the quality of cotton at that time was supposed to be not so excellent. 2.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1) While the copper number of the cotton fabric A was similar to that of bleached cotton, that of the fabric C was extremely high. (2) The amount of methylene blue absorption was much more than that of normal cotton. (3) The content of cellulose was less than that of normal cotton. (4)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less than that of normal cotton.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was concluded that the cotton fabrics were oxidized slowly in the closed lime coffin fo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is process of oxidization and deteriorati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decreased through depolymerization, and carboxyl groups were produced by the oxidization at reducing end groups. 3. It was confirmed that the cotton fabric C was dyed by the juice of immature persimmon. Thus, it was inferred that the large amount of copper number of cotton fabric C was derived from phenolic OH groups of tannins having high reducing properties in persimmon.

  • PDF

한지의 특성을 이용한 웨딩드레스 소재 연구: 미니멀 웨딩드레스 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f Wedding Dress Material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Focusing on Making Minimal Wedding Dresses)

  • 이지현;간호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1호
    • /
    • pp.80-95
    • /
    • 2021
  •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with an emotional desig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stimulating consumer sentiment. This has led to the diversity of materials and continued active research on materials. Traditional Korean paper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based on Korean sentiment and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Hanji costumes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ways over the past 20 years utilizing Hanji's physical characteristics, showing unique surface texture and various technique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existing fabrics, making it symbolic in expanding the area of fashion materials. In this work, various techniques were developed by utilizing the nonwoven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variability of Hanji while considering visual images, focusing on the delicate decorations and materialistic representations of wedding dresses. In addition, minimal wedding dresses with unique textures were produced to realize fantasy ideas and show surface aesthetics, confirming as a fashion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wedding dresses. The direction of high value-added creation for the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Hanji wedding dresses was presented, and the usefulness and scalability of Hanji materials for practical and industrialization were identified in materials that expressed visual art. To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changing in both the wedding industry and the global marke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with high sensitivity images and original and solid identity should continue.

봉황문양 탐구 - 둔황 막고굴과 패션디자인 표현기법 - (Exploring phoenix patterns - Dunhuang Mogao Grottoes and fashion design expressions -)

  • 장정이;이명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4호
    • /
    • pp.504-518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ymbolism associated with phoenix patterns in China and the tempor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se patterns found in Dunhuang Mogao Grottoes. The study involved collecting examples of clothing designs featuring phoenix patterns from China Fashion Week and the Vogue website, spanning from spring and summer of 2016 to fall and winter of 2022. After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se examples, representative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effective techniques for incorporating phoenix patterns within the context of Dunhuang Mogao Grottoes and provided insights for future clothing design and textile pattern design research. Phoenix patterns boasted a lengthy history and were laden with symbolic meaning. Early renditions of phoenix patterns found at Mogao Grottoes in Dunhuang were relatively simplistic in design, mainly employing elements like rhythm, coordination, balance and symmetry to convey a sense of nature and gravity. Over time, these patterns evolv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vailing cultural backdrop, employing repeated emphasis to portray notions of abundance and tenacity. Furthermore, regarding the use of phoenix patterns in clothing, there were four prevalent expression techniques: embroidery, beading, printing, and knitting. Traditional techniques like embroidery and beadwork often prioritized aesthetic features like coordination, emphasis, and symmetry, thereby showcasing the opulent characteristics of phoenix patterns. On the other hand, printing and knitting techniques used a single phoenix pattern or a modified version to simplify designs by emphasizing or repeat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le adhering to a modern artistic approach.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 이한형;박지희;홍종욱;한민수;서민석;허준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22-147
    • /
    • 2012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파편들로부터 과거에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1628년 중조(重造)된 이래 1720년부터 1976년까지 7차례의 중수개채(重修改彩)가 이뤄졌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시대별 사용안료를 연구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분석은 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에서 이탈된 파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SEM-EDX, XRD를 이용하여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료의 구성성분과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파편들에서는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조직이 성긴 한지, 조직이 치밀한 한지, 견직물, 마직물 등 6종의 재료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은 소지부로 판단되며, 나머지 5종의 재료는 소조불의 중수개체 시 사용된 보수재료로 판단된다. 각 재료의 상 하부에 부착된 채색층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재료들은 '소지부 ${\rightarrow}$ 조직이 성긴 한지 ${\rightarrow}$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rightarrow}$ 견직물 ${\rightarrow}$ 마직물 및 조직이 치밀한 한지'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보수재료들에 적용된 안료와 소조불의 중수개채시기를 고려하면 조직이 성긴 한지는 1720~1891년, 섬유질을 다량 함유한 토층은 1926년, 견직물과 마직물은 각각 1941년과 1976년에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대별 사용 안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1891년 이전에는 백색과 녹색으로 연백과 염기성염화동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1926년 이후에는 화록청, 군청, 바륨화이트와 아연화 등이 등장하고, 1976년을 전후해서는 지당과 합분(패각분)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소조상에 적용된 시대별 안료에 대한 추론 결과는 향후 사찰벽화나 단청 등의 근대 안료연구에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 반포(斑布)의 의미와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s of Banpo [斑布] during the Joseon Dynasty)

  • 이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64-183
    • /
    • 2020
  • 조선시대 직물 문화에 있어, 반포의 역사는 단편적이며 공백이 많다. 문헌 기록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지만, 현재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점도 크다. 반포는 무명의 한 종류이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직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반포는 얼룩이나 반점을 의미하는 반(斑)자와 직물을 의미하는 포(布)자가 결합한 단어이다. 백색 담론의 경계에서 반포는 연구 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반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 문화의 일부를 복원하는 시도이다. 반포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의 직물 문화와 교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반포의 기록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포의 기록은 조선 초기 세조, 성종 때 보이며, 반포의 제작과 실제 사용이 확인된다. 반포는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반포는 오색으로 면실을 물들여 짜는 사염 직조물로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출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반포와 유사한 형식으로 호, 섬, 침 등의 직물이 있다. 특히 반포와 호의 상관관계는 조선시대 반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둘째, 중국·일본의 문헌 기록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반포의 의미 변화와 전개를 조명하였다. 반포의 등장과 발전은 동아시아에 면화가 도입되는 시기와 맞물려 움직인다. 동아시아에서 면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생산되는 시기인 송말원초 시기에 반포의 의미는 다변화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를 기점으로 반포의 명칭이 화포, 기자포, 기자화포 등으로 바뀐다. 일본은 면의 도입이 늦은 만큼 변화된 의미가 수용되었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반포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같은 형식의 류조 직물이 확인된다. 이 류조는 호, 화포와 같은 개념으로 후대에는 호로 통합된다. 호, 화포, 반포 등과 같은 명칭은 나라마다 쓰임이 다를 뿐 동아시아에서 사염 직조물이라는 형식은 공유되었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반포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격자와 줄무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최근까지 전승되었지만 단절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반포의 복원과 전승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전통한지를 활용한 패션 악세서리 상품개발 (제3보) -직접염료를 이용한 한지의 염색- (A Study of the Fashion Accessory Product Development by Use of Korean Traditional Hanji (Part III) -Dyeing of Hanji with Direct Dye-)

  • 김은아;유효선;김용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30-1736
    • /
    • 2006
  • 의복재료로서 한지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직접염료를 이용하여 한지를 염색하였다. 한지의 주성분은 면, 마와 같은 셀룰로오스이지만, 많은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고, 섬유제품과 내부구조와 표면구조가 다르므로, 다른 염색거동을 보일 수 있다. 또, 물을 흡수하면 한지의 물성은 크게 저하하므로, 염색 과정에 의해 강도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염료를 이용한 한지의 염색특성을 셀룰로오스 섬유인 면, 마와 비교하여 고찰하고, 염색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염료의 물에 의한 블리딩 및 일광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직접염료로 한지를 염색할 때, 한지는 $25^{\circ}C$에서 최대흡진율을 보인 반면, 면과 저마는 $60^{\circ}C$에서 최대흡진율을 보였으며, 염색 후, 한지의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낮은 온도에서 염색하였을 때 블리딩이 컸고, 염색한 한지의 K/S 값이 크면 블리딩 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직접염료로 염색한 한지의 일광견뢰도는 면, 마에 비해 떨어지지 않았다.

1945년 이전 여성잡지 표지화에 나타난 인체미 분석 (Analysis of the Aesthetics of the Human Body Portrayed in Front Cover of Women's Magazines Prior to 1945)

  • 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37-174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1945년 이전 여성지 표지화에 나타난 실제자료를 발굴 제시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시대가 요구하던 미적 이상형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시기는 근대성 이 성립되기 시작하는 기원의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외세의 시선으로 타자화 되고 왜곡된 전통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기도 하다. 미적인 이상형은 의복디자인을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이기도 하기에 의류학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분야이며 그림으로 표현된 인체는 사진의 사실성 보다 더 뚜렷하게 인물의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국립도서관 귀중본 서고와 잡지정보도서관의 소장 자료 원본86점을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20년대 이전에는 외세에 의해 폭력적으로 추진되는 개방에 대한 반감으로 오히려 전통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1920년대에는 선전 등 전시회에 의하여 그림이 불특정다수에 의하여 감상되는 근대적 문화현상으로 정착되고 일본의 미감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930년대에는 서양 영화가 일반 대중들에게 오락으로 자리하게 되고 서구화된 인물을 이상형으로 생각하며 지성미가 미인의 조건으로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1940년대에는 37년부터 심화된 전쟁과 물자부족으로 모성과 건강한 자연미를 의도적으로 권장하였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의고미(疑古美)가 대두되었다.

천마총 출토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의 화면구도와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Image Com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amboo Mudguard with Gilt-bronze Openwork from Cheonmachong Ancient Tomb)

  • 이승렬;신용비;정원섭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54
    • /
    • 2016
  • 1973년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는 대부분 온전한 형태를 갖춘 국내에는 유례가 없는 유물이다. 죽제 장니의 출토 사례는 천마총 외에도 금관총 금령총 출토품이 있으나, 모두 편으로만 존재하여 정확한 형태나 제작기법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고에서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의 화면구도와 제작기법에 대해 육안관찰과 X선형광분석(XRF), X선투과분석 등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죽제 장니는 3등분할구조를 기본으로 방사선 형태의 중앙집중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표면을 장식한 10매의 투조금동판과 직물판, 죽제판 그리고 외연을 고정시켜주는 4매의 복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동판에는 다양한 세공법과 영락장식으로 표면을 장식하였고, 죽제판은 약 300개의 대오리를 사용하여 세올짜기를 바탕으로 집수를 넣어 엮음으로써 물결무늬를 표현하였다. 직물판은 2종류의 직물을 사용한 것으로 관찰되며, 가죽은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판으로 제작되었는지는 확인 할 수 없었다. 각 판을 결합하기 위해서 금동원두정과 영락장식, 복륜 등을 사용하였다. 이번 조사로 금관총 금령총 출토품에 대한 기본조사와 함께 5~6세기 신라시대 죽제 장니의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