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산사태 발생지 예측을 위한 Topographic Position Index의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Topographic Position Index for Prediction of the Landslide Occurrence)

  • 우충식;이창우;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10 know the rel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with using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 in the Pyungchang County. Total 659 landslide scars were detected from aerial photographs. To analyze TPI, 100m SN (Small-Neighborhood) TPI map, 500m LN (Large-Neighborhood) TPI map, and slope map were generated from the DEM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which are made from 1 : 5,000 digital topographic map. 10 classes clustered by regular condition after overlapping each TPI maps and slope map.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make landform classification map. Because it is only to classify landform, 7 classes were finally regrouped by the slope angle inform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detected from aerial photography analysis. The accuracy of reclassified map is about 46%.

TPI와 경사도 조합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Using TPI-Slope Combination)

  • 이한나;김기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7-514
    • /
    • 2018
  •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와 경사도를 조합하여 새로운 산사태 인자인 TSI (TPI-Slope Index)를 제안하고 산사태 예측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분석 반경의 TPI를 서로 비교하여 TPI350이 연구 대상 지역에 가장 적합함을 알아내었고, 이를 경사도와 조합하여 TSI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TSI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 산사태 예측 모형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 후, 기타 지형 정보들과 토양 및 임상 정보를 추가하여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는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DEM (Digital Elevation Model), 토양도, 임상도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산사태 관련 인자들을 수집하고 이들을 검토하여 다른 인자와 상관도가 높거나 산사태와의 연관성이 낮은 인자들은 우선 제외하였다. 그 결과, TSI, 고도, 사면 길이, 경사향, 유효 토심, 영급, 나무 밀도, 임상 등 8개의 인자가 선정되어 회귀분석에 독립변수로 입력되었다. 변수의 입력 방법(전진 선택법, 후진 제거법, 직접 선택법)에 따라 3가지 모형을 생성하였고, 이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세 모형에서 선택된 변수는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유효 토심, 나무 밀도, TSI 인자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활용한 산지습지 분포예측 (A Prediction of Forest Wetlands Distribution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

  • 박경훈;김경태;곽행구;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4-204
    • /
    • 2007
  • 본 연구는 울주군과 경상남도 일대를 대상으로 산지습지 가능지역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방법론을 제시하고, 예측된 분포가능지와 기존 습지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지습지 분포예측은 DEM에서 추출된 TPI 그리드, 그리고 그 값을 통해 분류된 대상지의 사면 위치와 지형유형에 의해서 수행되어졌다. TPI 방법에 의해 산지습지 분포가능지를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평탄지 경사기준이 $5^{\circ}$ 이하인 경우의 분포가능지는 전체면적의 0.1%($1.38km^2$), 그리고 경사도 $20^{\circ}$ 이하인 경우는 3.5%($37.1km^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산지습지 분포가능지와 대상지 내의 기존 산지습지를 비교하여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평탄지 경사기준이 $10^{\circ}$ 이하인 경우의 적합성이 0.066으로 가장 높았고, 평탄지 경사기준 $20^{\circ}$ 이하에서 예측된 지역의 적합성이 0.01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ING PREDICTIVE METHOD FOR FOREST SITE DISTRIBUTION USING SATELLITE IMAGERY AND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

  • Kim, Dong-Young;Jo, Myung-He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81-284
    • /
    • 2008
  •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GIS an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on the national land and scientific management are dissemin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for an efficient analysis of forest site, it presents distinguishing of satellite image and methodology of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 The prediction of forest site distribution through this research, specified Gyeongju-si area, gives an effect to distinguishing honor system through Quickbird image with the resolution 0.6m. Furthermore it was carried out through TPI grid that is abstracted by DEM, slope of study area and type of topography, as well as it put its operation 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relativity between the result of prediction on forest site distribution and the field survey report. It distinguishes distribution of country rock that importantly effects to producing of soil, using 1: 5000 forest maps and grasping distribution type of soil using satellite image and TPI, it is supposed to provide a foundation of the result on prediction of forest site. With the GIS techniques of analysis, inclination of discussion, altitude, etc, an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TPI, it is considered to be capable to provide more exact basis information of forest resources, management of forest management both in rational and efficient.

  • PDF

지형위치지수(TPI)모형을 이용한 상대표고 분석 (Analysis of Relative Elevation in Korea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Model)

  • 이종수;이우균;전성우;강병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2-295
    • /
    • 2007
  • 개발계획이나 환경계획 수립시에 절대적인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지형적 특성을 분석한다면 절대표고가 낮은 지역은 대부분 개발가능지로 구분된다. 따라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대표고를 적용하여야 하나 산의 경계구획,능선설정 등의 어려움으로 아직 전국단위의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Weiss 가 제안한 지형위치지수 ( Topogr aph i c Position Index, TPI) 를 적용하여 전국 단위의 상대표고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PI 모델 도출 결과와 기존 환경부 국토환경성 평가에 사용한 Gaia EZeye 모델 결과를 중첩 비교한 결과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빔음향측심 자료분석에 의한 한국 연안 사퇴의 해역별 지형 특성 (Regional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nd Ridge in Korean Coastal Waters on the Analysis of Multibeam Echo Sounder Data)

  • 백승균;서영교;정자헌;이영윤;이은일;변도성;이화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1호
    • /
    • pp.33-47
    • /
    • 2022
  • 다중빔측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 해역에 발달한 해저 사퇴의 분포를 확인하고, 해역별 지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해양조사원의 황해와 대한해협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DEM 자료를 작성한 후 TPI 기법을 적용하여 사퇴의 경계를 정밀하게 추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 해역에 분포하는 총 200개의 사퇴를 확인하였으며, 그들의 규모(폭, 길이, 둘레, 면적, 높이)와 형태(폭/길이 비율, 높이/폭 비율, 선형·분기형, 노출·비노출형)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사퇴의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안 항해안전은 물론 해양지명 선정 지원, 해사골재자원 파악, 수산자원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산지유역의 지형위치 및 지형분석을 통한 재해 위험도 예측 (Disaster risk predicted by the Topographic Position and Landforms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s)

  • 오채연;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8
    • /
    • 2018
  •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과거의 강우기록을 갱신하는 강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의 경우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좁은 지역에 발생하고 있어 산지재해 발생 또한 증가 하고 있다. 강원도의 경우 지역적 특성상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 또한 얕아 산사태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지유역에 지형분류기법과 산사태 위험성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재해 위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지형분류기법은 지형위치지수를(TPI)를 계산하여 위험 지형을 분류하고 토석류 예측기법중 하나인 SINMAP 방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 발생 가능지역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지형분류기법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63% 이상 완경사지와 급경사지로 분류되었으며 SINMAP 분석에서는 전체 유역 중 약 58%가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각종 개발로 인해 산지재해의 저감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며 재해 위험 구간에 대한 안정성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 오채연;전계원;전병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TPI 응용에 의한 산악지형 분류기법의 적용을 위한 scale factor 선정방법 개발 (An Objective Procedure to Decide the Scale Factors for Applying Land-form Classification Methodology Using TPI)

  • 장광민;송정은;박경;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39-645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악형 산림지대의 지형을 분류하기 위한 방안으로 TPI를 응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특성에 적합한 기초분석단위로 scale factor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ale factor를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산지의 기복 패턴를 반영하기 위한 scale factor를 결정하기 위해 음영기복도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형성장곡선으로부터 기울기변화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기울기변화도 곡선을 이용하여 기복의 변화량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찾고, 그 극대점에서의 grid 크기를 찾아 지형 분류를 위한 scale factor로 결정하였다. scale factor 결정 알고리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형특성이 다른 3곳의 산악지대에 대한 scale factor를 도출하고, 지형분류를 수행하였다. 이 방법에 따른 연구결과 scale factor는 지형기복이 심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TPI를 이용하여 분류한 능선과 계곡의 수가 종단면도를 이용한 방법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scale factor의 크기가 대상지역의 능선 간 평균거리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GIS를 이용한 우면산 토석류 지형인자 분석 (Analysis of Topographical Factors in Woomyun Mountain Debris Flow Using GIS)

  • 이한나;김기홍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809-815
    • /
    • 2020
  • A number of investigations an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regarding the sediment disasters of Mt. Woomyeon that occurred in July 2011. We collected and compared the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general points where debris flows did not occur and the collapse points where the debris flow occurr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pse points in Woomyeon mountain. The collected topographic information is altitude, curvature, slope, aspect and TPI(topographic position index).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re were relatively many collapse points at an altitude of 210m to 250m, and at a slope of 30° to 40°. In addition, the risk of collapse was low in a cell where the curvature was close to 0, and the risk was higher in concave terrain than in convex terrain. In the case of TPI,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points and the collapse points when the analysis radius was larger than 200m, and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the curvature when the analysis radius was smaller than 50m. In the case of debris flows that are affected by artificial structures or facilities,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turbing the topographic analysis results. Therefore, if a research on debris flow is conducted on a mountain area that is heavily exposed to human activities, such as Woomyeon mountain, diversified factors must be considered to account for this imp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