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er test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Assessment of sediment profiles applying nuclear techniques: use of a nucleonic gauge in Panama Canal watershed

  • Xavier Sanchez;Henry Hoo;Patrick Brisset;Reinhardt Pinz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236-4243
    • /
    • 2022
  • An industrial nuclear technique based on the use of an X-ray profiler was implemented to estimate the densities or concentrations of sediments present in an Atlantic maritime zone in the areas subjected to dredging under the governance of the Panama Canal Authority (ACP). The sediment profiles show in most areas there is a concentration of between 1.00-1.15 g/cm3 except for one area in particular, the density starts at 1.20 g/cm3 and even reaches values greater than 1.50 g/cm3; therefore, an already consolidated sediment is present, which, depending on the depth found. Values of 1.265 g/cm3, 1.297 g/cm3, 1.185 g/cm3 obtained by ACP previous studies are within the range of 1.20-1.30 g/cm3 measured with the nucleonic gaug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tests with the X ray profiler, sediment densities values greater than the aforementioned limit were also obtained that varying according at depths close to 12 m and 18 m with values reached up to 1.513 g/cm3 and 1.60 g/cm3, respectively. This demonstrates that sediment accumulation depends on depth. This nucleonic gauge is feasible technique for the study of the sedimentation phenomenon in channel basins and even in other projects nationwide.

전기저항센서가 부착된 주상실험기에서 측정된 전기저항값을 이용한 용질의 이동해석 (Analysis of Solute Transport based on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s from Laboratory Column Tests)

  • 김용성;김재진;박준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C호
    • /
    • pp.231-2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오염용질의 이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방법으로서 전기저항센서를 부착한 주상실험기를 개발하였으며 3가지의 포화사질토에 비반응성 추적자를 주입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전기저항 값을 바탕으로 전기전도도 파과곡선을 얻었으며, 추정된 농도자료를 이류-확산 방정식에 대입하여 수리분산계수를 산정하였다. 유출수 파과곡선에서 추정된 평균간극유속과 종분산계수를 바탕으로 전기전도도 파과곡선의 신뢰성을 평가해본 결과 전제된 ${\sigma}_{sat}-{\sigma}_w-C$(흙의 전기전도도-간극수의 전기전도도-간극수 내 용질의 농도) 사이의 선형 조건이 성립할 시 측정된 전기저항치는 흙 매질내 간극수 용질의 상대농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전기전도도 파과곡선은 실제농도(resident concentration)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만큼 시간연속적인 전기저항 측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용출수 샘플링과 분석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저항측정위치와 주입되는 용액과 포화간극수와의 전기적 차이가 고려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관동맥질환의 진단을 위한 아데노신 Tc-99m sestaMIBI SPECT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Adenosine Tc-99m sestaMIBI SPECT for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 이덕영;배진호;이상우;천경아;유정수;안병철;하정희;채성철;이규보;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73-480
    • /
    • 2005
  • 목적: 아데노신 부하 Tc-99m MIBI SPECT는 관동맥질환의 진단, 예후 평가, 치료 방침의 설정, 치료 효과 판정 및 경과 관찰에 유용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치료 효과 판정 및 치료 방침 설정을 위해서는 검사 방법의 재현성이 높아야 한다. 본 연구는 아데노신 부하 Tc-99m MIBI SPECT의 재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인에서 2회 연속적으로 시행한 아데노신 부하 Tc-99m MIBI SPECT에서 약물주사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와 부작용의 빈도, 영상에 나타난 심근분절의 방사능섭취 정도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동맥질환이 의심되거나 관동맥질환으로 진단된 후 추적검사를 위하여 아데노신 부하 Tc-99m MIBT SPECT를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11 일(평균: 4.1 일)의 간격으로 검사를 반복하였다. 관류영상의 육안적 판독은 좌심실의 단층 영상을 18분절로 구분하여, 섭취 정도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였고, 관류 정도의 평가는 2명의 핵의학 전공의사가 각각 평가한 후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판독자 간에 토의로 합의된 소견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아데노신 주사에 따른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및 맥박 수의 변화는 두 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두 번의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검사를 중지하거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처치를 받아야 만큼 중독한 부작용의 발생은 없었다. 관류점수상 540분절 중 439분절에서 완전하게 일치하였고(일치도 81.3%, tau B index 0.73%), 1점 차이(97분절, 18%), 2점 차이(4분절, 0.7%)있었으나 3점 이상의 차이가 있은 경우는 없었다. 두 검사에서 측정된 관류결손의 범위와 중증도점수 사이에는 각각 $\gamma$-값 0.982와0.965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1, respectively). 결론: 연속적으로 2회 시행한 아데노신 부하 Tc-99m MIBI SPECT는 부하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 및 부작용의 발생이 유사하였고, 심근분절의 관류상태의 시각적 평가 및 관류결손의 정량적 판정에서 매우 높은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아데노신 Tc-99m MIBI SPECT는 관동맥질환이 의심되거나 관동맥질환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약물치료나 중재적 시술 또는 외과적 수술 치료 후 심근관류상태의 경시적 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파쇄대 응회암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 특성화 기법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Characterization in Fractured Aquifer System)

  • 김용제;김태희;김구영;황세호;채병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4호
    • /
    • pp.33-44
    • /
    • 2005
  • 국내 수리지질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균열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금산군 남이면 남이자연휴양림 내 연구지역에서 시험시추공 5개(BH-1, -2, -3, -4, -5)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의 균열발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광역 선구조선 분포를 분석한 결과 북서-남동 방향의 연장 성이 좋은 구조선들이 우세하게 분포하는데, 이 영향으로 남북방향으로 배열된 시추공들 사이에 파쇄대의 발달과 연 결성이 좋다. 현장 지질조사, 시추코아 로깅, 물리검층,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열추적자시험, 유향 유속검층을 통해 각 시추공에 대한 파쇄대 특성 및 시추공 간의 투수성과 상호 연결성을 해석하였다. 시추공 간의 파쇄대 연결성음 분석한 결과 주입정인 BH-1 호공과 BH-2, BH-3은 연결성이 매우 나쁜 반면에 BH-1, BH-4, BH-5 호공은 연결성 이 매우 좋다. 특히, BH-1 호공과 BH-5 호공의 수리적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H-1에서 양수하고 BH-5에서 측정한 경우 심도 12 m 지점에서 강한 지하수의 유출이 있으며 이 외의 지점에서는 부분적인 지하수의 유출업이 있다. 주된 지하수 유입은 심도 65 m와 70 m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H-5에서 양수하고 BH-1에서 측정한 경우에는 심도 17 m 지점에서 시추공으로부터 강하게 지하수의 유출이 발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외에 70 m 지점에서도 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투수성을 가지는 균열대 중 공간 상호 연결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것은 BH-1의 경우 15 m, 67 m, 71 m 지점이며, BH-5는 15 m, 17 m, 22 m, 72 m, 83 m 심도의 균열 혹은 균열대에서 BH-1과 상호 연결성이 있다.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을 통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오염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연구 (Field Tests for Assessing the Bioremediation Feasibility of a Trichloroethylene-Contaminated Aquifer)

  • 김영;김진욱;하철윤;김남희;홍광표;권수열;안영호;하준수;박후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3호
    • /
    • pp.38-45
    • /
    • 2005
  • 본 연구는 현장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 (SWNDT,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 을 이용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TCE, trichloroethylene) 으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가능성 조사 방법 및 결과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현장 SWNDT 실험에 사용한 용액은 일정 양의 추적자 (브롬이온), 생분해 기질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질소) 을 현장 지하수에 용해시켜 준비한다. 준비된 실험용액을 대수층에 주입하고, 주입 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와 생 분해 기질들의 초기 농도를 측정한다 주업 후 시간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 생분해 기질, 생분해 부산물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현장 SWNDT 실험은 생분해 기질과 추적자의 상대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Push-pull Transport Test (PPTT), 토착 미생물의 양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Drift Biostimulation Test (DBT),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미생물 반응이 유사하리라 예상되는 기질을 시험하기 위한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DSAT) 순으로 진행되었다 SWNDT 실험 양수 시 추적자로 사용한 브롬이용의 농도변화 곡선은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 질소 농도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즉 대수층에서의 생분해 기질들의 이송이 추적자와 유사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토착 톨루엔산화 미생물의 존재를 톨루엔 농도의 감소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로 확인하였고, 그 톨루엔 산화 미생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 생분해 유사기질로 사용된 에틸렌을 분해하며, 부산물로 산화에틸렌 (ethylene oxide) 을 생성하였다. 이는 DBT 실험을 통하여 활성화된 톨루엔 분해 미생물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 SWNDT 실험 방법 및 결과 해석 방법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대표되는 염화 지방족 탄회수소화합물(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평가를 위한 경제적이고 용이한 현장 실험 방법이다.

수평 흐름형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유체의 흐름 형태에 따른 전력수율 평가 (The Effect of Fluid Flow on Power Density in a Horizontal-flow Microbial Fuel Cell)

  • 이채영;박수희;송영채;유규선;정재우;한선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39-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평 흐름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유체 흐름이 전력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전극 반응조의 바닥에 아크릴 막대를 설치하여 각각 4가지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였다. 각 반응조 형상에 따라 최대전력수율을 평가하였으며 추적자 실험을 통해 유체 흐름을 해석하였다. 분극 곡선 실험 결과 반응조별 최대 전력수율은 case 1, 2, 3 및 4에서 각각 95.7, 129.1, 190.9 및 $114.2mW/m^2$로 나타났다. 좌우 도류벽을 설치하여 S 형태의 유체 흐름을 유도한 case 3 반응조에서 가장 높은 전력이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자 실험의 Morrill 분산지수 값에 따르면 case 4 반응조의 경우 반응조 전체에 기질이 골고루 분포하여 미생물 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류 현상에 의해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case 3 반응조의 경우 안정적인 운영 및 높은 전력수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미생물 연료전지로 이용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제1형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의 진단에서 적외선 체열측정과 3상 골스캔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Three-phase Bone Scan and Thermography for Making the Diagnosis of CRPS-I)

  • 박상현;이평복;임윤희;이승윤;최인용;이상진;오용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9권1호
    • /
    • pp.81-86
    • /
    • 2006
  • Background: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is a painful and disabling disease, yet the diagnosis of this can be difficult to confirm by purely objective measures. Therefore, we performed three-phasic bone scans and thermography as a work up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redictive value and usefulness for making the diagnosis of CRPS. Methods: 44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RPS type-1, according to the modified criteria, were evaluated. All the patients were examined by performing a three-phasic bone scan and thermography as part of a work-up for diagnostic confirmation. The diffuse increased tracer uptake in the delayed image (phase III) was estimated by the positive findings. The findings were considered positive for CRPS if the thermographic findings showed temperature asymmetries between the affected and non- affected extremities of more than $1.00^{\circ}C$ Results: A review of the three-phasic bone scan for 44 patients indicated that 16 patients (36.4%) had diffusely positive scans, and thermographic abnormalities were noted in 35 of 44 patients (79.5%). Conclusions: The use of thermography in clinical setting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of CRPS. However, a three-phasic bone scan alone cannot provide a completely accurate diagnosis, so it is imperative that the three-phasic bone scan data be integrated with the clinical evaluation and the other relevant tests.

사질토양에서의 Benzene의 이동성에 관한 연구 (Transport and Fate of Benzene in a Sandy Soil)

  • 백두성;김동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5-100
    • /
    • 1999
  • 토립자 표면에서의 흡착에 의한 토양에서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지연효과는 잘 알려진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시험과 주상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사질토양에서 Benzene의 이동성에 대한 지연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치시험을 위하여 토양시료와 다양한 초기농도의 Benzene 용액을 48시간 반응시켰고. 초기용액과 평행상태의 Benzene 용액의 농도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상시험은 파괴곡선으로 알려진 시간에 따른 용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추적자로는 10 g/L 농도의 KCI과 0.88 g/L의 Benzene 용액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용액을 토양시료의 상부경계면에 순간주입한 후 정상류 상태에서 배출구로 빠져나온 용탈수의 농도를 EC-meter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치시험의 결과로부터 linear adsorption isotherm에 의한 분배계수가 측정되었고 주상시험 조건의 용적밀도 및 함수율을 고려한 지연계수가 산정되었다. 주상시험의 결과 i) Benzene의 첨두농도는 KCl 첨두농도보다 상당히 낮았으나. ⅱ) 첨도농도의 도달시간은 거의 일치하였다.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이 일치한다는 결과는 지연효과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하며, 배치시험의 결과로부터 산정된 지연계수를 고려하여 예측된 파과곡선은 Benzene의 주상시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Benzene 농도의 뚜렷한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convection-dispersion equation(CDE) 모델에서 비가역 흡착에 의한 농도의 절대적 감소를 고려하는 감쇄계수(decay or sink coefficient)를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질토양에서의 중금속의 지연효과와 이동성 (Retardation Effect and Mobility of a Heavy Metal in a Sandy Soil)

  • Kim, Dong-Ju;Baek, Doo-Sung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5-161
    • /
    • 1998
  • 토립자 표면에서의 흡착에 의한 토양에서의 중금속의 지연효과는 잘 알려진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시험과 주상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사질 토양에서 Zn의 이동성에 대한 지연효과를 조사하였다. 주상시험은 파과곡선(BTC)으로 알려진 시간에 따른 용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추적자로는 10 g/L 농도의 NaCl과 ZnCl$_2$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용액을 토양시료의 상부경계에 순간주입한 후 정상류 상태에서 배출구로 빠져나온 용탈수의 농도를 EC-meter와 ICP-A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치시험은 표준절차에 근거하여 이루어졌으며, 토양시료로부터 선별된 미세입자들을 다양한 초기농도의 ZnCl$_2$용액과 반응시켜 평형상태의 Zn 이온의 농도를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상시험의 결과는 i) ICP-AES에 의해 분석된 ZnCl$_2$의 첨두농도는 NaCl이나 총전기전도도로부터 구한 값보다 상당히 낮았고, ii) 두 종류의 추적자 모두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은 상당히 일치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Zn의 농도는 Zn과 다른 양이온들간의 이온교환반응이 일어났고, 용탈수의 pH가 높은 값의 범위(7.0~7.9)에 있는 것으로 보아 Zn(OH)$_2$의 형태로 침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이 일치한다는 결과는 토양시료에서 지연효과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Zn 이온의 뚜렷한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CDE 모델에 용액상태에서 Zn 이온의 절대적 감소를 고려하는 감쇄계수(decay or sink coefficient)를 적용하는 것이었다.

  • PDF

간담도질환(肝膽道疾患)에 있어서 $^{131}I$-Rose Bengal 및 $^{198}Au$ 교질(膠質)의 혈중소실율(血中消失率)의 진단적(診斷的) 의의(意義)에 관(關)한 연구(硏究) (Diagnostic Significance of the Blood Disappearance Rate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in Hepatobiliary Diseases)

  • 전영균;고창순;한심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8
    • /
    • 1971
  • The liver function test was performed by means of two radioisotope tracer techniques in 20 normal subjects and in 63 patients with hepatobiliary diseases. The blood disappearance rates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were determined by external counting method. The hepatocellular function and the hepatic blood flow were estimated from the observed dat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liver function tes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was $6.6{\pm}0.63$ minutes in normal control, $17.7{\pm}6.93$ in cirrhosis of the liver, $16.6{\pm}4.80$ in acute hepatitis, and $14.7{\pm}3.46$ in obstructive jaundice. It was markedly prolonged in the hepatobiliary disease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hepatobiliary diseases. 2.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98}Au$ colloid was $4.0{\pm}0.66$ minutes in normal control, $9.8{\pm}3.42$ in cirrhosis of the liver, $4.4{\pm}0.82$ in acute hepatitis, and $5.0{\pm}1.42$ in obstructive jaundice. The difference between cirrhosis of the liver and normal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among acute hepatitis, obstructive jaundice, and normal control. The mean blood disappearance rate constant (K value) was $0.177{\pm}0.028/minute$ in normal control. In cirrhosis of the liver, it was markedly decreased which was suggestive of the reduced hepatic blood flow. 3. The ratio of $^{131}I$-rose bengal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to $^{198}Au$ colloid disappearance half time was $1.68{\pm}0.20$ in normal control, $1.82{\pm}0.31$ in cirrhosis of the liver, $3.80{\pm}0.82$ in acute hepatitis, and $3.01{\pm}0.54$ in obstructive jaundice. The ratios in acute hepatitis and obstructive jaundice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in normal control and cirrhosis of the liver.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and that of $^{198}Au$ colloid in cirrhosis of the liver. 5. In cirrhosis of the liver,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s of $^{131}I$-rose bengal and of $^{198}Au$ colloid were inversely correlated to the serum albumin level. In acute hepatitis, there was a goo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and the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In obstructive jaundice, the blood disappearance half time of $^{131}I$-rose bengal was correlated to the serum bilirubin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