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moke release (TS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철도차량용 고무바닥재의 연기발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moke Generation of Rubber Floor for Railway Vehicle)

  • 박영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5-20
    • /
    • 2018
  •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the Cone Calorimeter test and Smoke density test in accordance with ISO 5660-1 and ASTM E662 respectively to check the smok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rubber flooring materials for railway vehicle. Early in the ASTM E662 test, more smoke was produced in the flame mode test than non-flame mode test, but later more smoke was produced in non-flame mode test. The correlation($R^2$) between TSR(Total Smoke Release) by ISO 5660-1 and Ds(Specific Optical Density) by ASTM E662 Flame mode was 0.782. The $R^2$ between TSR by ISO 5660-1 and Ds by ASTM E662 Non-flame was 0.930.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베니어의 난연성 (Flame Retardancy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51-254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난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CO/CO_2$비를 증가시켰다. 이것은 정도에 따라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모늄염이 베니어의 난연제로 사용되었을 때, 도포된 암모늄염은 베니어의 난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ammonium sulfate와 ammonium chloride로 도포된 베니어는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에 비해 양쪽 모두 낮은 총연기방출율과 낮은 총연기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느티나무의 난연성 시험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9-406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based materials by the treatment of ammonium salts. Zelkova sarrata plate was soaked by the treatment with three 20 wt% ammonium salt solutions consisting ammonium chloride (AMSL), monoammonium phosphate (MAPP), and diammonium phosphate (DAPP), respectively, at the room temperature. After the drying specimen treated with chemicals, combus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by the cone calorimeter (ISO 5660-1). When the ammonium salts were used as the retardant for zelkova sarrata, the flame retardancy improved due to the treated ammonium salts in the virgin zelkova sarrata. However the specimen shows increasing CO over virgin zelkova sarrata and It is supposed that toxicities depend on extents. Also, the specimen with ammonium salts showed the higher total smoke release (TSR) than that of virgin plate. Of specimens treated with ammonium salts the ammonium chloride handled the test side was considered a improved inhibitory effect of combustion.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난연성 (Combustion-Retardation Properties of Pinus rigid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21권6호
    • /
    • pp.627-6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암모늄염 처리에 의하여 리기다 소나무를 바탕으로한 재료의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실온에서 3종류의 암모늄염 즉,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의 20 wt% 수용액에 각각 리기다 소나무를 함침시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들의 연소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시험편들은 미처리된 시험편에 비하여 연소억제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CO의 발생량은 증가하여 정도에 따라 독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미처리된 순수 시험편에 비해 총연기방출율과 총연기량이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처리된 시험편 중 diammonium phosphate로 처리된 것이 가장 연소억제 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붕소 화합물로 처리된 편백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ypress Specimens Painted with Solutions of Boron Compounds)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1-6
    • /
    • 2018
  • 붕산과 5붕산암모늄으로 처리한 편백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붕산과 5붕산암모늄의 혼합된 투여는 그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화재성능지수 값을 향상시켰다. 또한 붕소 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공시편보다 총열방출율 값이 6.1~14.1% 감소되었다. 붕소화합물로 처리된 시편의 총연기방출율은 연소과정 전반에 걸쳐 감소되었으나 붕산/5붕산암모늄은 예외였다. 일산화탄소 최대농도는 15.8~25.5% 정도 감소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대체적으로 난연제로 처리한 목재는 화재 위험성이 낮아진 것으로 이해된다.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및 내열성 연구 (Study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Resistance Properties of Phenolic Foam and Polyurethane Foam)

  • 이주찬;서중석;김상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페놀 폼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난연제가 첨가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각각 열분석(TGA)을 통하여 열분해 거동을 알아보았고 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열방출량(HRR), 연기발생량(TSR) 및 CO 및 $CO_2$ 발생량과 산소한계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페놀폼이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초기 분해는 빠르지만 $800^{\circ}C$에서 잔존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낮은 열방출속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질량 감소율, 연기발생량도 폴리우레탄 폼보다 낮아 우수한 난연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무기 필러가 첨가된 현무암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의 난연 특성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Basalt Fiber Reinforced Epoxy Composite with Inorganic Fillers)

  • 문소윤;이수연;임형미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6호
    • /
    • pp.368-374
    • /
    • 2019
  • 무기필러가 첨가된 현무암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첨가된 무기필러는 각각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베마이트이며 이를 첨가제로한 에폭시 수지를 현무암섬유에 핸드레이업으로 함침시킨 후 hot pressing하여 수지 함침량이 30 wt%인 섬유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LOI 평가 결과 BFRP의 LOI (28.9)는 에폭시 수지 (21.4)에 비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무기필러가 첨가될 경우 그보다 더욱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기필러가 첨가된 복합재료는 무기필러가 첨가되지 않은 복합재료에 비해 콘칼로리미터 시험에서 PHRR, THR, TSR 등이 감소하여 무기필러 첨가에 따른 난연 특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인도네시아 주요 조림수종의 연소특성 (Combustion Properties of Major Wood Species Planted in Indonesia)

  • 박세휘;장재혁;;;;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68-7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조림지에서 생장한 4수종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해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평균열방출량($HRR_{mean}$)은 비중에 비례하였으며, 총열방출량(THR) 및 연소시간(FT) 등열관련 계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Albizia는 열방출 시간이 짧았고, Mindi는 4수종 중 점화시간(TTI)과 연소시간(FT)이 길어져 4수종 중 연소속도가 늦었고, 열방출 시간도 가장 길게 이어져 결국은 Mangium 수종과 비슷한 총열방출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bizia는 공시수종 중 가장 높은 비소화면적 값을 나타내어 연기발생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Mindi는 가장 낮은 비소화면적 값을 나타내 연기발생비율이 낮았다. 초기 연기방출률은 Albizia가 높았으나 이후에는 Gmelina와 Mangium 의 연기방출률이 높아져 총연기발생량이 높게 나타났다. Gmelina는 불완전연소로 인해 연소기간 중 가장 많은 일산화탄소 연기를 생성하였고, $CO/CO_2$ 비율은 다른 수종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연소시험에 의한 붕소 화합물 처리 목재의 화재위험성 (Fire Risk of Wood Treated With Boron Compounds by Combustion Test)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9-26
    • /
    • 2018
  • 붕산과 5붕산암모늄으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화재성능지수(FPI)는 공시편보다 1.2~2.1배 증가하였고, 화재성장지수(FGI)는 공시편보다 1.6~8.4% 증가하였다. 또한 총연기발생률(TSR)은 공시편보다 9.0~28.3.% 낮았다. 이것은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이 난연효과로 탄화층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공시편은 418 s에서 가장 높은 CO농도인 0.01112%를 보였으나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공시편보다 13.2~37.5% 감소하였다. 따라서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목재는 화재위험성과 위해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Optimal flammability and thermal buckling resistance of eco-friendly abaca fiber/ polypropylene/egg shell powder/halloysite nanotubes composites

  • Saeed Kamarian;Reza Barbaz-Isfahani;Thanh Mai Nguyen Tran;Jung-Il Song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27-140
    • /
    • 2024
  • Upon direct/indirect exposure to flame or heat, composite structures may burn or thermally buckle. This issue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natural fiber-based composite structures with higher flammability and lower mechanical properties. The main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obtain an optimal eco-friendly composite system with low flammability and high thermal buckling resistance. The studied composite consisted of polypropylene (PP) and short abaca fiber (AF) with eggshell powder (ESP) and halloysite clay nanotubes (HNTs) additives. An optimal base composite, consisting of 30 wt.% AF and 70 wt.% PP, abbreviated as OAP, was initially introduced based on burning rate (BR) and the Young's modulus determined by horizontal burning test (HBT) and tensile test, respectively. The effects of adding ESP to the base composite were then investigated with the same experimental 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ough the B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SP content up to 6 wt.%, it had a very destructive influence on the stiffness of the composite. To compensate for the damaging effect of ESP, small amount of HNT was used. The performance of OAP composite with 6 wt.% ESP and 3 wt.% HNT (OAPEH) was explored by conducting HBT, cone calorimeter test (CCT) and tensile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a 9~23 % reduction in almost all flammability parameters such as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d (THR), maximum average rate of heat emission (MARHE), total smoke released (TSR), total smoke production (TSP), and mass loss (ML) during combustion.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6 wt.% ESP and 3 wt.% HNT reduced the stiffness of OAP to an insignificant amount by maximum 3%. Moreover, the char residue analysis revealed th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char between AF/PP and AF/PP/ESP/HNT composites. Afterward, dilatometry tes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OAP and OAPEH samples.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CTE of OAPEH composite was about 18% less than that of OAP. Finally, a theoretical model was used based on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FSDT) to predict the critical bucking temperatures of the OAP and OAPEH composite plates. It was shown that in the absence of mechanical load, the critical buckling temperatures of OAPEH composite pla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AP composites,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ckling temperatur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ickness. On the contrary, the positive effect of CTE reduction on the buckling temperature decreased by raising the axial compressive mechanical load on the composite plates which can be assigned to the reduction of stiffness after the incorporation of ESP.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generally stated that a suitable combination of AF, PP, ESP, and HNT can result in a relatively optim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ite with proper flame and thermal buckling resistance with no significant decline in the stiff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