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수도권 지역에서의 고해상도 지형과 지면피복자료에 따른 수치모의 민감도 실험 (Sensitivity Test of the Numerical Simulation with High Resolution Topography and Landuse over Seoul Metropolitan and Surrounding Areas)

  • 박성화;지준범;이채연
    • 대기
    • /
    • 제25권2호
    • /
    • pp.309-32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high resolution topographies and landuses data on simulated meteorological variables (wind speed at 10 m, temperature at 2 m and relative humidity at 2 m) in WRF. We compare the results with WRF simulation using each resolution of the topographies and landuses, and with 37 AWS observation data o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s. According to results of using high-resolution topography, WRF model gives better topographical expression over domain. And we can separate more detail (Low intensity residential, high intensity residential, industrial or commercial) using high resolution landuses data. The result shows that simulated temperature and wind speed are generally higher than AWS observation data. However, simulation trend with temperature,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are similar to observation data. The reason for that is that the high precipitation event occurred in CASE 1 and 2. Temperature have correlation of 0.43~0.47 and standard deviation of $2.12{\sim}2.28^{\circ}C$ in CASE 1, while correlation of more than 0.8 and standard deviation of $3.05{\sim}3.18m\;s^{-1}$ in CASE 2. In case of wind speed, correlation have lower than 0.5 and Standard Deviation of $1.88{\sim}2.34m\;s^{-1}$ in CASE 1 and 2. In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using highest resolution (U01) results are more close to the AWS observation dat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opographies and landuses are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model simulation. However, the tendency to always use high resolution topographies and landuses data appears to be unjustified, and optimal solution depends on the combination of scale effect and mechanisms of dynamic models.

축 대칭 지형에서의 처오름 높이 (Run-up Height around Axis-symmetric Topographies)

  • 정태화;류용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39-5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심이 해안선에서 0이 되며 임의로 변하는 축 대칭 지형의 주변을 통과하는 파를 해석하기 위하여 타원형 완경사 방정식을 이용한 수치모델을 개발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해 전체 영역을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는데, 안쪽 및 바깥쪽 영역에서는 기존 해석해를 활용하였으며, 가운데 영역에서는 지배방정식에서 유한요소기법을 적용하였다. 영역 1에서의 해석해는 변수분리법 및 Frobenius 급수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수치해는 기존에 존재하는 해석해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다양한 경우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2차원 경계요소법을 이용한 Bragg반사 해석 (Analysis of Bragg Reflection using Two-Dimensional Boundary Element Method)

  • 김영택;조용식;이정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805-81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경계요소법을 이용하여 수심이 변하는 지형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랑의 회절을 수치해석하였다. 먼저, 트렌치지형을 통과하는 파랑의 반사율과 통과율을 계산하였으며 고유함수전개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본 모형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경계요소법을 정현파형 지형에 적용하여 반사율 및 Bragg 반사를 연구하였다. 수치해석에 의한 반사율은 수리모형실험에 의한 관측결과 및 고유함수전개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자료와 잘 일치하였다.

  • PDF

복합정현파형 지형에서의 파랑 반사 (Wave Reflection over Doubly-Sinusoidally Varying Topographies)

  • 김영택;조용식;이정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9-19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경계요소법을 이용한 파랑의 통과와 반사에 대하여 다루었다. 특히 파랑이 복합졍현파형 지형을 통과하는 경우 그 때의 반사율과 일종의 공명현상인 Bragg 반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해석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고유함수전개법에 의한 트렌치 지형에서의 통과율과 반사율 값과 비교하였으며, 복합정현파형 지형에 적용하여 기존의 수리실험, 고유함수전개법 및 확장형완경사방정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형별 밭작물 재배지 토양화학성에 따른 시비 개선 (Improvement in Upland Soil Management on Different Topographies and Crops)

  • 김찬용;서영진;권태영;박준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7-152
    • /
    • 2010
  • 밭토양 환경 개선의 기초자료로 주요작물별, 경사 및 지형별로 토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63개지점의 대표토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지역 밭토양의 화학성분 평균분석치는 토양 pH는 5.9, 유기물은 23.2 g $kg^{-1}$, 유효인산은 549 mg $kg^{-1}$, 치환성 칼리, 칼슘 및 고토는 각각 0.9, 5.6 및 2.3 $cmol_c\;kg^{-1}$로서, 전국평균값에 비하여 토양 pH와 치환성 양이온은 높았고, 유기물과 유효인산의 함량은 낮았다. 2. 작물별 화학성분의 분석치를 비교한 결과, 토양 pH는 고추재배지에서, 유기물은 참깨재배지에서 적정범위 보다 낮았고, 치환성 양이온은 참깨재배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적정범위 이상 수준이었다. 3. 고추, 참깨, 콩재배지의 성분별 분포비율은 유효인산, 칼리성분은 과다분포비율을 보였다. 4. 토양 경사에 따른 토양화학성은 경사도가 낮아짐에 따라 대부분 양분함량이 높았고, 작물생육에 적정수준 범위 이상이었고, 7~30% slope에서 pH는 5.2~5.9로 적정범위에서 미달되었다. 5. 경북지역의 밭토양에 대한 지형별 토양화학성은 토양 pH의 경우 곡간지, 산록경사지 및 홍적대지에서 6.0~6.1로 적정범위였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리의 경우 선상지에서 가장 높았고, 하성평탄지에서 대부분 성분이 낮았으나, 특히 홍적대지와 구릉지는 유효인산함량이 낮았다. 6. 작물별 지형에 따른 토양화학성분은 고추재배 지형별로는 뚜렷한 경향치가 없었으나,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적은 콩과 참깨의 경우 고추와는 달리 시비에 의한 양분함량의 특성 보다는 지형에 의한 특성이 크게 나타났다. 고추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감비가 이루어져야 하며, 콩과 참깨의 경우 지형에 따른 시비량을 결정하고 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동해 무릉계곡의 지형관광자원 분석과 평가 (Topographic Tourism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Analysis and Valuation)

  • 권동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77
    • /
    • 2013
  • 본 연구는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동해시 무릉계곡의 지형경관자원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콘텐츠와 탐방코스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과정에서 총 29개의 지형경관이 관찰되었고, 이들은 크게 풍화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 구조지형 등 4개 단위로 구분 가능하다. 가장 비중이 높은 지형은 하천지형(13개)과 풍화지형(12개)이다. 현재 관광자원으로 이용되는 경관은 19개(14개 사이트, 19개 지형경관)이며 10개는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발굴할 가치가 있는 지형경관이다. 발굴 가치가 있는 10개의 새로운 지형경관은 각각 (1)잠룡바위, (2)장기판바위, (3)누룽지바위, (4)담장바위, (5)계단바위, (6)흔들바위, (7)접시바위, (8)돌우물, (9)조각바위, (10)두부바위 등의 명칭을 붙일 수 있다. 지형 탐방코스는 접근도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3개의 코스 설정이 가능하다. 제1코스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본코스이며, 제2, 3코스는 시간적 여유가 있고 보다 활동적인 탐방객들이 이용할 수 있다.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있어서 지형(地形)과 식생회복(植生回復) (On the Topographies and Recovery of Vegetation in the Hillside Erosion Control Districts)

  • 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2-46
    • /
    • 1984
  •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지형(地形), 지질(地質), 강수상황(降水狀況), 공법(工法) 등 여러 요인(要因)의 복합작용(複合作用)에 의하여 좌우(左右)되나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는 지형(地形)을 제외(除外)한 타요인(他要因)은 그 조건(條件)이 같으므로 제외하고 지형(地形)과 식생피도(植生被度)의 관계(關係)를 조사하여 산복공사공법(山腹事工工法) 개선(改善)의 자료(資料)를 얻고자 조사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면별(斜面別) 평균피도(平均被度)는 하강사면(下降斜面)(80%), 평형사면(平衡斜面)(78.7%), 복합사면(複合斜面)(64.0%), 상승사면(上昇斜面)(56.5%)의 순위(順位)로 낮아지며, 4 사면(斜面)의 평균피도(平均被度)는 69.8%로 사면형(斜面形)은 피도형성(被度形成)에 영향을 준다. 2) 평균피도형성(平均被度形成)에는 토양함수율(土壤含率水), 평균경사(平均傾斜)가 영향을 준다. 3)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목본종피도(木本種被度)(14.8%)는 초본종(草本種)(55.0%)에 비하여 피도(被度)가 매우 낮다. 4) 독라지(禿裸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 방법(方法)은 인공식재(人工植栽) 혹은 파종(播種)으로 하여야 하고 특히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자연식생종(自然植生種)에 의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어렵다.

  • PDF

Applied 2D equivalent linear program to analyze seismic ground motion: Real case study and parametric investigations

  • Soltani, Navid;Bagheripour, Mohammad Hossei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22
  • Seismic ground response evaluation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These analyses are subsequently divided into one-, two- and three-dimensional methods, and each of which can perform in time or frequency domain. In this study, a novel approach is proposed to assess the seismic site response using two-dimensional transfer functions in frequency domain analysis. Using the proposed formulation, a program is written in MATLAB environment and then promoted utilizing the equivalent linear approach. The accuracy of the written program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obtained results with those of actual recorded data in the Gilroy region during Loma Prieta (1989) and Coyote Lake (1979) earthquakes. In order to precise comparison, acceleration time histories, Fourier amplitude spectra and acceleration response spectra diagrams of calculated and recorded data are presented. The proposed 2D transfer function diagrams are also obtained using mentioned earthquakes which show the amount of amplification or attenuation of the input mo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while passing through the soil layer.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confirm its accuracy and efficiency to evaluate ground motion during earthquakes using two-dimensional model. Then, studies on irregular topographies are carried out, and diagrams of amplification factors are shown.

Review of Karst Research in the Republic of Korea

  • Ryu, Han-Sun;Park, Sangwook;Lee, Jin-Yong;Kim, Heeju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81-489
    • /
    • 2022
  • Various types of karst topographies are found worldwide. Owing to their global distribution, karst area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y scientists who investigate new discoveries by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karst topographies with their own research field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karst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little research exists on their hydrogeology. Fragmenta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limestone areas, the causes of high arsenic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limestone areas. Research on hydroge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flow mechanisms in these areas has only began recently. Identification and the proper management of available groundwater resources in karst (limestone) areas is essential as their unique geological characteristics render it difficult to construct reservoirs or dams at appropriate scales. We have reviewed prior work on karsts in the Republic of Korea to provide information that supports water resource security in the karst are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quitable use of water resources, and to identify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groundwater resource resilience improvement.

축 대칭 지형 위를 전파하는 장파의 해석해 (Analytical Solution for Long Waves on Axis-Symmetric Topographies)

  • 정태화;이창훈;조용식;이진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B호
    • /
    • pp.413-4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바닥의 수심이 반경의 임의 차수의 제곱 꼴로 표현되는 다양한 형태의 축 대칭 지형 위를 통과하는 장파의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첫 번째 지형은 둔덕 위에 원기둥 모양의 섬이 있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원형의 섬이 있는 경우이다. 해를 구하기 위하여 변수 분리법, Taylor 급수전개법 및 Frobenius 급수법을 사용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를 기존에 유도된 해석해와 비교를 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 하였다. 또한, 입사파의 주기, 둔덕의 반지름 및 차수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