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uspended particulat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지역의 실내공기오염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and Its Health Significance in Working and Living Spaces)

  • 신동천;이효민;김종만;정용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84
    • /
    • 1990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indoor air pollution in living rooms of apartment houses(residential area) and offices(traffic area A : no smoking space, B : smoking space) in Seoul and to determine the health significance of indoor air pollution.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major air pollutants were observed simultaneously from February 13 to 17, and July 24 to 28, 1988. The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CO), nitrogen oxides(NOx), sulfur dioxide($SO_2$), carbon dioxide($CO_2$) and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in living room and offic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oth in summer and in winter,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CO, $CO_2$, and TSP in offices were higher than the outdoor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SO_2$ was higher in the outdoors and NOx was lower than the outdoor concentration only in office A where smoking is not permitted. 2. The indoor and outdoor pollution of offices in win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ummer, and the concentrations of CO, NOx and $SO_2$ in indoor and outdoor air in living room in winter were also higher than those in summ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oor levels of air pollutants are affected by smoking and winter heating systems.

  • PDF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SPM과 유해중금속성분의 농도 (Concentrations of SPM and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 송희봉;권종대;박수경;김은경;윤현숙;주명희;배기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9-26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regional and seasonal concentrations of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A total of 64 SP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non-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s during 2014 and were analyzed for hazardous heavy metals elements (As, Cd, Mn, Ni, Pb) with ICP after acid extraction. Results: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concentrations showed regional (industrial complex area>non-industrial complex area) and seasonal (spring, winter>fall, summer) variations. All of the hazardous heavy metals wer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sources. The pollution index of hazardous heavy metals was very low, showing roughly one-quarter of the level of the air quality guidelines of WHO.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indicated that components of non-industrial complex areas were more related to each other than those of industrial complex areas, and the correlation in the winter was higher than in other seas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air pollution sources and establish related policy because hazardous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areas can influence residential areas.

Case Studies of Mass Concentration Variation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Caused by Synoptic Scale Transport of Dust Storms

  • Kim, Hak-Sung;Cho, Jae-He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4-427
    • /
    • 2019
  • In East Asia, the long-range transport of dust storms originating from Mongolia and northern China affects airborne dust loadings over downwind area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Since 1997, dust loading cases caused by dust storms have been observed using the threshold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geq}250{\mu}g\;m^{-3}\;hr^{-1}$) and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mu}g$ ($PM_{10}$, ${\geq}190{\mu}g\;m^{-3}\;hr^{-1}$)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There were two dust loading cases that exceeded these thresholds in 2016 and three in 2017, which reflects the downward trend of the last twenty-one years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five other dust loading cases with mass concentrations lower than the thresholds were observed from 2016 to 2017. In the moderate dust loading cases exceeding the thresholds, a descending motion of cut-off lows below $45^{\circ}N$ and a southward trough at 500 hPa gpm isopleths intensified at the western ridge, and largely extended the surface high-pressure system over southeast China. Airborne dust loadings following pronounced north-westerlies in the forward side of the high-pressure system were transported to the surface of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However, in slight dust loading cases lower than the thresholds, the restricted descending motion of cut-off lows over $45^{\circ}N$ and the southwestward trough at 500 hPa gpm isopleths intensified the zonal flow over the Korean Peninsula. Surface high- and low-pressure systems moved eastward from the source compared to moderate dust loading cases. Due to the zonal movement of dust storms traversing eastern China, slight dust loading cases were observed with relatively higher ratios of $PM_{2.5}/TSP$ and carbon monoxide (CO) in the central-southern Korean Peninsula.

여과-투과 방법에 의한 케이크 여과의 전체적인 해석 (Study on the Total Analyses of Cake Filtration with Filtration-Permeation Method)

  • 임성삼;송연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4-8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케이크 여과 장치의 설계와 케이크 여과 이론의 전개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평균 비저항값을 새로운 여과 실험방법인 "여과-투과(filtration-permeation) 실험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과거부터 사용되어온 전형적인 여과 실험방법에 의해 측정 되는 평균 비저항값을 여과 평균 비저항 $\alpha_{avf}$이라 하고, 이미 형성된케이크에 입자 제거수를 첨가하여 측정한 평균 비저항값을 투과 평균 비저항 $\alpha_{avf}$이라 하였다. 서로 다른 세 가지 현탁액(입자 현탁액, 응집 현탁액, 고분자 현탁액)에 대해서 "여과-투과 실험방법"으로 케이크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기간의 평균 비저항값과 투과기간의 평균 비저항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투과기간의 평균 비저항 값을 기준으로 이론적인 여과과정이 연구되었다. 이 연구결과 입자 여과 조작에서 침전의 영향이 무시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통상적으로는 침전을 무시하고 있다. 또한 입자 여과과정에서 일정하다고 간주되고 있는 현탁액의 고체분율 5도 변화한다. 통상적인 플럭의 여과과정에서는 케이크 내의 고체분율, $S_c$의 값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것을 보였다. 이런 중요한 여러 문제점이 "여과-투과 실험방법"을 통해서는 모두 해결 된다는 것을 보였다.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영산강하구역 유기물 기원 추정 연구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delta}^{13}C$, ${\delta}^{15}N$))

  • 이연정;정병관;신용식;김성환;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2013
  • 본 연구는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몽탄대교에서 영산강 하구둑에 이르는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연 6회에 걸쳐 수 층 부유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비교하였다.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강우를 통한 외부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암모니아성 질소 및 규산염의 유입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 11월과 8월에 정점 별 유기물의 기원이 크게 차이 났으며, 안정동위원소 비 값을 이용하여 주요 유입원 추정이 가능하였다. 11월에 모든 정점에서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가 무거운 값을 보였고, 인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입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정점에 비해 영산강 하구둑에서 모든 조사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기물 유입이 다른 정점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은 입자성유기물의 기원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ccupant Perception and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t Home in Seoul

  • Sohn, Jong-Ryeul;Kim, Young-Whan;Byeon, Sang-Hoon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1호
    • /
    • pp.51-57
    • /
    • 2003
  • 최근 산업장 뿐만아니라 주택에서의 실내환경오염은 대단히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미국 EPA에서는 성인이 하루에 약 80 % 이상을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환 방식의 변화에 인한 최근 도시화 지역에서의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의 문제가 새로운 환경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일본을 비롯한 구미 각 국에서도 21세기 환경문제 중 실내환경(indoor environment) 문제를 최우선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를 토대로 6개의 다른 주거환경을 가진 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오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측정항목은 온도, 습도, CO, $CO_2$, 호흡성분진, 포름알데히드, 총부유세균(TBC)이었으며, 주택의 지역 및 계절별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측정결과 호흡성분진은 주택 5,6 에서 국내의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총부유세균은 흥콩과 싱가폴의 실내기준 권고치인 $500{\;}CFU/m^3$을 초과였고, HCHO는 모든 대상 주택에서 초과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택의 건축년도와 CO, TBC가 0.01 수준에서 유의성 관계를 나타냈으며, 습도는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또한 주택의 거주자 500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결과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실내공기오염에 대하여 인식하고있으며, 실내오염으로 인해 피로>두통>눈 아픔>기침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정화장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여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방안을 제시하여 관련 기준을 준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주민들이 쾌적한 삶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계절별로 조사한 조석에 따른 아산만의 수질 변동 (Semidiurnal Tid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in Asan Bay during four Seasons)

  • 김세희;신용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3
    • /
    • 2020
  • 아산만은 방조제 갑문을 통한 담수 유입과 외해인 서해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하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 반일주조형 조석을 가진 조수간만의 차가 크게 발생하는 해역이다. 하구에서 조석은 단기적인 물리·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 및 생물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석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산만의 고정 정점에서 계절별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조사하여 조석에 따른 수질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위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변동이 확인되었고, 염분은 특히 조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총부유물질의 경우 표층보다 저층의 농도가 높고, 조석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특히 저층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간조 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류인 아질산+질산성 질소도 조위 양상과 반대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나머지 영양염류들도 다소 약하지만 유사한 형태의 변동을 보였고,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7월에는 반대 경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유기물 및 총질소, 총인의 경우 조석 주기 동안의 시간 변동이 다소 크게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조위와 반대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입자 유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염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무기질 영양염류와 유사하게 담수 유입이 공급원임을 암시하고 있다. 결국 아산만에서는 용존산소, pH 등 일부를 제외한 수질인자와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시간적 변동에 조석이 관여하여 단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용산구 지역에 이산화황 농도의 시계열 변동과 영향인자 분석 (The Analysis of Time Series of SO2 Concentration and the Control Factor in An Urban Area of Yongsan-gu, Seoul)

  • 김보원;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43-553
    • /
    • 2014
  •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측정망에서 2004년부터 2013년간 관측한 대기질 자료를 중심으로 $SO_2$의 환경거동을 시간적 기준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관측한 기타 대기오염물질들($PM_{2.5}$, $PM_{10}$, TSP, $CH_4$, CO, NO, $NO_2$, NOx, $O_3$, THC, NMHC)의 농도자료와 기상자료들과의 관계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SO_2$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10년간 측정한 용산구 지역에서 측정한 $SO_2$의 연간 평균농도는 대기환경기준치인 $20nmole\;mole^{-1}$보다 5배 정도 낮은 4.36-5.86(최저-최고) $nmole\;mole^{-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간 평균농도가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성분들과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SO_2$의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용산구에서 측정한 $SO_2$와 기타대기오염물질, 기상자료들의 경향성을 비교해보았다. $SO_2$은 온도 및 기타물질들에 대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O_2$은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물성 플랑크톤 Harpacticoid, Tigriopus japonicus MORI가 서식하는 Tide Pool 생태계의 조사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icrobial Survey of the Tide Pools Densely Inhabited by Tigriopus japonicus MORI)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2
    • /
    • 1985
  • T. japonicus가 서식하고 있는 천연 tide pool의 실태를 알기 위하여, 신내천현 삼포시 유호주변에 있는 성상이 다른 tide pool 세곳(Fig.1. A, B, C)을 대상으로 $6{\sim}10$월까지 조사를 하였다. 이 tide pool 해수중의 환경요인인 염분농도는 장마철 강우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35\%0$였고, 수온은 $14{\sim}33^{\circ}C$, pH는 $7.4{\sim}8.9$, POC (현탁태유기탄소)는 $255{\sim}3980\;{\mu}g-c/l$, 전 인산염은 $1{\sim}27\;{\mu}g-at/l$의 심한 변동을 보였다. 해수중의 세균수 및 녹조유부착균수는 각각 $10^4{\sim}10^7/ml,\;10^6{\sim}10^8/g$의 범위로 시기적인 변동이 있었고, 해수중의 세균상은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Flabacterium spp., Pseudomonas spp.등의 세균주가 각각 $38\%,\;29\%,\;16\%$$14\%$의 비율로 나타났고, Vibrio spp. 균주나 효모의 출현비율은 낮았다. tide pool 내의 T. japonicus 최고개체수 및 포난개체수는, 8월과 9월 단세포 조류 및 원생동물의 대량발생이 관찰 되였던 B-pool이 높았고, 각각 해수 1l중 약 $2,200{\sim}7,000$$200{\sim}2,800$의 범위였다. 이상의 POC, 전 인산염 및 세균수, 세균상등의 조사결과, T. japonicus의 서식하는 천연환경이 상당히 부영양적인 것으로 추찰되었다.

  • PDF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Sea Food Origin (Oysters and Mussels) in Korea

  • Cho, Boeun;Hong, Gi-Hoon;Kim, Suk Hyun;Lee, Hyunm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45-252
    • /
    • 2016
  • Background: Ingestion of $^{210}Po$ laden seafood accounts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he effective dose of $^{210}Po$. Among seafood items, mollusks, especially domestically produced oysters and mussels, are highly enriched in $^{210}Po$ and a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Oysters and mussels around the Korean coasts were collected from major farm areas in November 2013. Samples were spiked with an aliquot of $^{209}Po$ as a yield tracer, and they were digested with $6mol{\cdot}L^{-1}$ $HNO_3$ and $H_2O_2$. The $^{210}Po$ and $^{209}Po$ were spontaneously deposited onto a silver disc in an acidic solution of $0.5mol{\cdot}L^{-1}$ HCl and measured using an alpha spectrometer.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b$ and $^{210}Po$ were decay corrected to the sampling date, accounting for the possible in-growth and decay of $^{210}Po$. Results and Discussion: $^{210}Po$ activity concentrations in oysters were in a range from 41.3 to $206Bq{\cdot}(kg-ww)^{-1}$ and mussels in a range from 42.9 to $46.7Bq{\cdot}(kg-ww)^{-1}$.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of oysters in the turbid Western coast was higher than the Southern coast.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of the oyst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R^2=0.89$) with those of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surface water. The calculated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oysters and mussels consumed by the Korean population was 21-104 and $5.01-5.46{\mu}Sv{\cdot}y^{-1}$. The combined effective dose due to the consumption of oysters and mussels appears to account for about $35{\pm}19%$ of that arising from seafood consump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Conclusion: The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or oysters in the Korean popul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countries. The total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due to consumption of oysters and mussels consumed in Korea was found to be $76{\pm}42{\mu}Sv{\cdot}y^{-1}$, accounting for $28{\pm}16%$ of the tot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foo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