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brushing habit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아동양육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지도원의 구강건강인지 및 지각요인과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조사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recognition factors and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 임선아;송애희;이명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19-1127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of the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ose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from May 15th to May 25th in 2011.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drawn and then a total of 205 papers from the subjects th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 1. Oral health knowledge had $12.16{\pm}1.66$ in a full score of 15 and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were $1.12{\pm}0.36$, $2.80{\pm}0.50$ and $2.14{\pm}0.8$ respectively in a full score of 5.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analysis of cognition-recognition factors showed that singles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married couples (p<0.05) and the social workers unusing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interest than those using them(p<0.01). 3. The mean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3.28{\pm}0.51$, characteristics of detailed specific-area were as follows ; the toothbrushing was $3.77{\pm}0.57$, the use of fluoride was $2.67{\pm}0.98$, periodic dental screening and treatment were $2.98{\pm}1.09$ and eating habits was $4.14{\pm}0.57$. These results generally showed tooth-brushing and eating habits show a little higher figures. 4. Considering the factor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higher oral health interest was, the high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Conclusions : It seems that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learn oral health knowledge, which will lead to much better improvement of oral health for children brought up by them.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

  • 장분자;송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1-206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정도와 행동을 조사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 계획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학교구강보건교육을 실행시 올바른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을 습득시키고 유도하고자 대구시내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한 곳을 편의추출법에 의해 선정한 후 임의로 4학년, 5학년, 6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일괄적으로 배부하고 개별자기기입방식으로 작성하게 하여 532부를 회수하여 미기재한 설문지 42부를 제외한 490부를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의 수준은 오답자에 비해 정답자의 수와 지식수준에 따라 '저, 중, 고' 3개의 집단 중 '고' 집단이 많았으며, 학생들의 구강보건행동으로 하루 칫솔질 횟수는 '2회' 346명(70.6%),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는 '3회 이상' 144명(29.4%), 예방치료 경험유무는 예방치료를 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하지 않은 집단보다 많았다. 그리고 하루 우식성식품섭취 횟수는 '1회' 263명(53.7%)으로 가장 많았다. 2.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4, 5, 6학년 모두 '고'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남녀 모두 '고'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으로서 학년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치과방문 횟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4, 5, 6학년 모두 하루 우식성식품섭취 횟수 '1회'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과 유의한 관련을 나타내는 변수는 남자와 여자 모두 하루 칫솔질 횟수 2회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냈다. 4.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의 관련성으로서 구강보건지식은 하루 칫솔질 횟수,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 횟수, 예방치과 경험유무와는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하루 우식성식품섭취 횟수와는 하루 '1회'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조사대상자들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이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였으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은 크게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구강보건지식수준이 높다고 하여 구강보건행동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실천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18개월 유아 조기 우식의 원인 고찰 (A STUDY ON THE ETIOLOGIC FACTORS OF EARLY CHILDHOOD CARIES IN 18-MONTH OLD INFANTS)

  • 이창한;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4-184
    • /
    • 2005
  • 이번 연구는 18개월 이전에 발생한 우식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일신기독병원에 육아상담과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생후 18개월 유아 234명과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직접면담과 구강검진을 시행하였으며 우식군과 비우식군 유아들에 대해 우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유아의 유아기 우식증 유병율은 27.4%였다. 2. 우식군에서의 맏이의 비율과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경제수준이 더 낮았다. 3. 이 시기의 이유여부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나, 우식군에서 연장된 모유수유 비율이 더 높았고 수유회수가 많았다. 4. 간식습관에서는 우식군에서 초콜렛, 사탕 등의 우식성 간식의 섭취비율이 높았고 과일과 우유의 섭취 비율이 낮았으며 불규칙한 간식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5. 우식군에서 구강위생관리가 시행되는 비율이 더 낮았으며 잇솔질 시작 시기가 더 늦은 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이 시기의 유아기 우식증은 사회, 경제적인 수준과 연장된 모유수유, 불량한 간식의 종류와 습관에 의해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