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conten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4초

추출온도 및 함수율에 따른 오미자 종자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eed Oil Extrac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Moisture Contents)

  • 박예근;박소연;박윤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73
    • /
    • 2022
  • Omija seed oil was extracted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using an eco-friendly pressed extraction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12 extracts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seed moisture content (5, 7.5, and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25, 49, 75, and 100℃) were then investiga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31.33%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75℃. The lowest acid value was 4.18±0.25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49℃or moisture of 7.5% and temperature of 25℃. Peroxide value, iodine value, and saponification value were the lowest at 0.64±0.56 meq/kg, 159.38± 6.03, and 57.60±9.40, respectively,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25℃.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s was the highest at 4,413±125 mg TAE/100 g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10% and the extraction temperature was 2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il extracts at 20~100 mg/mL were 28.68±7.30~87.65±2.20%.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and IC50 were 87.65±2.20% and <20 mg/mL, respectively, for extract obtained at moisture of 10% and temperature at 100℃. As a result, the extraction yield, acid value, peroxide value, iodine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so on were excellent at moisture content of 5%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25℃ or 49℃. However,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moisture of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100℃. In conclusion, extracting Omija seed oil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is effective with a pressed extraction method.

Bioactivity of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e) Seed Extracts

  • Kim, Seong-Yeong;Shin, Kwa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36-140
    • /
    • 2012
  • 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 were made using either distilled water (TW), ethanol (TE), or n-hexane (TH), to measure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howed higher value at TE (235.24 ${\mu}g/mL$, p<0.05) than those of TW (132.65 ${\mu}g/mL$) and TH (165.44 ${\mu}g/mL$) at 10 mg/mL and TE exer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1.77%, p<0.05), which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TE TW (56.87%)>TH (39.78%). The results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at TW (34.26%) and TE (31.81%) showed similar activities, which were higher than TH (12.74%, p<0.05).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TE (61% at 500 ${\mu}g/mL$) showed a higher activity when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60% at 1,000 ${\mu}g/mL$) polysaccharide-K (PSK), a known immuno-active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Consequently, among TSEs, TE is a byproduct from trifoliate orange and could be an important source of dietary polyphenolic antioxidant compounds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ncluding complement activation.

Biotic 물질이 콩 발아 중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tic Substances on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Germination)

  • 김서영;송영호;이유정;김홍식;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84-92
    • /
    • 2020
  • 콩 발아기간 중 몇 가지 면역활성제(자스몬산, 키토산, 베타글루칸 및 게르마늄)와 녹차 및 인삼 추출물이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대부분의 처리에서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졌는데 면역활성제 중에서는 키토산 처리가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으며 약초추출물 처리는 효과가 미미하였다. 2. 품종별 이소플라본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대풍2호>우람>풍산나물콩의 순서로 높았으며 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biotic 물질 처리간 상호작용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개별 이소플라본 종류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onyl-glucoside>glucoside>aglycone>acetyl-glucoside 순서로 함량이 높았으며 발아가 진행되면서 aglyco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콩 발아기간 중 biotic 물질 처리는 어느 정도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대시키며 품종과 물질처리간 상호작용 효과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Cornus mass Fruit i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 Yousefi, Bahman;Abasi, Mozhgan;Abbasi, Mehran Mesgari;Jahanban-Esfahlan, Ra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727-5731
    • /
    • 2015
  • Background: There is a long standing interest in natural compounds especially those with a high polyphenolic content and high scavenging activity for hazardous free radicals. Cornus mas (CM) fruit is well known for its antioxidant activities; however, its toxicity against human cancers needs to be addressed. Here, we investigated selective anticancer effects of CM o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 hydro-alcoholic extract of CM (HECM) was prepared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were determined by colorimetric assays.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with respectto DPPH radical scavenging. MTT assays were us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different doses of CM (0, 5, 20, 100, 250, 500, $1000{\mu}g/ml$) towards A549 (lung non small cell cancer), MCF-7 (breast adenocarcinoma), SKOV3 (ovarian cancer) and PC-3 (prostate adenocarcinoma) cells. Results: Significant (P<0.05) or very significant (P<0.001)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mparison to negative controls at all tested doses ($5-1000{\mu}g/ml$). In all cancer cells, HECM reduced the cell viability to values below 26%, even at the lowest doses. In all cases, $IC_{50}$ was obtained at doses below $5{\mu}g/ml$. The mean growth inhibition was 81.8%, 81.9%, 81.6% and 79.3% in SKOV3, MCF-7, PC-3 and A549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s: Altogether, to our best knowledge, this is a first study that evaluated toxicity of a HECM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in vitro. Our results indicated that a hydro-alcoholic extract of CM possesses high potency to inhibit proliferation of different tumor cells in a dose independent manner, suggesting that an optimal biological dose is more important and relevant than a maximally tolerated one.

율무 청국장 아몬드 쿠키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mond Cookies Prepared with Job's tears(Coixlachryma-jobi L.) Chungukjang)

  • 이혜정;김성수;한찬규;오환희;김효정;이순우;최유식;최은영;김미경;김원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4
    • /
    • 2011
  • Job's tears (Coixlachryma-jobi L.) and Chungkukjang (soybean-fermented food) were abundant source of phenolic compounds. In this study, almond cooki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5%, 10%, 15%), of Job's tears Chungkukjang powde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measured by the Folin-Ciocalteu method, total flavonoids contents were measured,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DPPH assay. Antioxidative activ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Job's tears Chungkukjang almond cookies (r=0.867, r=0.647). In additi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Job's tears Chungkukjang almond cooki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bulk density and pH of the dough, spread factor,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proximate composition, and sensory evaluations. The spread factor, hardness, a value and b valu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Job's tears Chungkukjang powder (p<0.01), whereas the L values of the cookie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Job's tears Chungkukjang powder content (p<0.05). The acceptability scores for the 5-15% Job's tears Chungkukjang almond cookie groups were ranked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that Job's tears Chungkukjang powder wa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김치에서 신규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균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배 발효물의 제조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 인만진;김혜민;진혜진;김동청;오남순;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51-55
    • /
    • 2010
  • 김치에서로부터 배 파쇄물에서 생육과 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Ln.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KACC 91495P로 기탁하였다. KACC 91495P 균주를 배 파쇄물에 접종한 후 pH, 적정산도, 생균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배양액의 pH는 배양 9시간 이후 pH 4.05로 급격히 감소한 후 배양 18시간에 pH 3.86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배양 초기부터 15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9% 수준에서 평형을 이루었다. 생균수는 접종 후 9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여 배양 18시간에는 $2.9{\times}10^9\;CFU/g$까지 증가하였다. 유기산 농도는 배양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여 18시간 배양 후 젖산이 0.213%, 초산이 0.259%, 사과산이 0.217%로 분석되었다. 또한 배 발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시간 배양 후 $134\;{\mu}g$ tannic acid/mL에서 $185\;{\mu}g$ tannic acid/mL로 약 40%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활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4^{\circ}C$에서 KACC 91495P 균주에 의한 배 발효물은 약 2주일의 저장기간 동안 pH, 적정산도, 총균수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고추씨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Function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 구경형;최은정;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57-1362
    • /
    • 2008
  • 품종별 고추씨의 추출 수율은 물 추출물 $11.30{\sim}18.93%$, 에탄올 추출물 $3.00{\sim}5.25%$로 에탄올 추출보다는 물 추출물이 더 높은 수율을 보였다. 품종별 고추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은 $10.22{\pm}1.29{\sim}25.98{\pm}0.55mg/g$의 범위인 반면 에탄올 추출물은 $8.00{\pm}0.57{\sim}33.99{\pm}0.09mg/g$이었다. 또 품종별 고추씨 용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은 $70.11{\pm}0.71{\sim}94.07{\pm}0.86%$, 에탄올 추출물은 $81.93{\pm}1.77{\sim}99.90{\pm}0.70%$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전자공여능의 경우 물 추출물은 $0.04{\pm}0.07{\sim}14.31{\pm}0.06%$로 전자공여능이 낮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35.48{\pm}0.23{\sim}73.83{\pm}0.04%$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한 그릭 요거트의 항산화 활성 변화 (Antioxidant Activity of Greek-style Yogurt with Stevia Leaf Extracts)

  • 윤지우;김하나;하태준;박서희;이세미;안성일;주진우;김거유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는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물을 그릭 요거트에 당으로 0.5%, 1% 비율로 첨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측정법을 통해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능이 증가하였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더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그릭 요거트 에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함유된 발효유로서 에탄올 추출법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탐색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 차재영;정재준;김용택;서원석;양현주;김진숙;이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83-690
    • /
    • 2006
  • 함초의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의 채취 시기별 함초의 수용성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건물 중량 100 g당 6월 0.682%, 8월 1.005% 및 10월 0.754%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월 1.015%, 8월 1.158% 및 10월에 0.953%로 8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함초 수용성 추출물의 betaine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0.248%, 0.269% 및 0.204%로 나타났다. 함초 성숙 단계별로 채취한 시료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 함량(mg%)이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glutamic acid (582: 519: 664), proline (552: 471: 322), phenylalanine (480: 431: 424), aspartic acid (322: 297: 330), 및 arginine (282: 321: 483)이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 함량 (mg%)은 6월과 8월에 각각 proline (9.7: 3.4), asparagine (6.7: 1.4), hydroxyproline (6.4: 2.8), valine (3.9: 2.5) 및 arginine (1.7: 3.0) 이었다. 그러나 10월에 채취된 함초의 유리 아미노산은 유일하게 amonium chloride 0.27 mg%와 1-methyl-L-histidine 0.18 mg%만 함유되어 있었다. 채취 시기별 함초의 미네랄 성분 함량 (mg%)은 전체적으로 Na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K, Mg, Ca, P 순이었다. 채취 시기별로 미네랄 함량이 각각 Na (5695: 7536: 5529), K (1640: 963: 931), Mg (359: 428: 348), Ca (221: 234: 251) 및 P (207: 189: 259)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6월에 K, 8월에 Na와 Mg, 10월에 Ca과 P가 각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EDA) 측정에서는 0.05% BHT> 8월> 6월> 10월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은 채취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및 베타인의 생리활성 성분은 8월에 채취한 함초에서 가장 높았다.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in Pepper (Capsicum annuum L.) Breeding Lines)

  • 정미리;황영;김혜영;조명철;황인국;유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2-6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 및 활성 평가를 함으로써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apsaicinoid의 함량은 0.1에서 204.2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279.1에서 1695.5 mg/100 g으로 넓은 분포 범위를 보였다. Polyphenol 함량은 2.6에서 10.2 mg/g 수준으로, flavonoid 함량은 1.4에서 5.7 mg/g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육성계통 고추 breeding line No. 2500은 다른 계통에 비해 가장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및 환원력이 다른 육성계통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암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01이 암세포 증식 저해율 84.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32가 75.2%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우수 품종 개량을 위한 성분 및 활성 database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