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l count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초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의 특성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 정현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3-648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빵의 관능적 평가는 sourdough가 첨가된 빵인 경우 다소 신맛을 나타내었고 식감과 조직감은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sourdough 100% 첨가한 빵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저장성에서 sourdough 첨가 식빵은 6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3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한 대조구에 비해 보존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에 있어서도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Sourdough 첨가시 빵의 노화속도는 sourdough가 30, 50 및 100%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각각 13, 20 및 36%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첨가가 김치의 숙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arlic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 조현경;박소희;정청송;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70-477
    • /
    • 2001
  • 마늘이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cyclodextrin과 sorbitol의 마늘냄새 masking 효과를 실험하였다. 김치 숙성 초기의 산도는 마늘 첨가량이 많을수록 대조구 비해서 높았고 환원당 함량은 마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숙성말기에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미생물수의 경우 숙성초기에는 마늘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었으나 이후에 그 수준을 유지한 후에는 대조구에 비해서 오히려 억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온도에 관계없이 마늘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모든 관능적인 면에서 유의적으로 나쁘게 평가되었으며 마늘을 $2{\sim}3%$ 첨가한 김치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Cyclodextrin 또는 sorbitol을 1%씩 첨가한 결과 마늘맛을 masking하는데는 효과가 없었고 관능적으로도 나쁘게 평가되었다.

  • PDF

Effect of Fermented Spinach as Sources of Pre-Converted Nitrite on Color Development of Cured Pork Loin

  • Kim, Tae-Kyung;Kim, Young-Boong;Jeon, Ki-Hong;Park, Jong-Dae;Sung, Jung-Min;Choi, Hyun-Wook;Hwang, Ko-Eun;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5-113
    • /
    • 2017
  • The effect of fermented spinach extracts on color development in cured meat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H values of raw cured meats without addition of fermented spinach extract or nitrite (negative control) were higher (p<0.05) than those added with fermented spinach extract. The pH values of raw and cooked cured meats in treatment group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levels of fermented spinach extract.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raw cured meats formulated with fermented spinach extract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The redness values of cooked cured mea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ed spinach extract levels, whereas the yellowness values of cooked cured meat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spinach extract. The lowest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were observ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with addition of nitrite. TBARS values of cured meats added with fermented spinach extrac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spinach extract and VBN values of curing meat with 30% fermented spinach extract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Total viable bacterial counts in cured meats added with fermented spinach extract ranged from 0.34-1.01 Log CFU/g. E. coli and coliform bacteria were not observed in any of the cured meats treated with fermented spinach extracts or nitrite. Residual nitrite contents in treatment group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fermented spinach extract adde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fermented spinach could be added to meat products to improve own curing characteristics.

산양유를 섭취한 성인 여성의 분변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탄수화물 발효특성 (Carbohydrate Fermentation Character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solated from Feces of the Adult Women supplied with Goat Milk)

  • 최석호;임영순;함준상;정석근;이승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03-110
    • /
    • 2015
  • 산양유을 섭취한 성인의 분변 내 bifidobacteria의 증식 효과 및 분변에서 분리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당 발효 능력을 조사하였다. 1.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bifidobacteria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8주에서 95% 신뢰한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13 균주의 16S rRNA 염기서 열로 동정한 결과,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구는 B. adolescentis, B. longum, B. pseudocatenulatum, B. dentium, L. sakei 순으로 분리되었다. 대조군의 12 균주는 B. adolescentis, B. longum, L. ruminis, L. sakei, B. pseudocatenulatum 순으로 분리되었다. 3. 산양유 올리고당과 lactulose는 모든 bifidobacteria 및 lactobacilli 균주가 발효하였다. Fructooligosaccaride는 B. adolescentis 7 균주 모두 발효하였다. 조사한 B. pseudocatenulatum 4 균주, L. sakei 3 균주, B. longum 7 균주 중에서 각각 3, 2, 1 균주가 fructooligosaccharide를 발효하였다.

  • PDF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Strawberry, Tomato, and plum during Storage

  • Lee, Se-Hee;Lee, Myung-Suk;Lee, Yong-Woo;Sun, Nam-Kyu;Song, Kyung-Bi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87-187
    • /
    • 2003
  • To examine the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strawberry, tomato, and plum quality, the rate of weight loss, Hunter a value, decay rate, anthocyanin contents, and microbial (total bacterial counts, mold and yeast, and pseudomonas) changes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Strawberry was packaged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Tomato and plum were packaged with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HDPE). Strawberries, tomatoes, and plums were then stored at 4$^{\circ}C$ and 20$^{\circ}C$, respectively. LDPE package was the most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decay rate of strawberry and the rate of weight loss for packaged strawberry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packaged. HDPE package was the most effective on the rate of weight loss during storage of tomatoes and plums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Hunter a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Anthocyanin contents of plums increased overall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nd plums stored without package were changed more than those with package. Microbial changes of strawberry, tomato, and plum stored at 4$^{\circ}C$ and 20$^{\circ}C$ were monitored during storage. Packaging method did not affect the microbial change, yet temperature did affect the microbial chang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orage of these commodities at 4$^{\circ}C$ should be recommended in terms ,of microbial safety as well as quality and shelf-life.

  • PDF

백김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Anti-Helicobacter pylori 활성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Yogurt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from Baikkimchi)

  • 임성미;김덕술;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4-344
    • /
    • 2014
  • 백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제조된 요구르트를 냉장 보관하는 동안 미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 및 Helicobacter pylori ATCC 43504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요구르트의 유산균수, 적정산도, 점도 및 총 고형물 함량은 사용된 균주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발효 직후부터 7일간 저장하는 동안 유의할만한 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Lactobacillus brevis BK11과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 발효시킨 요구르트는 인공 위액과 담즙액에 대해 다른 균주들 보다 강한 저항성을 보였다. 한편, 이들 유산균으로 제조한 요구르트 내에 존재하는 유산 생성량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므로 H. pylori와 혼합 배양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L. brevis BK11에 의해 발효시킨 요구르트에 의해선 AGS 세포에 대한 H. pylori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었고, 이들이 생산하는 urease의 활성을 낮추는데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양념으로 숙성하여 함기포장한 돼지고기의 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of Qualities in Aerobic Packed Ripening Pork Using a Korea Traditional Seasoning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허선진;류현지;박기훈;배대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73-82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ork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Biceps femoris were cut to cube(7 ${\times}$ 12 ${\times}$ 2 em) and three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such as soybean paste(Tl), garlic paste(T2), red pepper paste(T3), were seasoned by the proportions of meat to each seasonings(l: 1), respectively. The seasoned samples were fermented at 0 $\pm$ 1 $^{\circ}C$ for 10 days. Sensory evalua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all treatments. The highest pH among treatments were shown in T2, wheres T3 showed the lowest value. The highest saccarinity was shown in T2, followed by T3. Salinity was shown to be higher in all treatments. Shear force value was the highest in T2 and T3. VBN and TBARS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total bacterial counts was highest of storage 21 days. E. coli. was higher in the order of T2 > T3 > TI. Lactobacilli spp. was higher in the order of T2 > T1 > T3.

소금의 안전성 분석과 김치제조를 통한 품질 평가 (Safety and Quality Assessment of Kimchi Made Using Various Salts)

  • 장민선;조순덕;배동호;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4
    • /
    • 2010
  • 국내산 정제염과 천일염 그리고 수입산 정제염과 천일염 등 6가지 소금에 대하여 안전성을 분석하고,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며 품질을 평가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6가지의 소금에서 DEHP가 검출되었고, 특히 국내산 천일염과 중국산 천일염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페로시안화이온과 중금속(Cd, Pb, As, Hg)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사분의 경우는 모든 소금에서 미량 함유되어 있어 식염으로서 안전하였다. 동일한 6가지 소금에 대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pH는 감소하였고, 산도와 염도는 발효되면서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젖산균 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저장 21일째부터 소폭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저장 28일째에는 수입산염보다 국내산염에서 신내가 강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국내산염이 수입산염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나 처리구간 근소한 차이를 보일 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즉, 본 연구에 사용한 소금은 식염으로서 모두 안전하였으며,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이화학적 평가, 젖산균 수 분석 및 관능평가에서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찹쌀풀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발효 중 대사산물 및 전분 구조 변화 (Understanding the targeted metabolit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starch in Kimchi according to glutinous rice paste content during fermentation)

  • 정두연;이주헌;정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14-5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찹쌀풀 첨가량에 따른 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라 김치의 품질 특성, 당과 관련된 대사산물, 전분 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찹쌀풀 함량이 높을수록 김치의 발효과정이 가속화하여 pH의 감소와 총균수의 증가 속도가 빠른 경향을 보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김치의 적숙기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풀의 전분을 빠르게 가수분해하여 많은 양의 전분 유래대사산물인 glucose, maltose, mannitol을 생성하였으며, 반대로 fructose와 sorbitol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김치발효 중 찹쌀풀 함량이 높을수록 아밀로펙틴 긴 사슬은 감소한 반면 짧은 사슬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김치 제조 시 첨가되는 찹쌀풀의 함량에 따라 전분 구조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에 따른 대사산물과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ntibacterial effect of solanum nigrum extract on candida albicans)

  • 최유리;강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까마중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까마중을 70퍼센트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존률을 OD값으로 측정하였고,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 각 $8.23{\pm}0.13mg/g$$14.97{\pm}1.58mg/g$로 나타났다. CFU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CFU 값이 낮게 나타났다. 균의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더 낮은 균활성도 값을 보여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까마중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까마중 추출물은 칸디다균뿐만 아니라 치과분야에서 천연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