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ginsenoside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6초

가공방법에 따른 몇가지 백삼 제품의 사포닌 및 유리당 조성 변화 (Composition of Saponin and Free Sugar of Some White Ginsengs with Processing Conditions)

  • 이부용;김은정;박동준;홍석인;전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22-927
    • /
    • 1996
  • 수삼으로 제조된 백삼 제품들의 가공방법의 차이에 따른 성분 변화에 대한 조사로서 원료삼인 수삼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백삼, 태극삼 A, 새로운 방법으로 제조된 태극삼 B의 일반성분, 추출수율, 사포닌 함량 및 조성, 유리당 조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4가지 시료의 조단백질은 13.34-15.33%, 조지방은 1.04-2.05%, 조회분은 3.13-5.25%, 총 식이섬유는 9.72-15.46%, 당질은 64.75-73.48% 범위의 함량이었다. 추출수율은 열수 추출이 80% 메탄올 추출보다 전체적으로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가공하지 않은 수삼의 열수 추출 수율이 56.4%로 가장 높았다. 사포닌 함량은 열수 추출시 수삼의 총 사포닌이 2.40%로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태극삼 A는 태극삼 B보다 비율로 볼 때 약 20% 이상 적은 1.45%의 총 사포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 조성은 열수 추출시 $ginsenoside-Rg_1$이 수삼은 36.52%이지만 태극삼 A와 B는 68.66, 67.89%고 약 2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Rb_1$은 태극삼 A차 B에 18.41, 17.43%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태극삼 A와 태극삼 B의 총 사포닌 양에는 큰 차이가 있었지만 ginsenosides의 조성비에 있어서는 서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메탄올 추출의 경우에도 가공방법이 다르게 제조된 백삼 제품별로 ginsenoside조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삼과 백삼에서는 열수 추출과 80% 메탄올 추출 모두에서 함량비는 다를지라도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만이 함유되어 있었지만 열 처리된 태극삼 A와 B에는 rhamnose도 각각 2.56, 4.01%씩 함유되어 있었다.

  • PDF

고려인삼의 마이크로파 처리 효과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 이재학;금준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5-410
    • /
    • 2010
  • 인삼의 저장 가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단독처리로 수삼을 처리한 후 일반 성분, 색도, 밀도, 사포닌의 조성 및 미세구조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100 Watt와 200 Watt에서 각각 1시간과 3시간 동안 수삼을 처리하고 $60^{\circ}C$ 열풍건조기에서 96시간 건조한 후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삼의 초기 수분 함량인 76.26%에서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조건에 따라 13.12~10.77%까지 건조되었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회분 함량은 처리 과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마이크로파 출력과는 상관없이 처리 시간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 후 건조하기 전 수삼의 단백질 함량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함을 보이고 있으나, 처리 시간이나 출력과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는다. 처리군의 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더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인삼의 색도의 변화는 출력보다 가열 처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수삼의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열 시간이나 출력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사포닌 ginsenoside-$Rb_1$$Rb_2+Rb_3$, Rc, Rd, Re, Rf, $Rg_1$, $Rg_2+Rh_1$, $Rg_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보다 2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의 함량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예외적으로 200 Watt에서 가열했을 때, ginsenoside-$Rb_2+Rb_3$와 ginsenoside-Rc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미세구조는 마이크로파 건조 후 더 치밀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배수약간불량 논토양에서 품종 및 해가림 피복물 종류가 2년생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ety and Shading Material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2-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n in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 이성우;연병열;김충국;신유수;현동윤;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34-438
    • /
    • 2008
  • To selection of optimal shading material, two-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of new cultivar, 'Cheonpoong' (CP), and native species 'Hwangsookjong' (HS) were cultured under three kinds of shading materials such as three-layered blue and a one-layered black PE (polyethylene) net (TBSB), blue PE sheet (BS), and aluminium coated PE sheet (AS) in imperfectly drained paddy soil.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were investigated under three shading materials.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were distinctly affected by intensity and quality of sunlight penetrated through shading materials. Light transmission ratio, air and soil temperature according to shading materials were higher in order of BS, AS, and TBSB. However, ratio of aerial phase and porosity of the soil were higher in order of AS, BS, and TBSB,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atio of rusty colored root by shading materials. CP showed higher stem length, leaf area, and root weight than that of HS, while the former showed distinctly lower discolored leaf ratio than that the other. Eight kinds of ginsenosides content of CP were higher than that of HS in $Rg_1$, Re, Rf, $Rb_1$ and Rc except $Rg_2$, $Rb_2$, and $Rb_3$.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CP was distinctly higher than that of HS. Total ginsenoside contents as affected by shading materials was higher in order of BS, TBSB, and AS in CP, while TBSB, BS, and AS in HS.

비닐하우스와 관행재배 인삼의 생육특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with Greenhouse and Traditional Shade Facility)

  • 이성우;김금숙;현동윤;김용범;김장욱;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7-161
    • /
    • 2011
  •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3-year-old ginseng in greenhouse shaded by $30^{\circ}$ sloped-curtain made of aluminum were compared to traditional shade facility in order to develop cultural practice for organic ginseng. Light transmittance ratio in greenhouse with $30^{\circ}$ sloped-curtain shade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shade from sunrise to 9 a.m., while its ratio in greenhouse was higher than traditional shade since 9 a.m. due to the reflection of light. Air temperature of greenhouse was $1.3^{\circ}C$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shade on the first ten days of August due to more reflected light. Root yield of greenhouse was 44%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ultivation because of the inflow of reflected light and the decrease of disease of Alternaria and Anthracnose by blocking rainfall.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of rhizome and lateral root were increased in ginseng cultivated at greenhouse due to longer survival time in leaf than traditional cultivation. Total ginsenoside contents cultivated at greenhouse was decreased in the part of taproot, while it was increased in the part of lateral and fine root compare to traditional cultivation. Individual ginsenoside contents between greenhouse and traditional cul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ore frequent in fine root than taproot and lateral root. Total ginsenoside contents including $Rb_1$, $Rb_2$, Rc, Rd, Re, Rf, $Rg_1$, and $Rg_2$ in whole root of 3-year-old ginseng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eenhouse and traditional cultivation.

BALB/c 마우스에서 발효 홍삼 Ginsenoside의 생체이용율과 항염효과 (Bioavailabil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in BALB/c Mouse)

  • 이은규;배주현;김유진;박수동;심재중;유영법;이정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3-4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발효홍삼과 발효하지 않은 홍삼을 BALB/c mouse에 경구투여한 후 혈청을 채취하여 주요 진세노사이드 생체이용율을 LC-MS/MS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의 항염효과를 IL-1𝛽, TNF 정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홍삼을 발효하였을 때, Rd를 포함한 전체적인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우스에게 투여하였을 총 진세노사이드 TG 의 혈액 검출량 AUC 또한 발효홍삼을 섭취하였을 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max값 또한 동일하게 발효홍삼을 섭취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염증지표를 확인 하였을때 유도군과 비교하여 IL-1𝛽, TNF의 감소효과는 확인하였으나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probiotics가 발효홍삼의 ginsenoside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는 probiotics를 이용한 천연물 발효제제의 적용 확장과 그 산업적 활용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팽화처리가 인삼Extract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 심건섭;이성갑
    • 기술사
    • /
    • 제33권1호
    • /
    • pp.106-115
    • /
    • 2000
  • The effect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were investigated in the good products for rejecting soil flavor as Ginseng foreign bad taste,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actual manufacturing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Puffing treated<15kg / ㎠psi> ginseng has produced a marked increase in soluble solid, crude saponin yield to the extent of 10% and without soil taste as compared with control Ginseng. Optimum Ginseng ethanol extraction condition were 90$\^{C}$ for 8 hours, which was cheap operating cost and color, apperance, total solid yield of Ginseng extracted products. For 70% ethanol extraction in temperature range of 60∼90$\^{C}$ for 8 hours, the higher temperature resulted higher yields in solids and Ginsenoside Especially, GinsenosideRgl as most effective physiological function component yield was increased in 18% by puffed Ginseng than control Cinseng products.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of Ginseng extract were 31.09, 21.9 and 49.5 and increase brown and red color value and total Δ Evalue.

  • PDF

Effect of Hot Water Boiling and Autoclav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 Kim, Kyung-Tack;Yoo, Kyung-M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40-47
    • /
    • 2009
  • This study evaluates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bioactivitie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processed by boiling in water, $75^{\circ}C$ for 10, 20, 30, and 40 min, and autoclaving at high temperatures, $115^{\circ}C$ for 30 and 60 min and $130^{\circ}C$ for 90 and 120 min.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boiled ginseng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whereas the contents of autoclaved ginseng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oth time and temperature. Compared to unheated ginseng (control), the color of both boiled and autoclaved ginseng decreased in lightness and increased in redness. The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oiled and autoclaved ginseng were higher than the untreated ginseng, with the highest values being exhibited by the autoclaved samples. In particular, the antioxidant capacity of unheated ginseng increased about 2.5 times ($285.7{\pm}14.03\;mg$/100g to $777.2{\pm}26.4\;mg$/100g) when ginseng was autoclaved at $130^{\circ}C$ for 120 min as compared to the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as American ginseng was processed at a high temperature, especially steam-heated in an autoclave, its chemical constituents changed and, in particular, acidic polysaccharides,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considerably increased.

국내산 백삼과 태극삼의 크기 및 연근별 인삼사포닌 함량 (Ginsenoside Contents of Korean White Ginseng and Taegeuk Ginseng with Various Sizes and Cultivation Years)

  • 황진봉;하재호;허우덕;남궁배;이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8-512
    • /
    • 2005
  • 고려인삼의 수출확대를 위해서 백삼 및 태극삼의 사포닌(saponin) 함량에 대한 중국 고려인삼 수입의약품 둥록기준 설정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조사하였다. 백삼 50구의 크기에 따른 초특대편, 특대편, 대편, 중편 및 소편의 ginsenoside-Rg1, -Re 및 -Rb1의 평균 함량은 각각 664.7, 796.9, 674.7, 839.0 및 646.6 mg%이었으며, Rg1/Re의 비율은 각각 1.0, 1.2, 0.8, 1.0 및 1.0의 분포였다. 태극삼 13구의 ginsenoside-Rg1, -Re및 -Rb1의 평균 함량은 755.1 mg%, Rg1/Re의 비율은 1.28이었다. 그리고 백삼 50구의 Rg1 평균값은 $232.7{\pm}110.2 mg%$, Re평균값은 $235.3{\pm}101.5 mg%$, Rb1 평균값은 $280.1{\pm}121.3 mg%$으로 이들의 합은 $748.2{\pm}299.4 mg%$이었으며, Rg1/Re의 비율은 1.02이었다. 또한 태극삼 13구의 사포닌 성분의 분석결과, Rg1 평균값은 $262.1{\pm}127.2 mg%$, Re 평균값은 $213.1{\pm}55.7 mg%$, Rb1 평균값은 $279.9{\pm}92.1 mg%$으로 이들의 합은 $755.1{\pm}233.6 mg%$이었다. 백삼과 태극삼의 사포닌 조성 및 함량은 중국수입의약품 등록기준인 ginsenoside-Rg1, -Re 및 -Rb1 값의 합이 0.4% 이상이라는 기준규격에 적합하였고, HPLC-ELSD로 분석시 인삼의 분석방법별 기준인 ginsenoside -Rg1과 -Re의 함량비($Rg1/Re{\Leq}3.87$)에 부합되었다.

유기농 인삼과 관행 인삼의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s)

  • 모황성;임진수;유진;박기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09-522
    • /
    • 2015
  • 유기농 인삼 재배는 소비자들의 안정적인 농산물의 요구에 따라 급증한다. 반면에 유기농과 관행 인삼재배의 토양 무기성분 및 인삼의 진세노사이드함량 차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해 관행인삼과 유기농인삼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질산태 질소, 가용성인산, 치환성 칼륨함량은 유기농재배와 관행재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비록 유의성 있게 차이는 없었지만 총 진세노사이드함량 뿐만 아니라 대부분 개별 진세노사이드는 관행재배 인삼보다 유기농재배 인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유기농 인삼은 관행인삼에 비해 PT계열의 사포닌 보다 PD계열의 사포닌 함량이 더 높았다. 질산태 질소는 Ginsenoside $Rb_2$, Rd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유효인산함량은 $Rb_1$, Rc, PD/PT비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Ginsenosdie 성분들을 증가시키려면 질산태 질소과 인삼함량을 줄이고 유기물함량을 높여야 한다.

산양산삼약침의 추출법 별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dex Compounds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by Extraction Methods)

  • 이대연;최병선;이인희;김재현;권필승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3-322
    • /
    • 2018
  • Objectives: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is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method for efficiently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an efficient extraction method, wild ginseng was extracted by the distillation and 70% ethanol reflux methods, respectively. In comparing each extract, the index compounds were analyzed,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Methods: The index compounds, ginsenoside Rg1 and ginsenoside Rb1, were detec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DPPH (${\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were measured to compare their bioactivities. Since saponin is known to be hemolytic, the hemolytic activity of each extract was compared. Results: The index compounds were analyzed. Nothing was detected in the wild ginseng distilled extracts (WGDE). In the wild ginseng 70% ethanol reflux extracts (WGEE), ginsenoside Rg1 was 3.66 mg/g, and ginsenoside Rb1 was 16.70 mg/g. WGEE showed higher levels than WGDE in all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hemolytic test, the extracts showed almost no toxicity, but WGEE showed lower toxicity than WGDE.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WGEE is more advantageous than WGDE in the detection of index compounds and bioactivity. However, additional studies of additional extraction methods and other bioactivity test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