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brushing guidan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양치교실 운영여부에 따른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칫솔질 지도 상태 (Parents' toothbrushing guidance on the children by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 류혜겸;성미경;나미향;권선화;김성애;진미영;황세현;성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77-584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s' toothbrushing guidance on the children by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790 parents of first,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in Changwon from June 1 to 30, 2013. J elementary school did not have toothbrushing roo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 items), toothbrushing room operation (3 items), and toothbrushing (7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Parents of high school diploma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toothbrushing room (p<0.05) and parents having undergraduate course tended to want the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p<0.05) and children's dental health care (p<0.05). Parents within forties tended to have higher concern for their children's toothbrushing (p<0.05) and toothbrushing room operation (p<0.05). They tried to have much interest in their dental health checkup and toothbrushing frequency. Conclusio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is very importan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toothbrushing guidance by parents will enhance children'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maintain lifelong dental healthcare for the children.

일부 보육교사의 유아 칫솔질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Survey on Children Toothbrushing Teaching Guidance with Child Care Center Teachers)

  • 최용금;김희경;김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9-324
    • /
    • 2011
  •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세치제 사용과 칫솔질 지도 시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보육교사의 칫솔질지도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 여부를 조사한 결과 59.6%가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15.4%가 보육교사 연수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보육교사의 55.1%가 적정 치약 사용량에 대해 교육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8.8%가 적정 치약사용량이 칫솔모 길이의 반 만큼이라고 응답하였다. 3. 칫솔질 지도 행태로 어린이 혼자서 칫솔질 하게 한다가 31.4%로 나타났다. 4. 칫솔질 권장 시기 교육에서 91.7%가 식사 후에만 칫솔질을 하도록 권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칫솔질 권장시기 교육, 칫솔질 지도 행태, 치약삼킴 예방지도 그리고 적정 치약사용량과 같은 칫솔질 지도내용과 인식과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p>0.05),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이 올바른 칫솔질지도를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전문가의 체계적이고, 정확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보건교육사의 구강보건교육 수혜가 개인의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변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칫솔질 지도 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여자고등학생의 구강보건경험과 구강보건교육 인지도 조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senior high schools)

  • 김설희;구인영;허희영;박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3
    • /
    • 2007
  • It is necessary that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not only focused on grade schoolers, but provided for eve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on regular basis in favor of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dental health and the habituation of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So this study took total 288 respondents as sample from Grade 3 of 'C' high school(Suncheon city, Jeonnam)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in oral health education, their awareness of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ir demand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interest of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1. As the result of researching health awareness, 13.9%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n't have good total body health, while 33.3% respondents felt that they didn't have good oral health. That is, more respondents felt that their oral health is not good, rather than total body health is. 2. For daily toothbrushing frequency,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62.6%) brushed their teeth 3 times a day, And for toothbrush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35.5% used manual toothbrushing(up-and-down toothbrushing movement) and 30.0% used semi-automatic toothbrushing(rotation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majority(89.4%) of respondents conducted tongue brushing, but only 10.8% benefited from dental examination on regular basis. 3. 28.1% respondents had experiences in oral health education. Out of them, 69.3% felt moderate satisfaction at the education. Majority(91.2%) of respondents were instructed once in oral health education, and 82.7% respondents were instructed in the oral health via practices(toothbrushing guidance). 77.8% respondents were instructed in the oral health at dental clinics. 4. As the result of surveying demands related to oral health education, 92.3%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regular oral health education, and 82.9%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oral health technicians in school. And 87.8% respondents needed individual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benefit of better oral health.

  • PDF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및 인지도 (Subjectiv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 장경애;성미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9-326
    • /
    • 2009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이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태도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육하고 있는 아동들의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구강보건형태를 변화시키는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확대 시행되어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하고자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건강과 구강건강 스트레스 경험 인지도, 구강보건관리 행태, 구강보건교육 경험,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 등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용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 스트레스 정도는 스트레스가 심하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가 41.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28.0%로 나타났고, 없다라고 한 응답자 중에서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자가 8.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7.7%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2. 구강보건관리 행태에 있어 잇솔질 방법은 상하동작으로 한다는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25.3%,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51.8%이었고, 회전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 35.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 20.8%를 나타났고, 진동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8.0%, 구강보건교용 비경험자는 2.4%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1). 구강위생용품사용 정도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는 90.9%,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92.9%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3. 구강보건교육 경험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37.1%이었고, 교육경로는 보건소에서 69.7%이었으며, 교육방법은 이론지도가 61.6%로 잇솔질방법이 74.7%로 조사되었다. 4.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40.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지는 73.8%이었고(p<.05), 구강 보건교육 시 참석의향은 있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67.7%이었고,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66.1%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 PDF

구취농도와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Oral Malodor and Smoking, Drinking, Oral Health Behavior)

  • 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3-220
    • /
    • 2011
  • 구취발생과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일에서 2007년 3월 30일까지 만 30세 이상부터 59세까지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Oral $Chroma^{(R)}$(CHM-1, ABILIT Corp., Japan)를 이용한 구취농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ydrogen sulfide($H_2S$)는 치면세마를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군이 가끔 하는 군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hydrogen sulfide($H_2S$) 농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치과 방문목적, 음주량, 음주 중 흡연량, 흡연기간, 현재 흡연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Methyl mercaptan($CH_3SH$)은 과거흡연군이 비흡연군과 흡연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5), 20년이상 흡연한 군이 20년 미만 군보다 높았으며(p<0.05), 음주 중 10개비 이상 흡연 군이 10개비 미만 흡연 군 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음주 특성에서는 주 5회 이상 음주 군이 주 1-2회 이하 음주 군들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1), 잠자기 전 잇솔질을 하지 않는 군이 잇솔질을 하는 군보다 농도가 높았으며(p<0.05), 가끔 스켈링을 하는 군이 규칙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methyl mercaptan($CH_3SH$) 농도와 관련도가 높은 요인으로는 치면세마 경험과 음주 중 흡연량으로 나타났다. 3. Dimethyl sulfide($(CH_3)_2S$)는 소주 2병 이상 군이 소주 1/2병 이하 군과 소주 1병 정도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이 결과 구취감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잠자기 전 잇솔질 실천과 규칙적인 치면세마의 필요성은 강조되어야하며, 금연 및 절주에 대한 지도를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 김진희;김현진;김혜진;박지혜;방우리;신혜주;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5-512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제공할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0년 4월 28일부터 2010년 6월 4일까지 9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인식, 지역아동센터내 아동의 구강관리 실태, 아동대상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66.8%는 아동이 잇솔질을 가끔 또는 전혀 안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57.3%는 자주 잇솔질 지도를 가끔 또는 전혀 못한다고 하였고, 잇솔질 지도를 잘 못하는 이유는 센터 내 세면대 부족(27.5%), 업무량이 많아 신경을 못 씀(20.6%), 잇솔질 할 시간이 없음(16.7%) 등의 순이었다. 저녁식사 후(65.2%)와 아침식사 전(51.1%) 잇솔질 하는 율이 가장 많았고, 주로 회전법(48.9%)과 종마법(35.4%)으로 있솔질 하고 있었다. 구강건강행동 실천은 술,담배 절제(4.17)가 가장 높았고 불소용액가글(2.56)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항목의 실천도 평균은 3.27이었고, 87.7%는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의 구강건강행위 실천도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97.2%는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74.2%가 전신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교사는 교육 후 아동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4.53{\pm}0.60$), 아동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천($4.38{\pm}0.69$), 아동 잇솔질 권유($4.32{\pm}0.76$) 의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9.4%는 아동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6.5%는 참여의사가 있다고 하였고,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 학생(32.0%)과 치과의사(28.7%)의 센터 방문에 의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매체는 게임(4.17)과 동영상(4.15)의 형태가 효과적이라 생각하였고, 구강위생관리법(4.52), 치아우식예방법(4.40)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센터내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사회성교육(5.57)이 가장 높았고 구강보건교육(3.34)은 제시된 8개 프로그램 중 최하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구강보건을 위해서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큰 지역아동센터 선생님들을 통한 간접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구강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아동의 구강관리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아동들의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센터 내 시설을 개선 확충해야할 것이다.

부산지역 일부 학교 내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간식섭취 및 칫솔질 행태에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ake of Snack and Brus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Some Schools in Busan: Focusing o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 도윤정;박규정;곽은비;박혜영;김혜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12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nack intake and brus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some schools in Busa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ffects the snack intake and brush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surveyed the entir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wo districts by participating in university-linked oral health education activities run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education office business to examine changes in th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snack intake and toothbrus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rior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whether or not the brushing classroom was operated, and contents related to eating snacks and brushing behaviors. Resul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me schools in Busan, 69.9% of students have experience in oral health education and 30.1% of people have no experience in oral health education. 20.0%, 16.3% were 'normal' and 63.7% were 'helpful'. The brus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was 44.9% in the number of brushings, 44.9% in the number of brushings, 45.7% in 2-3 minutes in the time of brushing, 41.2% in the brushing method by sweeping the brush up and down. In the daily brushing period, 'after breakfast' was the highest at 72.3%, and the parent's brushing instruction was 'to lead' at 65.1%. The amount of sugar in subjective snacks was the highest with 60.6% of sugar content, and the parents had the highest level of 52.2% for parents' snack intake. This result was more significant than the students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umber and time of brushing, the method and timing of brushing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Students who ha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have oral health education, but had a lower tendency to brush after lunch at school and before going to bed. For better oral health,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will be better if the school has more systematic toothbrushing at lunch time and parental guidance at home.

영유아의 치약 및 칫솔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Parent Awareness for Use of dentifrice and Toothbrush among Preschoolers)

  • 이경희;강영희;송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5-441
    • /
    • 2009
  • 소비자들에게 어린이용 칫솔 및 치약 선택 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칫솔 및 치약 사용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영유아를 둔 보호자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어린이의 치약 사용 실태에 대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녀의 잇솔질 실태 및 보호자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 본 결과, 1일 잇솔질 횟수는 2회가 50.6%로 가장 많았고, 1회 잇솔질 소요시간은 2분이 58.1%로 가장 많았으며, 자가 잇솔질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42.5%로 가장 많았고, 자녀의 잇솔질 시 부모의 도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51.5%로 가장 많았으며, 자녀의 잇솔질 시 부보의 도움이 필요한 연령에 대해서는 만 6-7세가 35.6%로 가장 많았다. 2. 자녀의 치약 계량 실태 및 보호자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가 치약 계량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49.4%로 가장 많았고, 부모의 치약계량에 대한 도움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42.2%로 가장 많았으며, 자녀의 잇솔질 시 부모의 치약계량 도움이 필요한 연령에 대해서는 만 5세가 42.2%로 가장 많았다. 3. 자녀의 치약 연하 실태 및 보호자의 인식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잇솔질 시 자녀의 치약 연하 여부는 있는 경우가 61.9%로 가장 많았고, 삼킨 치약의 형태는 유아용 치약이 54.5%로 가장 많았으며, 잇솔질 시 자녀의 치약 연하 행위에 대해서는 안 된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73.7%로 가장 많았다. 자녀가 치약을 삼켜도 된다고 생각한 이유는 어린이 치약이라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해서가 62.5%로 가장 많았고, 자녀가 치약을 삼킨 경우 행한 조치에 대해서는 다음부터 삼키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다가 75.9%로 가장 많았다. 4. 어린이용 칫솔을 사용 실태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현재 어린이용 칫솔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96.7%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용 칫솔에서 성인용 칫솔으로 교체하게 된 계기는 부모님의 판단에 의해서가 54.5%로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용 칫솔에서 성인용 칫솔로 교체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시기는 만 10세 이상이 42.2%로 가장 많았다. 5. 부모의 연령에 따라서 자녀의 잇솔질 시 삼킨 치약의 형태, 자녀의 현재 어린이용 칫솔 사용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스스로 잇솔질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