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s of Banpo [斑布] during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반포(斑布)의 의미와 형식 연구

  • Received : 2020.06.29
  • Accepted : 2020.08.13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In the textil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he historic record of Banpo is fragmentary and contains many missing details. The main reason is a lack of associated literature, and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actual substance used is not clear at present. Banpo is a kind of cotton, but this has not been confirmed in the traditional textiles that are currently handed down. The word Ban [斑] in Banpo means "stain", and the letter Po [布] means "fabric". At the border of white discourse, Banpo did not receive attention as a research topic.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store some of the textil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Banpo. Banpo is not just limited to the Joseon Dynasty;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extile culture and exchange in East Asia. This study was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record and meaning of Banpo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Records of Banpo can be see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during King Sejo and Seongjong, and the production and actual use of Banpo have been confirmed. Banpo was maintain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ut is no longer observed. Banpo is a woven fabric made of cotton yarn dyed in many colors and has appeared in Southeast Asia since ancient times. In East Asia, there are other fabrics similar to Banpo, such as Ho [縞], Sum [纖], and Chim [綅].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Banpo and Ho is an important link in understanding Banpo in the Joseon Dynasty. Second, the meaning of Banpo was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records and case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Banpo moved in sync with the period when cotton was introduced into East Asia. In East Asia, cotton was introduced and produced in earnest from the end of the Song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and the meaning of Banpo was diversified. In China, the name of Banpo was changed to Hwapo [花布], Gizapo [碁子布], Gizahwapo [棋子花布], etc. Japan was late to introduce cotton and developed it in acceptance of the changed meaning. In Japan, use of the name Banpo is not on record, but a Ryujo [柳條] fabric of the same type as banpo has been identified. This Ryujo is the same concept as Ho and Hwapo, and later merged into Ho. Names such as Ho, Hwapo, Banpo, etc. were used differently in each country, but the form was shared across East Asia. Third, based on the meaning of Banpo shared in East Asia, the format of Banpo in the Joseon Dynasty was classified. The format of Banpo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grid and striped versions. The name Banpo disappeared over time, but the form remained and was passed down until recent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restore Banpo in the future.

조선시대 직물 문화에 있어, 반포의 역사는 단편적이며 공백이 많다. 문헌 기록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지만, 현재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점도 크다. 반포는 무명의 한 종류이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직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반포는 얼룩이나 반점을 의미하는 반(斑)자와 직물을 의미하는 포(布)자가 결합한 단어이다. 백색 담론의 경계에서 반포는 연구 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반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 문화의 일부를 복원하는 시도이다. 반포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의 직물 문화와 교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반포의 기록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포의 기록은 조선 초기 세조, 성종 때 보이며, 반포의 제작과 실제 사용이 확인된다. 반포는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반포는 오색으로 면실을 물들여 짜는 사염 직조물로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출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반포와 유사한 형식으로 호, 섬, 침 등의 직물이 있다. 특히 반포와 호의 상관관계는 조선시대 반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둘째, 중국·일본의 문헌 기록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반포의 의미 변화와 전개를 조명하였다. 반포의 등장과 발전은 동아시아에 면화가 도입되는 시기와 맞물려 움직인다. 동아시아에서 면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생산되는 시기인 송말원초 시기에 반포의 의미는 다변화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를 기점으로 반포의 명칭이 화포, 기자포, 기자화포 등으로 바뀐다. 일본은 면의 도입이 늦은 만큼 변화된 의미가 수용되었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반포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같은 형식의 류조 직물이 확인된다. 이 류조는 호, 화포와 같은 개념으로 후대에는 호로 통합된다. 호, 화포, 반포 등과 같은 명칭은 나라마다 쓰임이 다를 뿐 동아시아에서 사염 직조물이라는 형식은 공유되었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반포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격자와 줄무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최근까지 전승되었지만 단절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반포의 복원과 전승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상좌병영계록(慶尙左兵營啓錄)
  2. 고려사(高麗史)
  3.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4. 동춘당선생문집(同春堂先生文集)
  5. 성종실록(成宗實錄)
  6. 세조실록(世祖實錄)
  7. 송남잡지(松南雜識)
  8. 역어유해보(譯語類解補)
  9. 연원직지(燕轅直指)
  10. 왜인작나등록(倭人作拏謄錄)
  11. 일성록(日省錄)
  12.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전공지(展功志)
  13. 한청문감(漢淸文鑑)
  14. 호남계록(湖南啓錄)
  15. 강남통지(江南通志)
  16. 고소지(姑蘇志)
  17. 광서통지(廣西通志)
  18. 동서양고(東西洋考)
  19. 물리소식(物理小識)
  20. 상서전해(尚書全解)
  21. 상서주소(尚書注疏)
  22. 서경집전(書經集傳)
  23. 시경통의(詩經通義)
  24. 양서(梁書)
  25. 어선명시(御選明詩)
  26. 영외대답(嶺外代答)
  27. 예부지고(禮部志稿)
  28. 전략(滇略)
  29. 전한서(前漢書)
  30. 절강통지(浙江通志)
  31. 증보화포편람(增補華布便覽)
  32. 태평어람(太平御覽)
  33. 포백첩(布帛帖)
  34. 해록쇄사(海錄碎事)
  35.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36. 경운박물관, 2013, 근대 직물 100년, 경운박물관, p.202
  3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나주샛골나이, 국립문화재연구소, pp.36-40, p.8, 13, 44, 43
  3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p.585
  3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p.166
  40. 민길자, 1988, 조선시대의 문양염색직물, 한림원
  41. 민길자, 1997, 전통 옷감, 대원사, p.35
  42.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
  43. 吉岡幸雄, 2014, にっぽんの布を楽しむ-訪ねて.ふれて.まとう 趣味Do楽 14.12-15-1월호, p.65
  44. 金维诺.赵丰, 2010, 中國美術全集, 黄山书社, p.7
  45. 杨新, 2008, 故宫博物院藏文物珍品大系 : 明清肖像画, 上海科学技术出版社, p.86
  46. 赵丰, 2002, 纺织品考古新发现, 中国丝绸博物馆, p.173
  47. 佐貫 尹, 2009, 続 木綿伝承, 染織と生活社, 앞쪽 부록, p.5
  48. 심연옥 외 3인, 2011, 부여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연구, 문화재 제44권 3호, p.15
  49. 유지현, 2008, 조선시대 문양염색직물의 패턴디자인 연구 -증보화포편람(增補華布便覽, 1781년)에 나타난 조선 사라사 도안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2권3호
  50. 이지원, 2019, 조선시대 交織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88
  51. 최정임, 2020, 조선시대 화포(花布) 제작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 6, 12, 26
  52. 吉永彦太郞, 1915, 朝鮮向染織物名稱類彙 朝鮮彙報 3月, 朝鮮總督府, p.153
  5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