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oybean

검색결과 1,806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non-genet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maize-soybean)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weight,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 Zhang, Song;Ao, Xiang;Kim, I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49-855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fed a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diet or a non-GMO diet. Methods: A total of 840 broiler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43.03 g per chick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 of the following 2 dietary treatments lasted for 32 days (15 broilers per pen with 28 replicates per treatment): i) Trt 1, GMO maize-soybean meal based diet; ii) Trt 2, non-GMO maize soybean meal based diet. Both diets were maize-soybean meal diets. The GMO qualitative analysis, proximate analysis and amino acid analysis of the feed ingredient samples were carried out. Diets were formulated based on a nutrient matrix derived from analysis results. Growth performance was measured on day 0, 7, 17, and 32. And all other response criteria were measured on day 32.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Lys, Met, Thr of non-GMO grains were lower than that of GMO grains, the protein content of GMO soybean meal was higher than that of non-GMO soybean meal.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were greater (p<0.05) in broilers provided with non-GMO diet than that of the GMO group from d 17 to 32. A decrease in FCR was observed in birds fed the GMO diet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 (p<0.05). No significant impacts on blood profile, meat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were found in response to dietary treatment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on-GMO die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but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 carcass weight and meat quality were not affected by non-GMO diets.

응고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과 두부순물의 성분 (Texture Characteristics of Soybean-Curds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and Compositions of Soybean-Curd Whey)

  • 이선미;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8-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응고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계적 측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두부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두부순물의 일반성분, 올리고당,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콩분말, 두유, 두부순물의 단백질 pattern을 전기 영동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1. 두부의 기계적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검성은 수분함량이 적었던 염화칼슘두부와 염화마그네슘두부가 황산칼슘두부,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보다 컸다. 2.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텍스쳐는 황산칼슘두부,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가 수분함량이 많아 부드럽고 매끈하다고 평가되었으나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는 신맛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3. 동결건조한 글루코노델타락톤두부에서 나온 두부순물에는 상데적으로 arginine이 가장 많았으나, 나머지 3종류의 주부순물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다. 4. 두부 순물에 함유된 주요 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raffinose, stachyose였으며 당의 총 함량은 12-13 g/l 내외로 순물간에 차이가 별로 없었다. 5. 전기영동결과 콩분말과 두유에서는 콩단백진의 주요 획분인 glycinin과 $\beta$-conglycinin이 나타났으나 두부 순물에서는 저분자량의 band 만이 나타났다.

  • PDF

잠재적인 생균제제 Bacillus subtilis CSY191에 의한 검정콩 청국장의 항산화 증진 효과 (Enhanced Antioxidant Effect of Black Soybean by Cheonggukjang with Potential Probiotic Bacillus subtilis CSY191)

  • 황정은;서원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1-397
    • /
    • 2013
  • 잠재적인 생균제제 Bacillus subtilis CSY191에 의해 제조된 국산 검정콩(서리태 및 서목태) 청국장 발효 중 ${\beta}$-glycosidase 활성, total phenolic와 isoflavone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발효 후 total phenolic 및 isoflavone-malonylgycoside와 -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7^{\circ}C$에서 48시간 발효된 서리태 청국장은 서목태 원료 및 청국장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서리태 48시간 발효 후, daidzein, glycitein 및 genistein의 함량은 각각 253.0 ${\mu}g/g$ 72.5 ${\mu}g/g$ 및 114.1 ${\mu}g/g$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검정콩 청국장의 높은 항산화 활성은 total phenolic 및 isoflavonemalonylgycoside와 -aglycone 함량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Bacillus natto 가 된장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acillus natto on the Soybean Paste)

  • 이갑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3-168
    • /
    • 1973
  • 1) 숙성(熟成)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보다 빠르고 13일간(日間)이면 충분(充分)하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 품질(品質) 및 냄새와 색깔은 15% 납두(納豆)된장이 다른 것보다 가장 좋은 영향을 주었다. 3) 총 질소량의 변화는 담금한 후 13일(日)까지는 점차로 감소되었으나 amino acid양(量)과 암모니아태 질소량은 증가되었다. 4)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13일(日)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5) Amino acid양(量)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것보다 많았다. 6) 총산과 환원당량의 변화는 숙성 $9{\sim}15$일(日)까지 급증가 하였으며 그 후(後)부터는 서서히 증감하였다. 7) 총산과 환원당은 koji된장보다 납두(納豆)된장이 약간 많았으며, 납두(納豆) 첨가량의 상이(相異)에 의(依)한 큰 차이(差異)는 없었다. 8) 환원당량과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protease 역가(力價)에 비례하였다. 9) 15% 납두(納豆)를 첨가하여 13일간(日間) $30^{\circ}C$에서 속양(速釀)하면 좋은 된장을 만들 수 있다.

  • PDF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작에서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성 (Response on Canopy Structure, Dry Matter and Yield of Corn and Soydean on Alternative Row Cropping)

  • 홍경식;이호진;유재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7-368
    • /
    • 1987
  •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재배시 각 작물 상호간의 교호비율에 따른 이들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옥수수 단작, 옥수수와 대두의 교호비율이 각각 1 : 1, 1 : 2, 1 :3인 이랑 교호작, 그리고 대두단작의 5가지 재배 양식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는 대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이 짧아지고 착수고가 낮아졌으며 줄기의 굵기는 굵어졌다. 대두는 옥수수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장이 길어지고 줄기가 가늘어졌으며 생장후기 도복의 정도가 심해 졌다. 2. 엽면적지수는 교호작에 의해 2∼8% 증가되었으며 지상부 건물중도 다소 늘어났다. 엽면적과 건물중의 수직분포는 교호재배시 중하부의 분포비율이 높아져 보다 고르게 분포되었다. 3.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엽중의 분포비율이 높아지고 엽이외 부분의 비율이 낮아졌다. T/R ratio는 단작보다 교호작에서, 교호작간에는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되어 식물체중에 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 식물체내 전질소량은 단작에 비하여 교호작에서 교호비율 및 시기에 따라 4∼22% 증가되었다. 그러나 부위별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타 작물과의 교호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옥수수의 수량구성요소는 증가되었으나 대두의 수량구성요소는 감소되었다. 6. Land equivalent ratio(LER)은 교호재배시 0.96∼1.01로 단작 1.00과 차이 없었으나 예상수량에 대한 실제 수량의 비로 평가할 때, 총질소수량은 1.10∼1.25, 총건물수량은 1.07∼1.12, 그리고 총종실수량은 1. 17∼1.20으로 교호재배에 의해 수량생산성이 높아졌으며 옥수수와 대두의 1 : 1 교호작이 비교적 유망하였다.

  • PDF

콩 종류와 대두 가공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s의 정량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 김정숙;이영선;김진숙;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0
    • /
    • 2000
  • 콩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써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콩은 우리의 식생활과 깊은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한국산 황기와 콩제품인 콩나물, 두부, 콩기름, 메주, 된장, 간장, 대두, 약콩, 완두콩 및 강남콩 등에서 함유된 isoflavone을 5mM $NaH_2PO_4$ 완충용액(pH 4.6)과 메탄올을 혼합한 이동상 (4 : 6) UV 260 nm에서 분석하였다(Table 2). 콩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중 유리 daidzein 양은 콩나물에서 $43.49{\pm}3.41\;mg/kg$, 된장에서 $233.31{\pm}5.81\;mg/kg$, 약콩은 $35.66{\pm}4.70\;mg/kg$이 검출되어 대두 $(14.52{\pm}0.58\;mg/kg)$ 비해 높았다. (P<0.05)간장 및 콩 기름은 함량이 낮았고, 완두콩 및 강남콩의 함량은 측정치 이하였다. 유리 genistein은 콩나물이 $27.631{\pm}1.66\;mg/kg$,메주가 $18.75{\pm}1.33mg/kg$, 된장이 $291.52{\pm}6.81\;mg/kg$ 검출되었고, 대두는 $22.49{\pm}0.93mg/kg$으로 약콩$(61.10{\pm}7.73mg/kg)$ 보다 낮았다(P<0.01). 그러나 formononetin의 함량은 daidzein, genistein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황기는 daidzein과 genistein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formononetin의 함량이 대두$(60.62{\pm}11.35\;{\mu}g/kg)$ 비해 $9629.73{\pm}0.57\;{\mu}g/kg$으로 약 160배 이상 많았고, 약콩은 대두와 유사하였으나, 콩기름, 완두콩, 강남콩에서는 formononetin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통식품인 된장과 메주에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대두유와 쌀눈기름의 급여가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Supplementary effect of Soybean oil and Rice germ oil on Lipid Metabolism in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 이성현;전혜경;박홍주;이연숙;김해리;승정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9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soybean oil and rice gem oil compared with lard on lipid metabolism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were fed three kinds of experimental diets with 20% lipid from lard(L), soy bean oil(SBO) and rice gem oil(RGO) for 7 weeks, respectively. Diet intake, body weight, organs weights and lipids levels of serum, liver and feces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 intake, body and organs weights among experimental groups. But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of SBO and RGO groups, and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lower in RGO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hepatic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of RG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excreted in feces of SBO and RGO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L group, and the significance was shown only in RGO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oy bean oil and rice germ oil can reduce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hepatic total lipid concentration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compared with lard as a animal fat source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of these groups. But the significant reducing effects 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were shown only in RGO group, and we need to investigate the hypolipidemic effect of this oil by supplementary level and period.

  • PDF

대두피를 이용한 발효사료의 개발 연구 (Improvement of Nutritive Value of Soybean bran by Fermentation)

  • 이양희;김숙희;조명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1호
    • /
    • pp.33-42
    • /
    • 197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value of fermented soybean bran as animal feed. Natural soybean bran has low protein quality and high cellulase contents. The soybean bran was supplemented by urea and ammoniumsulfate as N-source for incubation of Aspergillus niger. After incubation of soybean bran with Aspergillus niger, the nutritional quality of protein and riboflavin contents were increased in general and more in aging process than in fermentation. In order to elucidate the biological efficiency of prepared soybean bran, 120 male weanling rats were divided into 22 groups, five rats each, and were fed by standard casein diet mixed with soybean bran in the proportion of 1/10, 1/15, 1/20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kept under the experimental diet for nine week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food efficiency ratio showed higher in the groups of urea and ammonium-sulfate-add group than row soybean bran group but the former group is lower than the later in the body weight gains. Protein efficiency ratio was also same trend. It was noteworthy that the nitrogen retention rate in total body on the basis of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dietary intake nitrogen and in big organ such as liver and spleen were higher in fermented group than raw soybean bran fed group. It was worth while to treat the soybean bran in first place fermentation and further aging process to elevate the biological efficiency and effect of nutritional values specifically of protein and of riboflavin.

  • PDF

Treated Extruded Soybean Meal as a Source of Fat and Protein for Dairy Cows

  • Ure, A.L.;Dhiman, T.R.;Stern, M.D.;Olson, K.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7호
    • /
    • pp.980-989
    • /
    • 2005
  • The influence of treated, extruded, partially expelled soybean meals as undegradable protein and bypass fat sources on lactation performance and ruminal fermentation of dairy cows was studied. Experiment 1: nine cows were used in a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ith each period being 3 wk in duration. Cows were fed 440 g/kg forage and 560 g/kg grain diet with one of three extruded soybean meals fed at 110 g/kg of the diet. The 3 soybean meals were 1) twice-extruded soybean meal (ESM; as a control); 2) lignosulfonate-treated, twice-extruded soybean meal (LSM); and 3) calcium oxide plus lignosulfonate-treated, twice extruded soybean meal (CLSM). Experiment 2: 3 ruminally cannulated cows were used in a 3${\times}$3 Latin square to study the treatment influence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eeding treated soybean meal to cows in LSM and CLSM treatments did not improve feed intake, milk yield, or milk composition except that cows fed the LSM and CLSM treatments produced less milk protein compared with the ESM treatment. The proportion of $C_{18:2}$ was greater in milk fat of cows fed CLSM compared with that of cows fed the ESM or LSM treatments. Ruminal pH, ammonia,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An increased proportion of $C_{18:2}$ in milk fat suggests that there is a potential use of calcium salts of fatty acids in protecting the lipid portion of extruded soybean meal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is potential with full-fat extruded soybeans not with extruded and partially oil expelled soybeans.

Bacillus subtilis HA를 이용한 soybean grit의 고체발효 기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생산 및 항산화 효과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Grit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 김지은;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9-185
    • /
    • 2009
  • Soybean grit를 이용하여 B. subtilis HA에 의한 고체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물의 발효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변화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혈전분해효소 활성 및 protease 활성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pha}$-amylase 활성은 발효 5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Tyrosine 함량은 발효 5일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며, 콩 가수분해물중에서 분자량 3,000 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콩 펩타이드 및 갈변화색소는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oybean grit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주정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정 추출물은 발효시간 3일째 18.10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시간 3일째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