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ch paper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33초

SIFT 알고리즘 기반 터치인식 (Touch Recognition based on SIFT Algorithm)

  • 정성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9-7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 시스템에 강한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고안한 터치인식 방법을 소개한다. SIFT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잡음에 강하며 다양한 크기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상에서 얻은 채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트랩 상에서 터치인식을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강한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터치 크기와 방향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터치를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터치인식 알고리즘을 실제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한 결과 SIFT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DoG(Difference of Gaussian) 연산에 많은 계산 량이 필요하여 실시간 터치인식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DoG의 빠른 근사 방법인 DoM(Difference of Mean)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공구감시 시스템의 보정장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omatic Tool Compensation System)

  • 정상화;신현성;차경래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93-99
    • /
    • 2002
  • In general, manufacturing error is originated from bad material, machine tool defection and tool breakage. W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table, the most of error come from the tool wear. In common on-machine measurement teaching probe and touch sensor are widely used however in this paper the electric touch point type automatic tool compensation system is developed the performance of it is validated and effective operating is proposed.

불규칙 표면에 대한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탠저블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 Tangible Interface using Multi-touch Display on an Irregular Surface)

  • 이동훈;강맹관;윤태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5-72
    • /
    • 2011
  •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참여자가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피스 (Microsoft Surface)와 같이 벽면형 디스플레이 이외에 원형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멀티터치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탠저블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본 논문 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구형이 아닌 볼록형(Convex) 불규칙 표면을 대상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참여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 방법은 각종 탠져블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디오라마 기반의 전시 시스템이나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속 응답 터치스크린 제어회로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Control Circuit for Touch Screen with Faster Response Time)

  • 박상봉;허정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55-159
    • /
    • 2014
  • 본 논문은 디지털 회로로 구현된 터치스크린 제어 회로의 응답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회로구현을 기술하였다. 손가락이 터치되었을 때 해당하는 커패시턴스 값을 기존의 선형적인 방법대신에 적응형으로 탐색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개선하였다. 응답 속도의 개선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시 터치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시뮬레이션과 FPGA 검증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응답 속도 향상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터치 스크린 제품에 활용이 예상된다.

드래그 및 방향전환 동작 기반의 상대좌표형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Touch User Interface of Relative Coordinate Style based on Drag and Diversion Operations)

  • 백정훈;최경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9-9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이나 TV 등의 터치화면에 한 번의 터치와 터치된 상태에서의 드래그(drag) 및 방향전환 동작만으로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다층 구조 메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터치면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된 문자를 할당함으로서 한정된 크기의 터치 면에 여러 문자를 중복할당 할 수 밖에 없는 기존의 절대좌표 방식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터치 위치 이동에 따라 상대좌표를 도출하고 상대좌표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함으로서 한정된 터치영역에서 더 많은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상대좌표 기반의 문자 할당 및 입력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IPTV 플랫폼의 리모컨과 셋톱박스로 구현되어 제안 방식의 실용성과 유효성을 입증한다.

무작위 터치 발생 탐지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앱 자동 분석 회피에 관한 연구 (Avoiding Automatic Android App Analysis by Detecting Random Touch Generation)

  • 윤한재;이만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1-29
    • /
    • 2015
  • 급속하게 늘어나는 악성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악성앱 자동 분석 시스템이 구축 활용되고 있다. 악성앱의 행위를 보다 많이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작위 터치를 발생시키는 자동 터치 모듈을 추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람의 터치와 자동으로 발생되는 무작위 터치와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험을 바탕으로 사람들은 한번 터치 후 다음 터치와의 거리가 자동화 모듈보다 짧은 경향이 있으며, 손가락 움직임으로 터치할 수 있는 빠르기도 한계가 있고, 사람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최 외곽 지역은 잘 터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통계적 수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터치에서 사람인지 자동화 모듈인지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자동 터치 발생을 통한 자동 분석 시스템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ouch-Face 기반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Edutainment contents using Touch-Face)

  • 송대현;박재완;이칠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을 사용자가 실제 악기가 아닌 가상 악기를 이용하여 체험해 볼 수 있고, 국악에 하나인 판소리를 따라 부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통문양과 기본도형을 이용한 놀이를 직감적 도구인 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직접 터치할 수 있는 지능형 인터페이스 플랫폼인 Touch-Face를 기반으로 조작이 익숙하지 않는 유아 및 아동들이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 교육적 콘텐츠는 보다 더 유아 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B-Spline 곡선을 이용한 터치펜 잡음제거 (Touch-Pen Noise Reduction Using B-Spline Function)

  • 이상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1-126
    • /
    • 2017
  • 최근에 터치펜이 내장된 모바일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터치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펜을 터치 보드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신호의 정확도와 반응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터치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에 펜으로 입력된 터치 포인트 좌표에 섞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필터링을 위해서는 먼저 입력된 신호 중에서 노이즈에 해당하는 좌표를 빠르게 Sampling함으로써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 한다. 그 다음으로 터치 좌표의 전체보정을 위해 B-Spline 곡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좌표의 포인트를 보정하게 된다. 이는 다른 알고리즘들 보다 실시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성능 평가 방법은 터치패드에 대각선을 10개의 구간을 나누어 오차 픽셀들을 기준 값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균 오차는 7.1픽셀이며,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평균 4.1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우리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좌표에 표현 할 수 있는 터치 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중 터치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제안 및 구현 (Proposal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Keypad with Dual Touch)

  • 송진석;정명우;최정인;서승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3호
    • /
    • pp.73-80
    • /
    • 2018
  •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금융서비스의 간편화에 따라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금융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보안 키패드는 확률 분석 공격이 가능하며 보안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중 터치를 기반으로 한 보안 키패드 제안하며 이를 구현하였다. 이에 앞서 국내 모바일 금융 서비스의 모바일뱅킹과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기존 보안키패드의 종류를 알아보고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중터치보안키패드와 기존의 보안키패드의 안전성을 기존의 키패드 공격(Brute Force Attack, Smudge Attack, 키로깅 공격, 어깨너머공격, Joseph Bonneau)의 인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중 터치를 통한 보안 키패드가 높은 안전성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 터치를 통한 보안 키패드를 활용하면 보다 안전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모바일 환경에서 이뤄지는 서비스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다이얼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 (Dial Menu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 최정환;김연우;장현수;엄영익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84-589
    • /
    • 2008
  •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다른 주변 장치의 도움 없이 손이나 펜 등을 이용해 직접 화면에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조작을 통해 포인팅 커서를 움직이거나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비교적 유연한 손가락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입력의 유연성과 직관성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에 의해 야기되는 조작의 부정확성과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부재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큰 단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효율적인 입력을 위한 다이얼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기법은 사용자의 명령을 받기 위해 작은 아이콘 형태로 대기하고 있는 비활성화 상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받은 후 다이얼 형태로 인터페이스가 전개된 활성화 상태, 활성화 상태에서 원하는 명령을 찾고 실행하기 위한 네 가기 동작인 회전, 확대, 축소, 그리고 클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기법을 통한 직관적인 조작은 터치스크린의 단점인 부정확한 포인팅을 극복하고, 터치스크린이 가지는 드래그 기능을 활용하여 메뉴 검색에 신속성을 부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