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al analysis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7초

지형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기시공 단면의 토적계산 (Mass curve Calculation of Constructed Section using GIS)

  • 이양규;배상호;한중근;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39-742
    • /
    • 2007
  • 토적계산의 수량산정을 위한 지형정보시스템은 공사전후의 수치지형도를 토대로 과거와 현재의 지형변화를 예측케하며 지형변화에 대한 시각적 판단으로 도모한다. 본 사례연구는 경제성, 기술뿐 아니라 자연적 요인을 고려한 종합적 검토를 수행하여 개발 계획 및 개발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정하고, 이를 위해 시공 전의 지형적 형상과 시공 후의 현황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하학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토적계산을 산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Urban Change Analysis using the 1:50,000 Topographical Map which is Produced at 1910's)

  • 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93-103
    • /
    • 2007
  • 일제가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수탈할 목적으로 조선총독부를 통하여 1914년에서 1918년까지 5년간 제작한 축척 1:50,000의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는 근대적인 토목공사에 의한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인 구한말 한반도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1910년대의 경관을 담고 있는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이미지에 좌표를 부여한 후, GIS 환경에서 오늘날의 지도와 중첩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대적인 토목공사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개발이 어려웠던 구릉지역과 잦은 침수로 인하여 방치되고 있던 하천부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경쟁력을 상실한 농경지 등이 오늘날에는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었다.

  • PDF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 - 지형(地形) 및 지질특성(地質特性)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29-134
    • /
    • 2005
  •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 1.5 ha에서의 발생특성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한 것으로써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의 모암은 섬록암이며, 상부사면 및 주변은 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너덜(Talus)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산사태는 2004년 4월 19일에 발생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전 3일 동안의 연속강우량은 74 mm이었으나, 강우가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역 땅밀림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깊게 형성된 붕적토층과 풍화토층 등 지질 지형적인 특성과 사면하단부 절취라 판단된다. 이 지역의 산사태 유형은 지하수에 의한 요(凹)지형 붕적토 땅밀림형 산사태에 해당한다.

소나무 공간분포의 지형학적 분석 (Topographical Analysi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 김태민;이우균;손요환;유성진;김소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64-7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과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소나무 공간분포와 경사, 방위, 고도 등의 지형학적 인자간의 연관성을 분석 하였다. 다양한 격자크기에서 방위에 따른 소나무의 공간분포 분석결과, 100 m 격자크기가 소나무의 공간분포 특성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 m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는 고도 400~800 m, 경사 $15^{\circ}{\sim}30^{\circ}$, TWI 0~2에서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방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의 계급별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 차이는 고도가 400 m 이하 일 때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분포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리지형적 조건에 따른 강수량 추세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Trends According to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385-3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나 지리지형적 특성에 따른 강수량의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을 포함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지역에 대해서 GIS 분석을 이용하여 지리지형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도시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지피복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는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4월과 10월의 강수량은 감소추세에 있고, 1월과 7월의 경우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영향을 고려할 때, 강수량 변화는 연별이나 7월의 경우 증가추세를 보이나 1, 4, 10월 강수량의 경우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한 도시화율이나 해안 근접성과 비교하여 연구지역의 평균고도는 연평균 및 월평균 강수량 추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지형탐색을 통한 지역특화 미래기술전망 (Overview of Region-oriented Technologies through R&D Topographical Landscape)

  • 한혁;이준영;강종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625-163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지난 정부에서 추진된 제 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정책('08-'12)의 일환으로 추진된 지역 연구활동에 있어서 기초분야 연구 성과물을 대상으로 16개 지역별로 연구 활동도 및 수준, 연구 생산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각 지역별 연구 생산성의 비교는 연구 인프라(대학, 연구인력 등)의 비편재 요소를 고려하여 비교대상의 객관성을 고려하였다. 특히, 경남지역에서 산출된 대상기간 동안의 모든 기초분야 논문을 모집단으로하여 연구개발 지형도를 구현하고, 기 발표된 해당지역 미래전략산업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미래전략산업과 연구지형에서 파악된 지역 역량이 집중된 기초분야와의 연계매트릭스를 통해 현재의 내재된 기초역량과 대응되는 미래기술 및 산업을 조망하였다.

금오도-안도 협수로 해역의 조류 및 조석잔차류 특성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nd tidal induced residual current in the channel between Geumo Island and An Island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추효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3호
    • /
    • pp.214-227
    • /
    • 2021
  • The distribution of tidal current and tidal induced residual current, topographical eddies and tidal residual circulation in the waters surrounding the Geumo Island-An Island channel were identified through numerical model experiments and vorticity balance analysis. Tidal current flows southwest at flood and northeast at ebb along the channel. The maximum flow velocity was about 100-150 cm/s in neap and spring tide. During the flood current in the neap tide, clockwise small eddies were formed in the waters west of Sobu Island and southwest of Daebu Island, and a more grown eddy was formed in the southern waters of Geumo Island in the spring tide. A small eddy that existed in the western waters of Chosam Island during the ebb in neap tide appeared to be a more grown topographical eddy in the northeastern waters of Chosam Island in spring tide. Tidal ellipses were generally reciprocating and were almost straight in the channel. These topographical eddies are made of vorticity caused by coastal friction when tidal flow passes through the channel. They gradually grow in size as they are transported and accumul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When the current becomes stronger, the topographic eddies move, settle, spread to the outer sea and grow as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tidal residual circulation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terrain. In the waters surrounding the channel, there were counterclockwise small tidal residual circulations in the central part of the channel, clockwise from the northeast end of the channel to northwest inner bay of An Island, an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between Daebu Island and An Island. The circulation flow rate was up to 20-30 cm/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xperimental study to understand the growth process of the tidal residual circulation in more detail due to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seawater around the channel.

연결부분 및 교각의 배열과 일반교량의 내진성능 (Arrangement of Connections and Piers and Earthquake Resistant Capacity of Typical Bridges)

  • 국승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07-212
    • /
    • 2015
  • 사회기반시설물인 교량은 인적/물적 자원의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지장물을 극복하도록 설계/시공되는 구조물이다. 그러므로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배열되는 교각의 형상과 규모는 지형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교각의 형상과 규모는 지진하중의 전달경로를 결정하는 연결부분 배열과 함께 연결부분과 교각에 발생하는 작용력을 좌우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강재받침과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연결부분과 교각으로 하는 일반교량을 대상으로 교각 및 강재받침 배열이 다른 해석모델을 설정하여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 구한 교각기둥과 강재받침의 강도/작용력 비로부터 각 해석모델의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고 연결부분 및 교각 배열이 일반교량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성파괴메카니즘 구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등고선지도를 이용한 수로 및 산사태 위험 분석 -천안의 성거산을 중심으로- (A risk analysis of water courses and landslide using contour maps -Focusing on Mt. Seonggo in Cheonan City-)

  • 김세근;김동근;맹승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289-296
    • /
    • 2012
  • 우리나라는 지형적,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매년 여름 산사태의 가능성이 크며, 최근 난개발로 인해 이의 발생과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다. 천안지역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산사태의 위험요인이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천안 성거산 주변을 중심으로 등고선 지도를 이용하여 지형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호우 시 수로와 유역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성거산 주변 지역은 수로의 길이와 호우 유입량 관점에서 산사태에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일부 국소지역은 계속적 관찰이 필요하다. 한편 등고선 지도는 다른 수치지도 보다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므로 1차적 산사태 위험도 분석에 적합하다.

도로 설계를 위한 지형정보 해석에 있어서 SQL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SQL in Terrain Information Analysis for Route Design)

  • 강준묵;윤희천;이형석;이성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42
    • /
    • 1995
  • 도로의 기본설계가 평면 지형도상에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끼고 있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GSIS를 이용한 지형정보처리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면서 3차원 수치지형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도로설계방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설계를 위한 지형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SQL을 응용하므로써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근거의 자료제시와 입체적인 지형정보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축척 1:5,000의 연구대상지역의 지형도를 3차원 기본토로 생성하고 등고선도, 토지이용도, 도로망도 및 수계도 등의 다양한 주세도의 지형 정보를 획득하였다. 완성된 지형도의 도형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정보를 연결해 지형 정보를 구축하고, 노선계획을 함에 있어서 SQL을 응용하였다. 또한 도로설계를 위해 예비노선에 대한 종 횡단면도와 토공량 등의 설계자료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산출하였고, 설계 후 도로형상과 자연경관을 DTM으로 구성하여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므로 도로설계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