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4초

전통주 주박의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Lees of Korean Traditional Wine)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65-872
    • /
    • 2014
  • 전통주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상업적 시설에서 생산된 3종 약주(J-B, J-S, J-Y) 및 2종 탁주(J-H, J-W) 주박의 ethanol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5종 주박의 pH는 3.90~4.29로 유사하였으나, brix는 5.0~27.0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분 및 알코올 함량에서도 시료에 따라 1.8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박의 색차와 성분은 첨가된 부재료 및 사용누룩에 좌우되었으며, J-W 주박의 경우 수분함량이 80.3%, brix 13, 알코올 함량 1.8%를 함유하여 다른 주박에 비해 다양한 식품제조에 용이하게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Ethanol 추출효율은 J-H, J-W, J-B, J-S, J-Y의 순, 열수 추출효율은 J-S, J-B, J-W, J-H, J-Y의 순으로 높았으며,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anol 추출물 중에서는 J-H, 열수 추출물 중에서는 J-Y 주박에서 가장 높았다. 5종 주박의 10종 추출물은 모두 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J-B, J-S, J-Y의 약주 주박의 ethanol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혈액응고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며, J-W 탁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에서 thrombin 저해 활성과 J-B, J-S 및 J-H 주박 열수 추출물에서 혈액 응고인자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J-W 탁주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에서만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약주 및 탁주 주박이 항혈전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박으로부터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전통발효 식초에서 분리한 Agdohader sp.의 특성 (Some Properties of Acetobacter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 박종필;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8권4호
    • /
    • pp.397-404
    • /
    • 1993
  • Two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vinegar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ice wine and the vine gar of fermented persimmon, respectively. These strains, designated as KM and BPV, were identified as the genus Acetobacter with respect to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oxidized ethanol to acetate and over-oxidized acetate or lactate to CO2 and H2O. They were positive in catalase test, while being negative in oxidase, gelatin liquefaction, VP test, H2O production and indole formation tests. No ${\gamma}$-pyrones ware produced from glucose and fructose. KM was tolerant of 11% ethanol while BPV was relatively sensitive to ethanol at a higher concentration than 5%. The guanine-plus-cytosine contents of the DNA of KM and BPV strains were 53.8 and 56.6 mol%, respectively. The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s contained in these isolates were saturated straightchain C14:0 and C16:0,, and unsaturated straight-chain C18:1. Major ubiquinone system of KM was Q-9, but that of BPV was Q-10. In morpho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spects, KM strain was similar to Acetobacter pasteurianus. However, BPV strain was different from other Acetobacter type strains.

  • PDF

탁주 제조 시 율무 첨가에 따른 휘발성 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 신순영;서수환;조원대;이효구;황한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06-1213
    • /
    • 2003
  • 탁주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율무를 첨가하여 제조한 탁주의 탁주로서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기존 쌀코오지를 이용하여 전분원으로서 율무를 15, 30, 60와 100% 첨가했을 경우, 효모의 균수와 ethanol의 생성량은 각각 9.5${\times}$$10^{7}$ ∼2.3${\times}$$10^{8}$ cell/mL과 13.6∼15.2%로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율무의 알콜 발효원으로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고급알콜인 iso-amyl alcohol은 첨가된 율무량에 따라 1,150ppm으로부터 1,206, 1,213, 1,293, 1,604 ppm으로 각각 증가되고, acetaldehyde와 iso-butanol도 율무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Aspergillus kawachii(AK)와 ifhizopus japonicus(RJ)를 이용하여 율무누룩주를 만든 결과 ethanol 생성량은 쌀코오지로 만든 율무주에 비해 14%로부터 각각 11.2%(AK), 7.5%(RJ) 그리고 10.4%(AK+ RJ)로 감소하였고, 효모의 수는 7.5${\times}$$10^{7}$ ∼2.6${\times}$$10^{8}$ cell/mL이었으며, isoamyl alcohol 함량이 1,840 ppm으로부터 각각 632[AK], 855[RJ], 792 ppm[AK+RJ]로 감소하였고, n-propanol, iso-butanol 등의 fusel oil도 감소하였으나, acetaldehyde가 57ppm으로부터 99[AK], 138[RJ], 131 ppm[AK+RJ]으로 각각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탁주제조에 있어 율무의 이용은, 전분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알콜 발효와 관능검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fusel oil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누룩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ethanol의 생성과 fusel oil의 생성이 감소하고, acetaldehyde의 함량이 현격히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가 낮아졌다.

시판 음료, 유제품, 당류 및 조미료의 타우린 함량 (Taurine Contents in Beverages, Milk Products, Sugars and Condiments Consumed by Koreans)

  • 박태선;박정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5
    • /
    • 1999
  • Taurine contents in alcoholic and non alcoholic beverages, milk and milk products, sugars and condiments were determined for 83 food items commonly used by Koreans. Taurine concentrations of food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an automated amino acid analyzer(Biochrom 20, Pharmacia LKB) based 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Taurine was not detected in most carbonated beverages, but found in a variety of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canned) in the range of 0.13 ~1.43mg taurine/ 100g wt, and in instant coffee or tea beverages(canned) in the range of 0.10~0.41mg taurine/100g wt. The traditional Korean turbid rice wine(takju) sample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taurine (2.29mg/100g wt) among alcoholic beverages tested, which was followed by wine(0.59~0.88mg tau rine/100g wt) and beer(0.53~0.73mg taurine/100g wt). Ordinary milk samples contained 1.05~1.40 mg taurine/100g wt, and a variety of taurine supplemented infant formulas manufactured by Korean companies included 17.3~25.4mg taurine/100g wt. Taurine was not detected in most sugars and sweetners except a couple of chocolate samples(2.13~2.18mg taurine/100g wt). Exceptionally high level of taurine was found in a curry powder sample(16.9mg taurine/100g wt), while the rest of commonly used condiments contained less than 2.90mg taurine/100g wt.

  • PDF

Rhizopus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한 곡류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ereal Makgeolli Rice Nuruk Prepared Rhizopus oryzae CCS01)

  • 조현국;서원택;이주영;조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1002-100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oryzae CCS01로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곡류 막걸리 제조하였다. R. oryzae CCS01로 제조한 쌀누룩은 시판누룩보다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수분 및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낮았고 당화력은 약 2.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R.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는 pH와 알코올 함량은 시판누룩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당도 및 산도, 젖산균수, 효모균수, 갈변도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쌀누룩으로 제조한 찹쌀(GUR) 막걸리의 경우 다른 막걸리들 보다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 R.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하여 새로운 곡류 막걸리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 삼해주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Noble Wine, Samhaeju,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 임채란;손희진;홍은정;한기영;최진영;조인영;김계원;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6
    • /
    • 2009
  • 민속주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함과 함께 전통 반가주의 복원 및 공장 생산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발효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발효 방법을 변형해 발효 시간을 단축하여 2가지 방법으로 삼해주를 제조하였다. 3번의 담금을 기준으로 삼해주의 발효 기간에 따라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는데, 2단과 3단 담금 직후 pH 값은 상승 하였으며, 총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초 1.31 mg%로 낮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고, 덧술이 첨가된 직후에는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덧술 첨가에 의한 시료의 희석 효과로 여겨진다. 삼해주의 대표적인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 succinic acid로 나타났고, cit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삼해주의 대표적인 유리당으로는 glucose, maltose, lactose로 확인되었고, fructose, sucrose도 소량 검출 되었다. 색도의 경우 덧술 첨가 직후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이 감소하였으며, 발효가 완료되었을 때 a값이 가장 낮고, b 값은 가장 높았다. 전자코로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삼해주의 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알코올로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 1주성분 값이 음(-)에서 양(+)의 값으로 이동을 하였고, 제 1주성분이 9.00의 값을 나타내었을 경우 삼해주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alcoholized Korean Rice Wine (Makgeolli) Exerts Potent Anti-Tumor Effect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and Tumor Xenograft Mice

  • Shin, Eun Ju;Kim, Sung Hee;Kim, Jae Ho;Ha, Jaeho;Hwang, Jin-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485-1492
    • /
    • 2015
  • Makgeolli is a traditional wine in Korea and has been traditionally believed to exhibit health benefits.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 of dealcoholized makgeolli (MK) on cancer has never been investigated scientifically. In this study, MK exhibited an anti-angiogenic effect by inhibiting tube forma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without cytotoxicity. Treatment with MK reduced the proliferation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ncreased the sub-G1 population. Next, we evaluated whether MK could induce apoptosis in AGS cells by using the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or Annexin V method. Treatment with MK at 500 and 1,000 μg/ml increased the number of TUNEL-positive AGS cells. Under the same conditions, MK-treated (500 and 1,000 μg/ml) cells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early or late apoptosis,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no induction). In addition, MK also induced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 expression in AGS cells. However, p53 expression in AGS cells was not changed by MK treatment. Furthermore, MK at 500 mg/kg·d reduced the tumor size and volume in AGS tumor xenografts. Taken together, MK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cell growth.

찰벼 품종에 따른 소곡주의 이화학적 특성 (Waxy Rice Variety-dependent Variation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gok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이진석;우관식;천아름;나장연;김기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2-180
    • /
    • 2009
  • 품종에 따라 제조된 소곡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원료로 사용된 보석찰, 동진찰, 해평찰, 화선찰, 눈보라, 상주찰, 신선찰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상주찰이 8.1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눈보라가 6.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백도는 화선찰이 가장 높았으며, 보석찰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의 경우 백도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 및 b값은 보석찰이 0.35 및 13.0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는 $68.03{\sim}68.08^{\circ}C$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하점도는 보석찰 및 신선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치반점도는 상주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알코올 함량은 품종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20.5{\sim}24.6\;^{\circ}Bx$로 나타났고 탁도는 $0.0344{\sim}0.0530$ 범위로 나타났다. L 및 b값은 상주찰이 각각 6.90 및 1.4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pH는 상주찰이 4.79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는 $4.70{\sim}4.74$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산도는 상주찰이 0.86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은 $0.7998{\sim}0.8360$%의 범위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유리당은 glucose만 검출되었으며, 상주찰과 동진찰이 각각 10.843 및 10.331 g/100 mL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및 oxalic acid 등이 검출되었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동진찰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품종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선찰, 해평찰 및 화선찰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국(韓國) 병과류(餠菓類)의 조리학적(調理學的) 연구(硏究) -유과(油菓)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Cookery Characteristise of Korean Cakes -On the Yugwa-)

  • 한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41
    • /
    • 1982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 for making Yugwa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cake) the textures in various conditions were studied by sensory test and texturometer. The changes of texture and fat content in the cake were measured along the period of stor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ke were classified in 3 groups according to the leavening agent used in the procedure, namely refined rice wine (W), distilled liquor (L) and yeast group (Y). It was the refined rice wine group that had been 'the best' by sensory test. Its brittleness $(1.40{\pm}0.27)$ was higher than those of L and Y. (2) Crispness measured by bend test prior to soaking into syrup were 1.19, 1.23 and 1.63 in W, L, Y, respectively. (3) Chemical composition (%dry basis)) of Yugwa leavened with W included 9.3 of moisture, 1.3 crude protein, 6.7 crude lipid, 66.4 carbohydrate and 16.3 crude ash. (4) Brittleness decreased gradually along the period of storage while the rancidity increased. From the 40th days of storage, the change of brittleness and rancidity were marked as well as the scores of sensory test decreased significantly. (5) Content of linoleic acid in Yugwa decreased along the period of storage from 52.5% of total fatty acid on the first day to 10.9% on the 50th days Main fatty acids in Yugwa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all of which were also decreased in content along the period of storage. One remarkable change was the appearance of an unknown fatty acid with 19.54 of retention time, in 50% of total fatty acid, on the 50th day of storage.

  • PDF

야생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발효 특성 (Characterization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 백성열;이유정;김명동;이재형;문지영;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5
  •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12 균주의 주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코올 발효에 관여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및 당 내성을 조사한 후, 당화액을 제조하여 pH,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아미노산도, 알코올, 유기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효모의 알코올 내성은 10%에서 보였으나 non-Saccharomyces 효모는 P. kudriavzevii N77-4를 제외하고 내성이 낮았다. 당 내성은 H. opuntiae HP1-2, C. tropicalis Y447을 제외한 효모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야생 효모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액의 pH는 3.01−3.61, 고형분 함량은 8.73−13.10°Brix로 S. cerevisiae보다 non-Saccharomyces가 높았다. 적정산도는 0.25−0.33%로, 아미노산도는 1.61−2.61 g/100 ml으로 non-Saccharomyces 효모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2.25−8.5%로 S. cerevisiae에 비해 non-Saccharomyces 효모가 매우 낮았다. 야생 효모로 알코올 발효시 유기산은 사과산, 초산, 호박산 등이 증가하였고, 그 중 P. kudriavzevii N77-4는 낮은 초산 함량과 높은 사과산 및 호박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화액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오른쪽 범주에 속했으며, 효모 발효액은 DF1의 왼쪽 범주에 속하여 발효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non-Saccharomyces 효모에서 ethyl acetate가, S. cerevisiae 효모는 ethanol 화합물이 높은 향기성분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