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yphenol contents

검색결과 1,144건 처리시간 0.029초

Study on functional improvement of peanut sprouts by LEDs

  • Shin, So-Hee;Choi, So-Ra;Song, Eun-Ju;Song, Young-Eun;Choi, Min-Kyung;Han, Hyun-Ah;Lee, Ki-Kwon;Lee, In-Sok;Chung, Nam-J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7-277
    • /
    • 2017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mino acid and resveratrol content of peanut sprouts (cotyledon, epicotyl, leaf, hypocotyl, root), in different light (white, blue, red, F-red, UV-A, UV-B, UV-C) conditions for 24 hours. Peanut seeds were sown on a $27.5{\times}15.9{\times}13cm$ tray and grown at the $25^{\circ}C$ under the dark condition for 14 days.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epicotyl and leaf were about 288mg GAE/100g in blue ligh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of cotyledon and hypocotyl were 1.3~1.5 times (63%) and 2 times (40%) compared to control (43%, 19%), respectively. As to ABTS activity, its activity was increased by all LEDs treatment, Especially, the highest ABTS activity of the hypocotyl and leaf was shown as 99.1% in blue light.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hypocotyl and leaf was increased 1.9 times in the UV-B, 1.6 times in red, and 1.5 times in F-red, respectively. The non-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increased by all LEDs treatment in hypocotyl and leaf. The content of resveratrol was increased by 1.3 times in UV-B compared to that of other tissues. Assessing inclusiv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between increase of physiological substance activity and LED light treatment, resulting in stably producing peanut sprouts. Therefore, a material treated with LEDs is thought to be useful as a functional food resources.

  • PDF

열처리와 추출방법에 따른 몇 가지 약초의 항산화 활성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Extraction Method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Medicinal Plants)

  • 장귀영;김현영;이상훈;강유리;황인국;우관식;강태수;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14-920
    • /
    • 2012
  • 추출방법에 따른 몇 가지 약초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총 5가지 약초(우슬, 목통, 두충, 시호, 향부자)에 대해 비가열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및 열처리 초음파추출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환류추출과 열처리 초음파 추출이 비가열 초음파추출보다 높았으며, 두충과 향부자를 제외한 세 시료가 열처리 초음파추출이 환류추출보다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향부자를 제외한 네 시료가 열처리 초음파추출과 환류추출이 비가열 초음파추출보다 더 많았으며, 우슬과 목통을 제외한 세 시료에서 환류추출이 열처리 초음파추출보다 더 많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환류추출과 열처리 초음파추출이 비가열 초음파추출보다 작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우슬과 목통을 제외한 세 시료는 환류추출에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우슬이 가열처리 시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네 시료는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가 작았다.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약초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추출방법과 전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추출물을 얻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청각추출물의 항산화 및 일산화질소 합성 저해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from Codium fragile)

  • 김유정;정일선;최인순;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88-793
    • /
    • 2006
  • 청각은 녹조류로서 김치의 부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청각 추출물이 젖산균의 생육 및 cellu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청각추출물이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김치의 중기이후 젖산 생성에 중요한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5의 생육을 2배정도 촉진하였으며 과숙 김치의 경도유지에 중요한 cellulase의 활성을 약 60% 정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청각추출물의 항산화력은 DPPH 방법이나 SOD 유사활성등에서 비슷한 항산화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ethyl acetate 층에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청각에 존재한 phenolic compound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청각추출물의 항염증효과는 RAW264.7 세포에서 조사되었는데 특히 치주질환균에서 유도된 LPS를 처리하여 유도된 NO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서 높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iNOS 활성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Fre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B) Extracts)

  • 최한석;여수환;정석태;최지호;박효숙;김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3-1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옻의 식품사용을 위해서 urushiol의 제거된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생옻은 물추출에서 3.4mg%의 urushiol이 용출되는 반면 발효옻에서는 용출되지 않았다. 발효옻의 물추출조건은 고형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고려되었으며, $100^{\circ}C$에서 6-8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발효옻 추출물의 pilot scale 생산에서 추출수율은 5.7%이었다. 추출물은 수분 4.34%, 조지방 1.69%, 조단백질 10.21%, 조회분 15.80%의 일반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3종류의 phenolic acid와 4종류의 flavonoid가 검출되었다. Phenolic acid중에서는 gallic acid(1,090.5 mg%)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flavonoid중에서는 fisetin(135.7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옻 추출물에 존재하는 유리당은 mannitol 3.48%, glycerol 0.19%, glucose 0.19%이었으며, 3,034 ppm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Alanine(244 ppm), serine(231 ppm), leucine(218 ppm)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 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31.9%이었고 ${\gamma}$-aminobutyric acid 함량은 122 ppm이었다.

약용식물 첨가 발효홍삼 추출물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Fermented Red Ginseng Added with Medicinal Herb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 김현정;이성규;박성진;유미희;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67-372
    • /
    • 2012
  • 5종의 약용식물을 첨가한 발효홍삼(FRGM)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in vitro에서 검토하였고, 또한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서 FRGM 추출물의 효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FRGM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22.41{\pm}3.51{\mu}g/mg$, $16.80{\pm}4.22{\mu}g/mg$으로 존재하였고, DPPH 소거 활성을 가지고($RC_{50}=95.57{\pm}7.40{\mu}g/mL$), 또한 높은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STZ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 내 ALT와 AST의 활성이 FRGM 추출물의 투여로 감소하였으며, 간 조직중의 글루타치온 함량은 STZ 투여군에서는 감소되었다가 FRGM 투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STZ 투여시 증가되었다가 FRGM 추출물의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간 조직중의 SOD, CAT, GP 그리고 GR의 활성도 STZ 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가, FRGM 추출물의 투여로 이들 항산화효소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압처리에 의한 발아팥의 기능성 향상 효과 (Effect of Enhancement on Functionality of Germinated Adzuki Bean (Angularis angularis var. nipponensis)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Treatment)

  • 김민영;장귀영;이윤정;김경미;강태수;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5-142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germination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treatment conditions on the conversion of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dzuki bean. The adzuki bean germinated at $25^{\circ}C$ for three- or six-days, and was later subjected to HHP at 0.1, 50, 100, or 150 MPa for 24 h.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5.36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g) and flavonoid content (0.91 mg catechin equivalents (CE)/g) were observed after germination for six days and HHP treatment at 100 MPa for 24 h,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pressure from 88.86 to $208.26{\mu}g/g$ (100MPa, 24h). Phenolic acid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that exhibit increased content upon HHP treatment, and those that exhibit decreased content. The increasing phenolic acids were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 heperidin, salicylic acid, protocatechuic acid, cinnamic acid, naringenin.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pressure from 22.42 mg/100 g to 6.28 mg/100 g (150 MPa, 24 h).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8.02 mg eq AA/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22 eq Trolox/g) were observed after germination for six days and HHP treatment at 100MPa for 24h,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HHP and germination can lead to improved functionality in adzuki bean.

연잎 첨가가 제빵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tus leaf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ead)

  • 박나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6-273
    • /
    • 2017
  • 기능성 제빵 소재로써 연잎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잎 분말을 1, 2 및 3%를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제빵 특성 및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잎 분말의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0.68, 3.40 및 22.31%로 나타났으며, 연잎 분말 95% 에탄올 추출물 1%(w/v)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270.85{\mu}g/mL$였으며, 0.1%(w/v)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0.1%를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과 식빵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부패 팽창도는 LLP-1과 대조구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굽기 손실률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식빵의 무게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식빵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도 높았다.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08-40.13%와 $615.01-885.13{\mu}g/mL$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9.26% 및 $472.20{\mu}g/mL$)에 비해 높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가 3.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LLP-1(3.56)으로 나타났으나,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식빵의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연잎 분말은 1%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최대 2%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박피 유무에 따른 전처리 백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 효과 (Antioxidant Capacities and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of Dried Lotus Root by Different Pretreatment)

  • 김진숙;황동주;강은정;김경미;최송이;김기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7-671
    • /
    • 2015
  • 본 연구는 혈관벽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위벽보호, 해독작용, 치매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연근의 가공 식품 소재로써 활용 편의성을 높이고자 전처리 단계 중 인력에너지 소모가 많은 부분인 박피공정 처리 여부에 따른 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을 조사하였다. 연근의 박피여부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피하지 않은 연근의 경우, DPPH 전자공여능은 85.07%, SOD 유사활성은 20.84% 그리고 ACE 저해활성은 53.4%로 박피한 연근보다 높았다. 통상적으로 연근은 조리용 또는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할 때 껍질의 떫은 맛, 색깔 등과 같은 이유로 박피 과정을 가지게 되는데, 본 실험결과, 박피로 인해 연근이 가지는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이 특성에 따라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근 사용 시 당연하게 수반되었던 박피 전처리 공정의 생략 여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근의 껍질에도 항산화에 도움이 되는 유용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연근의 과육과 껍질의 성분 분석,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분석을 통해 연근의 껍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연근의 일반적인 박피 이외 다양한 전처리 과정을 통한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면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

사철쑥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 최소라;유동현;김종엽;박춘봉;류정;김대향;은종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2-117
    • /
    • 2008
  • 사철쑥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총 페놀과 프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종실>줄기 순으로 낮아졌다. 6월 30일 잎에는 78.8 mg/g DW의 페놀과 78.2 mg/g DW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었다. DDPH에 의한 radical소거능이 50%로 감소되는 시료 농도인 $RC_{50}$이 6월 30일 잎에서 $5.42\;{\mu}g$으로 낮게 나타나 항산화성이 가장 높았다. 이 때 BHA, BHT와 ${\alpha}-tocopherol$$RC_{50}$은 각각 $3.09\;{\mu}g,\;24.30\;{\mu}g\;and\;2.87\;{\mu}g$이었다. 또한 종실에서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Vibrio vulnificus, Pseudomonas aeruginosa,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7종에 대해 항균성이 나타난 반면 잎과 줄기에서는 항균성이 거의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의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vulnificus,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향균성은 8월 30일에 높았으며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성은 7월 30일에 높았다.

천년초의 성분특성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stems and fruit)

  • 신동선;한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16
  •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성분특성을 알아보고자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함량 및 유리당 함량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줄기의 경우 조회분이 10.85%, 조단백질이 8.3%, 조지방이 1.91%이었으며 열매는 조회분이 7.47%, 단백질이 2.62%와 조지방이 1.82%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K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열매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Ca, Mg, Na 및 P의 함량은 열매 보다 줄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아미노산은 줄기의 경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이었고 열매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추출 용매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75% 메탄올, 물 순으로 나타났지만 그 함량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01). 항산화 활성으로 DPPH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능력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 활성능력을 보였다. 용매별 $RC_{50}$ 값은 $956.30{\sim}1,267.60{\mu}g/mL$로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BHA는 각각 $10.50{\mu}g/mL$, $35.05{\mu}g/mL$의 소거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천년초의 줄기와 열매의 영양성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가공제품 개발이 식품소재로서 유익한 이용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