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tannin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3초

각종(各種) 식품(食品)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 (Studies on Tasty Constituents in Various Foodstuffs -Part 1. Tasty Constituents of Chinese Quince-)

  • 김영숙;이성우;이갑랑;김광수;조수열;이중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3-167
    • /
    • 1971
  •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으로 생각되는 polyphenol 성분(成分), amino acid, 당(糖), 유기산(有機酸)의 종류(種類)를 검색(檢索)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모과의 polyphenol 성분(成分)의 주(主)가 되는 것은 catechin, leucoanthocyan, 회합형(會合型) tannin 등(等)이다. 2. 모과의 amino acid 로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beta}-alanine$ 등(等)이 많았다. 3. 모과의 유기산(有機酸)의 주(主)가 되는 것은 citric acid, malic acid 이었다. 4. 모과의 당(糖)으로서 glucose, fructose, sucrose, xylose 등의 존재(存在)하였다. 5.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의 함량(含量)을 사과나 배와 비교(比較)할 때 amino acid는 거의 같고, 당(糖) $1/2{\sim}1/3$ 정도(程度)지만 polyphenol 성분(成分)이 $20{\sim}50$ 배(倍), 유기산(有機酸)이 $3{\sim}8$배(倍)로서 모과의 강(强)한 삽미(澁味)와 산미(酸味)의 원인(原因)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 PDF

더덕 잎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과 항산화 활성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 김기호;김나연;강신호;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80-685
    • /
    • 2015
  • 더덕 잎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더덕 잎 추출물 내 존재하는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더덕 잎의 생리활성 물질의 존재를 검정하기 위해 파이토케미컬 검색을 한 결과, 더덕 잎 추출물에 환원당, 사포닌, 트라이터페노이드, 타닌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파이토케미컬의 존재를 근거로 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250 및 $500{\mu}g/mL$ 더덕 잎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 실험에서 각각 43% 및 81%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고, L-아스코브산의 71% 및 95%에 해당하는 환원력을 나타냈다. 또한, 더덕 잎 추출물 62.5, 125 및 $250{\mu}g/mL$에서 각각 73, 90 및 99%의 NO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항염증 효능의 가능성도 제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 추출물의 아글리콘 분획을 조제하여 분석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더덕과 같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인 도라지의 항산화 연구에서 도라지 잎과 줄기 용매 분획물 중 줄기의 부탄올 분획물 $500{\mu}g/m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환원력과 화학성분을 보고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35).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는 더덕 잎 아글리콘 분획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250 및 $500{\mu}g/mL$의 아글리콘 분획이 각각 67% 와 87%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L-아스코브산의 128% 및 141%에 해당하는 우수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더덕 잎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Nutritional Evaluation of Bamboo Shoot Shell and Its Effect as Supplementary Feed on Performance of Heifers Offered Ammoniated Rice Straw Diets

  • Liu, J.X.;Wang, X.Q.;Shi, Z.Q.;Ye, H.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388-1393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tilising bamboo (Bambusa arundinacea) shoot shell (BSS) in ruminants. Chemical composition, rumen degradability and some antinutritional compounds were determined for fresh and boiled BSSs to evaluate its feed value and safety. Thirty-two Holstein heifers were allocated to four groups and us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in growth rate to supplementing ammoniated rice straw with fresh shell (phase 1) or silage of boiled BSS (phase 2). All animals were offered ammoniated straw ad libitum with 1kg of cotton seed meal (phase 1) or 0.5 kg of cotton seed meal and 0.5 kg of concentrate mixture (phase 2) per head per day. The BSS was supplemented at levels of 0, 3, 6 or 9 kg/d (phase 1) and 0, 5, 10 or 15 kg/d (phase 2) (as fed basis). The BSS was very high in moisture content, and its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13~16% DM and 65~76% DM, respectively; boiling resulting in higher moisture and protein. No hydrocyanic acid was detected in both BSSs and content of tannins was negligible. Rumen degradability of BSS was reasonably high, and with boiling the rapidly degradable fraction decreased, and potentially degradable component increased. Silage of the boiled BSS was slightly lower in both rapidly and slowly degraded fractions than the fresh BSS. Animals consumed all supplemented BSSs without any adverse health problems. Intake of ammoniated straw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BSS, but total intake was higher in almost all supplementary groups than in the non-BSS. Heifers had a higher growth rate in phase 1 with fresh BSS than in phase 2 with ensiled shell, and daily weight gains were 622, 629, 744 or 690 g in phase 1, and 578, 575, 677 or 635 g in phase 2 at four BSS levels, respectively. For both phases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nimals in groups 3 and 4 than those in groups 1 and 2 (p<0.01),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groups 1 and 2 (p>0.05) b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3 and 4 (p<0.05). Supplementation with BSS also resulted in an improved feed conversion rate, with the least concentrate consumption in group 3 for both phases. It is concluded that the BSS has a high potential nutritional value as indicated by its medium protein content, reasonably high rumen degradability, and that inclusion of BSS in ammoniated rice straw diet is not only safe to animals, but also may improve growth rate of ruminants and feed conversion rate. It may be disadvantageous to use high amounts of BSS in ammoniated straw diets.

저장온도 및 기간별 혐기처리 녹차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Green Tea on Anaerobic Treatment by Various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 박장현;남승희;송장훈;조영식;최진호;최장전;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19-526
    • /
    • 2012
  • 혐기처리 녹차를 알루미늄 포장에 보관하여 상온, $4^{\circ}C$, $-10^{\circ}C$에 저장 시 품질관련 화학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비타민 C 및 지방산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되었다. 각 성분의 함량 감소폭은 $-10^{\circ}C$ 저장이 상온, $4^{\circ}C$에 비해 적었으며, 함량 감소는 상온에 비해 8개월, $4^{\circ}C$에 비해서는 4개월 정도 지연되었다. 저장 시녹색을 나타내는 'a'값이 감소할수록 품질이 저하되는데, 혐기처리 녹차의 표면 녹색을 나타내는 'a'값은 12개월 저장 시 상온 > $4^{\circ}C$ > $-10^{\circ}C$ 순으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녹색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형상, 향, 맛 등으로 평가하는 관능평가는 100점 만점에 점수가 낮을수록 품질이 저하되며, 저장온도에 따라 혐기처리 녹차의 품질이 상이하였는데 $-10^{\circ}C$ 12개월 저장 시 80점, $4^{\circ}C$ 8개월 81.1점, 상온 4개월 80.4점으로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품질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10^{\circ}C$를 혐기처리 녹차의 가장 효과적인 저장온도로 제시하고자 한다.

Effect of Replacement of Groundnut Cake with Urea-treated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Seed Kernel Cake on Nutrient Utilisation in Lambs

  • Musalia, L.M.;Anandan, S.;Sastry, V.R.B.;Katiyar, R.C.;Agrawal, D.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9호
    • /
    • pp.1273-1277
    • /
    • 2002
  • The effect of urea treatment on chemical composition of neem seed kernel cake (NSKC) was investigated by soaking the cake in 2.1% urea solution (1.2 l $kg^{-1}$ NSKC) for five days. The effect on utilisation of nutrients by replacing groundnut cake (GNC) (30%) with urea-treated neem seed kernel cake (UTNSKC) (33%) in a concentrate mixture fed to meet 70% of the protein requirements of lambs (8 males and 8 females), was monitored in a digestibility study. Following urea treatment of NSKC only 9.5% of urea was hydrolysed 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cake was increased by 6.65%. The tannin content in depulped neem seeds was 37% catechin equivalent. Whereas feeding UTNSKC had no effect on intake of dry matter (72.5 vs 66.3 g/kg $BW^{0.75}day^{-1}$) and digestibility of crude fibre (41.3 vs 43.4%), the cake depressed (p<0.01) the perc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63.7 vs 70.2), crude protein (63.2 vs 70.2), nitrogen free extract (73.8 vs 80.5) and gross energy (64.3 vs 69.1). Digestibility of ether extract (75.8 vs 70.9%) was higher (p<0.05) in animals offered UTNSKC. The nutritive value of the composite ration consumed by lambs offered UTNSKC was lower (p<0.01) in term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64.7 vs 70.2%) and digestible energy (2.8 vs 3.0 Kcal/g DM). Intake of digestible energy (199.8 vs 194.1 Kcal/kg $BW^{0.75}day^{-1}$) and retention of nitrogen (7.53 vs 8.23 g $day^{-1}$) and calcium (2.12 vs 1.84 g $day^{-1}$) were comparable on the 2 rations. Animals fed UTNSKC retained less (p<0.01) phosphorus (0.37 vs 1.05 g $day^{-1}$). The results indicate that urea treatment increased the protein level of NSKC whereas feeding the treated cake as a replacement of GNC, lowered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retention of phosphorus.

Roles of CYP1A1 and CYP2E1 Gene Polymorphisms in Oral Submucous Fibrosis

  • Yaming, Punyo;Urs, Aadithya Basavaraj;Saxena, Alpana;Zuberi, Mariy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335-3340
    • /
    • 2016
  • Background: Oral submucous fibrosis (OSF) is a precancerous condition with a 4 to13% malignant transformation rate. Related to the habit of areca nut chewing it is mainly prevalent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where the habit of betel quid chewing is frequently practised. On chewing, alkaloids and polyphenols are released which undergo nitrosation and give rise to N-nitrosamines which are cytotoxic agents. CYP450 is a microsomal enzyme group which metabolizes various endogenous and exogenous chemicals including those released by areca nut chewing. CYP1A1 plays a central role in metabolic activation of these xenobiotics, whereas CYP2E1 metabolizes nitrosamines and tannins. Polymorphisms in genes that code for these enzymes may alter their expression or function and may therefore affect an individuals susceptibility regarding OSF and oral cancer.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CYP1A1 m2 and CYP2E1 (RsaI/PstI) sites with risk of OSF among areca nut chewers in the Northern India population. A total of 95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cases of OSF with history of areca nut chewing not less than 1 year and 80,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without any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OSF with areca nut chewing habit not less than 1 year were enrolled.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samples and polymorphisms were analyzed by PCR-RFLP method. Gene polymorphism of CYP1A1 at NcoI site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p = 0.016) in cases of OSF when compared to controls. Association of CYP1A1 gene polymorphism at NcoI site and the risk of OSF (Odd's Ratio = 2.275) was also observed to be significant. However, no such association was observed for the CYP2E1 gene polymorphism (Odd's Ratio = 0.81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YP1A1 gene polymorphism at the NcoI site confers an increased risk for OSF.

Antioxidant and Antiaging Assays of Hibiscus sabdariffa Extract and Its Compounds

  • Widowati, Wahyu;Rani, Andani Puspita;Hamzah, R. Amir;Arumwardana, Seila;Afifah, Ervi;Kusuma, Hanna Sari W.;Rihibiha, Dwi Davidson;Nufus, Hayatun;Amalia, Annis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192-200
    • /
    • 2017
  • Skin aging is a complex biological process due to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Free radical oxidative is one of extrinsic factors that induce activation of collagenase, elastase and hyaluronidase. Natural product from plants has been used as antioxidant and antiagi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tioxidant and antiaging properties of Hibiscus sabdariffa extract (HSE) and its compounds including myricetin, ascorbic acid, and ${\beta}$ carotene. The phytochemical of H. sabdariffa was determined using modified Farnsworth method and presence of phenols, flavonoids and tannins were in moderate content, whereas triterpenoids and alkaloids were in low content. Total phenolic content perform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was $23.85{\mu}gGAE/mg$. Quantitative analysis of myricetin, ${\beta}-carotene$, and ascorbic acid of HSE was performed with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 that shows $78.23{\mu}g/mg$ myricetin, $0.034{\mu}g/mg$ ${\beta}-carotene$, whilst ascorbic acid was not detected. HSE has lower activity on DPPH ($IC_{50}=195.73{\mu}g/mL$) compared to ${\beta}-carotene$, the lowest in ABTS assay ($IC_{50}=74.58{\mu}g/mL$) and low activity in FRAP assay ($46.24{\mu}MFe(II)/{\mu}g\;$) compared to myricetin, ${\beta}-carotene$. Antiaging was measured through inhibitory activity of collagenase, elastase, and hyaluronidase. HSE had weakest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IC_{50}=750.33{\mu}g/mL$),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103.83{\mu}g/mL$),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IC_{50}=619.43{\mu}g/mL$) compared to myricetin, ${\beta}-carotene$, and ascorbic acid. HSE contain higher myricetin compared to ${\beta}-carotene$. HSE has moderate antioxidants and lowest antiaging activities. Myricetin is the most active both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대두박 대체 부산물 위주의 TMR 사료가 반추위 내 미생물의 In Vitro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yproducts Supplementation by Partically Replacing Soybean Meal to a Total Mixed Ration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 배귀석;김은중;송태호;송태화;박태일;최낙진;권찬호;장문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9-140
    • /
    • 2014
  • 본 연구는 농 식품부산물 중 비지박, 사자발약쑥 그리고 커피박의 유효미생물 (L. acidophilus ATCC 496, L. fermentum ATCC 1493, L. plantarum KCTC 1048, L. casei IFO 3533) 발효 사료원이 젖소 급여용 TMR (대조구) 중 대두박을 주로 대체한 각 비지박 (SC), 발효 비지박 (FSC), 발효 비지박+발효 사자발약쑥 부산물 (1:1, DM basis, FSCS) 3, 5, 10% 그리고 발효 비지박 + 발효 커피박 (1:1, DM basis, FSCC) 3, 5, 10%의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9처리구를 이용하여 3반복으로 in vitro 시험이 실시되었다. 배양 6~8시간대에 FSCS와 FSCC 처리구는 SC와 FSC 처리구에 비해 높은 pH 수준을 유지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 수준을 유지하였다 (p<0.05). 또한 배양 24시간대 FSC와 FSCC 3% 처리구는 가장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p<0.05). Gas 생성량은 배양 4~10시간대까지 FSCS와 FSCC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SC와 FSC 처리구 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건물소화율은 배양 12시간대까지 FSC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24시간대에는 FSCS 10% 처리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NH_3-N$ 함량은 배양 4시간대까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고 (p<0.05), 24시간에서는 FSC 처리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미생물단백질 합성량은 배양 시작 시 FSC, FSCS 그리고 FSCC 처리구가 4종의 Lactobacillus spp.에 의한 발효 때문에 대조구와 SC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p<0.05), 배양 10시간대 FSC 처리구 보다 SC, FSCS 그리고 FSCC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Total VFA 농도는 배양 6~12 시간대에는 FSC 처리구에 유의하게 높았고(p<0.05), 배양 24시간대에는 FSCS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p<0.05). Acetate 농도는 배양 0~12 시간대에 FS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p<0.05), 24시간대에는 FSCS 5, 10%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Propionate 농도는 FSC 처리구가 배양 0~10시간대까지 가장 높았으며 (p<0.05), 전체 배양기간 동안 FSCS 5, 10% 처리구와 FSCC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Acetate/Propionate 비율은 배양 12시간대에 S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양 24시간대에는 FSCS 3%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CH_4$ 가스 생성량은 FSC 처리구에서 배양 0~10시간대까지 가장 높았으며 (p<0.05), 24시간대에는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배양 4~10시간대까지 FSCS와 FSCC 처리구는 SC와 FSC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CH_4$ 가스 생성량을 나타내었고 (p<0.05), 사자발약쑥과 커피박 함량이 증가할수록 $CH_4$ 가스 생성량은 배양 종료 시까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in vitro 시험에서 젖소 급여용 TMR에 SC, FSC, FSCS 그리고 FSCC의 대체효과는 FSC 처리구에서 배양 초기부터 12시간대까지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이 가장 높았다. FSCS와 FSCC 처리구는 배양 6~8시간대 부터 반추위 내 미생물 작용이 높아지는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배양 시작 후 6~8시간대까지 gas 생성량 및 $CH_4$ 가스 발생량은 낮아지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론은 FSC는 젖소용 TMR 사료원 대체 효과가 높으며, TMR 사료원 중 FSCS와 FSCC 대체효과는 배양 초기 다소 낮은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CH_4$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배양 후기에는 SC와 FSC의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어 TMR 사료원으로써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석잠 첨가 식빵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i Miq) added White Bread)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20-132
    • /
    • 2015
  • 본 연구는 초석잠을 기능성 소재로서 식품 개발에 이용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 12%로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석잠 분말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의 함량은 각각 $139.09{\pm}1.97mg\;GAE/g\;dw$, $74.33{\pm}2.69mg\;QE/g\;dw$, $40.41{\pm}2.54mg\;TAE/g\;dw$로 분석되었다.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식빵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초석잠 분말을 12% 첨가한 식빵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과 총 탄닌의 함량은 각각 $104.27{\pm}0.13mg\;GAE/g\;dw$, $71.03{\pm}1.75mg\;QE/g\;dw$$8.76{\pm}0.12mg\;TAE/g\;dw$이었다(각각 p<0.001, p<0.001, p<0.001). 초석잠 추출물의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의 $IC_{50}$은 각각 1.42 mg/mL와 1.57 mg/mL로 분석되었으며,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식빵의 항산화 활성은 유의적으로 높아졌다(각각 p<0.001과 p<0.001). 초석잠 분말을 9% 첨가한 식빵은 외관, 향미, 맛,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면서 항산화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빵의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산머루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품질특성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 김은정;김영훈;김종원;이효형;고유진;박미화;이정옥;김영숙;하영래;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66-370
    • /
    • 2007
  • 산머루를 이용한 와인 발효를 위하여 거봉, 머스컷베리에이, 산머루의 과피와 과육에서 20종의 야생 효모를 분리하여 알코올 내성과 발효능이 우수한 4종의 균주를 산머루 와인 발효용 우량 종균으로 선별하였다.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한 최적 초기당도와 최적발효온도를 검토한 결과,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고 $24^{\circ}C$에서 발효했을 때 최종 알코올 함량이 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맛, 신맛 및 색깔이 우수하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산머루 와인 발효를 위해 산머루액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여 $24^{\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 생각된다. 최적발효조건으로 제조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산머루 와인의 pH는 3.59, 산도는 0.95%, 알코올 함량은 12.0%이었으며, 아미노산도는 1.8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산머루 와인의 총당 함량은 50 mg/mL로 시판 포도 와인에 비해 높으나 산머루의 신맛을 감화시켜주므로 와인의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 항당뇨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polyphenol 함량은 산머루 와인에서 25.30 mg/mL, tannin 함량은 1.88 mg/mL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olyphenol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신맛과 단맛이 적절히 조화되어 품질이 향상된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