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 content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34초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tive Compounds Separated from Water Soluble Extracts of Korean Black Pine Barks

  • Shen, Chang-Zhe;Jun, Hong-Young;Choi, Sung-Ho;Kim, Young-Man;Jung, Eun-Joo;Oh, Gi-Su;Joo, Sung-Jin;Kim, Sung-Hyun;Kim, Il-Kw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2호
    • /
    • pp.3567-3572
    • /
    • 2010
  • Black pine barks from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ere extracted using pressurized hot water and the water soluble extracts were then separated in a stepwise fashion using a variety of solvents, column chromatography (C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fraction and the active compound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eductive potential of ferric ion, and total phenol contents. A DPPH test showed that the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value : $6.59{\pm}0.31\;{\mu}g/mL$)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ca. 0.67%)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ontrol compounds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alue of the total phenol contents. The cell viability of the water extracts was confirmed by 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with enzyme linked immune sorbent assay (ELISA).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and ferulic acid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as active compounds and identifi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antioxidant activity as value of DPPH of each of the separated compounds was lower tha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ferulic acid was the lowest among these compounds.

한외여과가 참깨박 농축단백질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filtration on the Component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s)

  • 전정례;박정륭;김진;윤시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71
    • /
    • 1995
  • Defatted sesame flour is the by-products obtained after oil extracting process. Although this flour has high quality and quantity of protein its use is limited only for animal feed and fertilization. Sesame seeds contain antinutrients such as oxalate, phytate and phenol compounds and these compounds lower their nutritive value. recently, ultrafiltration(UF) has been used to concentrate protein from various food sourc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UF with different membrane pore size on the component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s including antinutrients and to compare with that of conventional acid-precipitated sesame protein isolate. The protein content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s prepared by JF using 10K, 30K, 100K were 84.2%, 82.7%, 76.4% and the protein yields were 36.44%, 34.69, 31.43% and the protein contents was 88.7% Alkali extraction process at pH 9.0 followed by UF technique reduced oxalate and phytate content. There were 85% and 94% reduction of oxalate and phytate content by UF with membrane pore size of 100K daltons,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ent of total phenol compounds was not reduced by this method. About 99% of calcium and 50% of zinc were removed by UF with membrane of 100K daltons.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s prepared by UF were decreased slightly when compared with acid-precipitated sesame protein concentrate.

  • PDF

모링가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파이토케미컬 함량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the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inga oleifera)

  • 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48-253
    • /
    • 2020
  •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자생하는 모링가가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재배가 되고 있으면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나라에서 식품 및 기능성제품으로 사용이 되면서 국내로 수입되는 모링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모링가의 부위별(잎, 가지 및 종자) 항산화 능력과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과 가지에서 높았으며,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무기물 함량 역시 잎과 가지에서 풍부하였으며 특히 칼륨 이온이 가장 많았다. 또한 7종의 페놀산과 4종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검출이 되었으며 페놀산에서는 페룰릭산이, 플라보노이드에서는 쿼세틴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모링가 재배농가의 비교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나리과 산채의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 노광석;양미옥;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2
    • /
    • 2002
  • 미나리과 산채인 참나물, 신선초, 방풍의 조단백은 22.99~31.00%, 조지방은 3.51~5.08%였으며, $\beta$-carotene은 5.40~19.81 mg%, ascorbic acid는 미량 함유하였고, Selenium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617.87~875.77 mg%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방풍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참나물, 신선초, 방풍의 지방산 조성은 전 지방산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66.46~77.44%를 차지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나물, 신선초, 방풍 모두에서 메탄을 가용성 획분이 수용성 획분에 비하여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pH 1.2〉 4.2〉6.0 순으로 소거능이 높았다. 방풍의 메탄을 가용성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pH 1.2에서 95.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참나물, 신선초 순이었다. 총 페놀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해당화 줄기 및 뿌리의 주성분 분리 및 항산화활성 (Isolation of main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the stem and root of Rosa rugosa)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2-407
    • /
    • 2008
  • 1. 해당화의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줄기추출물이 평균 7.8(g/100g, D.W.)이고 뿌리추출물이 평균 10.5(g/100g, D.W.)이며, 모든 시료에서 뿌리추출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K-1의 줄기와 뿌리 추출물(0.5g)에서 주성분의 하나로 추정되는 S-4(84.1mg)과 R-2(70.0mg)의 화합물을 단리했고, 그 구조를 catechin으로 결정했다. 3. UPLC 분석에 의해 줄기추출물의 탄닌함량은 평균 752.5(mg/100g, D. W.)로, gallic acid 6.3, epicatechin 61.5, catechin 684.8이고, 뿌리추출물의 탄닌함량은 줄기의 약 2배 이상 높은 1676.0(mg/100g, D.W.)으로 gallic acid 6.8, epicatechin 160.3, catechin 1508.5로 나타났다. 4. 해당화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에서 추출물의 IC50는 뿌리가 $13.7{\mu}g/ml$, 줄기가 $14.5{\mu}g/ml$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고, SOD 유사활성은 $50{\mu}g/ml$의 농도에서 뿌리추출물이 평균 75.1%, 줄기추출물이 71.9%로써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전남지역 고로쇠나무 수액의 성분분석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ap of Acer mono MAX in Cheonnam region.)

  • 현규환;정현채;김준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5-220
    • /
    • 1999
  • 전남지방의 고로쇠나무 수액에 대해 sucrose, 무기물, phenol화합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ucrose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2∼3%정도였다. 채취방법은 사구법이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2. ToTal phenol화합물 역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0.034∼0.151 mg/100ml의 수준이었고, 가장 다량 함유된 phenol화합물은 phloroglucinol이었으며, 역시 사구법에서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3.무기물의 경우 역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사구법에서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음료 농축액 및 퓨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 김단비;신기해;조주현;백순옥;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997-10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30으로 가장 높았고 새싹유채 퓨레가 1.70으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182.71 mg GAE/mL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양파추출 농축액이 8.80 mg GAE/mL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69.8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는 블루베리 농축액에서 $27,514{\mu}M$ 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도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28.19%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천연물 유래 농축액 및 퓨레는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축액 및 퓨레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음료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Red Yeast Rice and white rice)

  • 최현숙;남혜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42-1455
    • /
    • 2018
  • 본 논문은 홍국의 첨가량을 2%, 4%, 6%, 8%, 10% 첨가한 머핀을 만들어 일반성분, 색도, pH, 중량 및 굽기 손실률, 부피 및 비용적, 상부 단면 직경 및 높이, 기계적 조직감,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페놀 함량, Monacolin-K 함량, 관능적 특성 등을 실험하였다. 색의 명도 값과 황색도 값은 대조군이 첨가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고, 적색도 값은 첨가군 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홍국 머핀에서 pH는 홍국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낮아지는 pH값을 나타냈고, 굽기 손실률에서는 홍국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조금씩 낮아지는 값을 나타냈다. 기계적 조직감은 홍국 첨가량에 따라 경도는 10%에서 부드럽게 나왔고, 부착력, 응집성, 점성 (Gumminess), 씹힘성에서는 2%의 값이 높게, 탄력성은 8%에서 높게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홍국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높아지는 값을 나타내었고, 총 페놀(Total phenol content)함량은 홍국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onacolin-K 함량은 홍국 첨가량이 가장 많은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는 맛, 감촉, 전반적인 기호도가 4%에서 좋게 평가되었고, 향미와 색에서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홍국 첨가가 제과 제빵 재료로 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암, 혈압강하, cholesterol 억제 등에 영향을 미치기에 4% 홍국 첨가군이 일반머핀보다 관능적으로 좋게 평가되었기에 기능성을 가진 머핀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 지역에 따른 적색양파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 of Red Onion (Allium cepa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 문진성;김희대;하인종;이선영;이종태;이상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21-927
    • /
    • 2010
  • 육종효율 증진 및 소비확대를 위해 적색양파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S&P5294가 가장 높은 당 함량 및 감미도를 나타냈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당 함량 및 감미도가 높았으며, pyruvic acid는 레드프라임=S&P5295> S&P5294=S&P7273>S&P5296=S&P7276>레드썬=썬파워 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선발조합 대부분이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서는 함량이 높고 레드썬에 비해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Rutin은 모든 품종에서 가장 높은 함량(136.9-$169.9{\mu}g{\cdot}g^{-1}$ F.W.)을 보였으며, quecetin과 myricetin의 함량은 각각 62.5-135.7, 11.2-$16.1{\mu}g{\cdot}g^{-1}$ 보였고 kaempf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Quercetin과 rutin은 레드썬에서, myricetin은 S&P5296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rutin, quercetin 및 myricetin의 함량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함평지역이 가장 높은 반면 ruin, myricetin 및 quercetin의 함량은 창녕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안토시아닌의 경우는 레드썬에 비해서는 다소 함량이 낮으나 레드프라임에 비해서는 선발조합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 용매 별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저해 및 질소산화물 소거능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Peel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Extracted by Various Solvents)

  • 진동혁;오다영;정헌식;이영근;성종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4-253
    • /
    • 2017
  • 치자 껍질의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및 distilled water (DW)의 용매 별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 및 질소 산화물 소거능, 환원력, ${\beta}$-carotene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및 지질과 산화 저해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anthocyanin 함량은 $3.519{\pm}0.635mg/100g\;DW$로 나타났으며, 용매 별 추출 수율은 DW (39.87%), 70% methanol (36.26%), EA (2.88%)로 관찰되었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trolox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치자 껍질의 total phenol 함량은 EA, 70% methanol, DW 추출물 순으로 EA 추출물에서 $26.59{\pm}0.20CAE$ (caffeic acid equivalents)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Nitric oxide (NO) radical 소거능에서는 70% methanol (70.32~76.15%), DW (52.66~59.31%), EA (34.65~46.98%)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methanol (34.57~39.33%), DW (32.53~38.47%), EA (27.59~32.62%) 순으로 관찰되었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DW (41.55~50.97%), 70% methanol (23.37~44.80%), EA (13.37~25.24%) 순으로 동정되었다. Reducing power (optical density)는 70% methanol (0.044~0.127), DW (0.033~0.099), EA (0.026~0.097) 순으로 확인되었다.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껍질 추출물 중 70% methanol (56.51~76.21%), EA (54.59~63.34%), DW (47.92~61.11%) 순으로 관찰되었다(p<0.05). 이에, 치자 껍질은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