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xic 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연안 조류에서 Cd와 Zn 독성의 반대 작용 분석 (Analysis of Op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d and Zn Toxicity in Coastal Algae)

  • 이봉헌;김정호;정성옥;김성미;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69-1074
    • /
    • 2002
  • The growth and heavy metal experiments revealed op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oxic metals(Zn and Cd) and Mn when the coastal diatom T. pseudonana were used. Cd and Zn inhibited the algal growth rate only at low Mn ion concentrations and this effect could be accounted for an inhibition of cellular Mn take by the toxic metals. Mn and Zn inhibited cellular Cd take and this indicated a reciprocal effects among the metals with respect to metal take. Saturation kinetics modeling of the take data was consistent with two metals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binding to the Mn take system and with both Cd and Mn being transported into the cell by that system. Mathematical modeling of Mn and Cd take data revealed evidence fur a Cd efflux system.

코크스폐수에 함유된 $S^{-2}$$SCN^-$이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Toxic Materials on 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Coke Plant Wastewater)

  • 김상식;이기세
    • 공업화학
    • /
    • 제24권4호
    • /
    • pp.423-4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코크스공장의 Coke Oven Gas (COG)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특성을 규명하고 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코크스 제조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수 중에는 미생물에 유해한 $S^{-2}$, $SCN^-$이 각각 6.8~11.2 mg/L, 190~320 mg/L로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S^{-2}$ 이온농도가 10 mg/L 이하인 경우 활성슬러지의 $SV_{30}$값이 280~340 mL로 슬러지 침강성이 양호했지만 $S^{-2}$ 이온농도가 15 mg/L 이상에서는 $SV_{30}$가 560~680 mL로 슬러지 침강성이 악화되었다. 또한 $SCN^-$ 이온의 경우는 $SCN^-$ 이온의 농도가 300 mg/L 이하인 경우 $SV_{30}$값이 245~320 mL로 슬러지 침강성이 양호했지만, $SCN^-$ 이온농도가 400 mg/L 이상에서는 $SV_{30}$ 값이 470~567 mL로 슬러지 침강성이 악화되었다. 따라서 코크스공장 가스 정제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미생물활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폐수처리설비의 유입원수 중 $S^{-2}$$SCN^-$ 이온농도를 각각 15 mg/L, 400 mg/L 이하로 유지해주어야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IV-1 reverse transcriptase 및 protease의 유전자 cloning

  • 최관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81-81
    • /
    • 1993
  • Reverse transcriptase가 유도되는 것을 SDS-PAGE 및 효소활성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효소의 정제를 위한 예비실험으로 ammonium sulfate 및 DEAE 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rgraphy를 시행하였을 때 specific activity의 증가를 보여주므로서 reverse transcriptase의 분자클로닝 후 발현된 효소가 활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MAL; cRI 재조합 유전자에 있는 protease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했을 때 E. coli세포의 성장에 toxic하게 작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발현된 protease가 E. coil의 번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믿어지며 Protease의 유전자 발현을 위한 host의 선택, inducer의 첨가시간 등 실험조건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수유(山茱萸) 종자(種子)의 독성(毒性)과 렉틴 성분(成分) (Toxicity and Lectins Constituents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nalis)

  • 정시련;전경희;박소영;장순자
    • 생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7-182
    • /
    • 1993
  • The pericarp of Cornus officinalis is well known famous medicinal drug in oriental countries. In this work, we have tried to evaluate the toxicity and also to find the lectin components from this seed. The lyophilized seed extract was lethal to experimental mouse at $250{\sim}300mg/kg$ and this toxic components were related to proteins. The lectins components were partially purified from the extract by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These lectins were relatively stable at temperature variations and also stable at pH $4{\sim}7$. The activity of these lectins did not inhibit by common carbohydrates molecules.

  • PDF

해양 V. vulnificus의 Hemolysin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molysin from Marine V. vulnificus)

  • 이봉헌;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5-229
    • /
    • 1997
  • 호염기성 V. vulnificus는 연안에 존재하는 미생물로서 치명적인 상처 감염과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과 관련이 있다. Hemolysin은 V. vulnificus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세균종에 의해 생성되는 독성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V. vulnificus에서 hemolysin을 정제한 후 hemolysin의 활성에 미치는 pH, 온도 및 금속 이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Hemolysin은 sheep red blood cell을 용혈시켰으며 hemolysin의 최적 pH는 8.0, 최적 온도는 4$0^{\circ}C$이었으며 $K^+$ 이온은 homolysin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Mn^{2+}$는 감소시켰다. 그러나 hemolysin은 열에 불안정하였다.

  • PDF

연속흐름식 반응기를 이용한 모노-, 디-, 트리 클로로페놀의 광촉매반응에 관한 연구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ono-, Di-, Tri-chorophenols using continuous Flow Reactor)

  • 이상협;박중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8-95
    • /
    • 1998
  • The Electron/Hole Pair is generated when the Activation Energy produces by Ultraviolet Ray illumination to the Semiconductor. And $OH^-$ ion produces by Water Photo-Cleavage reacts with Positive Hole. As a result, OH Radical acting as strong oxidant is generated and then Photocatalytic Oxidation Reaction occurs.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can oxidize the chlorophenol to Chloride and Carbon Dioxide easier, safer and shorter tha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With the same degree of chlorination, the $Cl^-$ ion at para (C4) position is most easily replaced by the OH radical. And then, the blocking effect of $OH^-$ ion between the $Cl^-$ ions and $Cl^-$ ions at symmetrical location is easily replaced by the OH radical. For mono-, di-, tri-chlorophenols, there is no obvious difference in decomposition rate, decomposition efficiency and completeness of the decomposition reaction except for 2,3-dichloropheno, 2,4,5-, 2,3,4-trichlorophenol.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75% and completeness of the decomposition reaction is higher than 70%. Therefore, continuous flow photocatalytic reactor is promising process to remove the chlorinated aromatic compounds which is more toxic than non-chlorinated aromatic compound.

  • PDF

전남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방류수의 화학적/생물학적 독성평가 (Toxic Assessment on Effluents of Arg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Jeonnam using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

  • 이문희;최익창;한상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7-273
    • /
    • 2008
  • 본 연구는 영산강유역 농공폐수처리장 방류수중의 유기오염물질 분포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지점은 영산강 유역에 존재하는 4지점의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GC-Ion trap MS로 300종의 일반적인 화학물질을 ppt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농공폐수처리방류수에서 검출된 주요 유기오염물질은 농약류, CH구조의 방향족, CHO구조의 프탈레이트류, 그리고 CHO(N) 구조의 아로메틱 아민류였다. 또한 diethylphthalate를 포함한 17종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되었다.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결과는 TV로 나타냈으며, 그들의 세포독성은 A지점에서 27.2, D지점에서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화학적 분석 결과와 생물학적 독성도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법제유황의 실용적 제조에 따른 물리 화학적 분석 및 독성, 항균 작용에 관한 연구 (Physiochemical analysis, toxicity test and anti-bacterial effect of practically detoxified sulfur)

  • 인동철;유도현;박철;박진호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7-205
    • /
    • 2012
  • Despite of a long history of the sulfur on the disease healing effect, there were limited ways of applying sulfur to animal and human. We have developed the detoxified sulfur (non toxic sulfur) method to make it practical and mass production possible through laboring for many years. This study practic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S) and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spect of detoxified sulfur. We also performed the oral toxicity experiment to mice, and anti-bacterial test of the detoxified sulfur. Based on the SEM, EDS and SIMS results, the united particles in the mass form with the similar component intensity with the raw sulfur were observed, and hydrogen sulfide ion (HS-) component which is regarded as a toxic matter, was decreased after detoxification. Indeed, toxicity test on the mice (10 males, 10 females) showed no clinical, histopathological changes with the 5 times amount (2,500 mg/kg) of the actual doses. However, the male-mice showed decreased in body weight by 23.6%, 24.3% in the 7th, 14th day, respectively, after detoxified sulfur. Moreover, the female-mice administered the detoxified sulfur showed decreased in body weight by 28.7% (P<0.05)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on the 14th day. The result of antibacterial test on the detoxified sulfur showed antibacterial effect (27%) to inhibit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t is shown that detoxified sulfur can be used as feed additive and has an affect on the farm perfomance.

수처리제 은이온이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ver lon Exchanged Water Treatment Agent upon E. Coli RB 797 and Bacillus sp.)

  • 신혜자;신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16-32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은이온이 이온 교환되어 있는 수처리제(Ag-Os)의 영향을 Bacillus sp. 와 E. Coli RB 797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Bacillus sp.의 성장이 E. Coli RB 797의 성장에서보다 더 은이온에 민감하게 억제됨을 보였다. 성장억제에 필요되어지는 Ag-Os양은 0.2 mg/ml 이상에서 E. Coli RB 797를 0.02 mg/ml 이상에서 Bacillus sp. 의 성장을 저해하며 Ag-Os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생존 할 수 있는 세포 수도 E. Coli RB 797이 더 많음을 보여 윗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세포에 bind되는 것은 몇 분안에 일어 나는 과정이며 starved cells에서도 일어나는 에너지를 필요치 않는 과정임을 Binding연구는 나타내고 있다. 또한 Bacillus sp.의 은이온 binding이 더 많이 일어남을 보여준다. 수처리제의 존재하에서 reducing substances가 생성됨을 methylene blue를 indicatr로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수처리제는 E. Coli RB 797과 Bacillus sp. 에 대해 효과적이며 은이온은 빠르고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과정에 의해 세포에 bind한후 세포내로 들어가 sulfur group과 반응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