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luene feed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Recovery of Trichloroethylene Removal Efficiency through Short-term Toluene Feeding in a Biofilter Enriched with Pseudomonas putida F1

  • Jung In-Gyung;Park Ok-Hyun;Woo Hae-Jin;Park Chang-H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34-39
    • /
    • 2005
  • Trichloroethylene (TCE) is an environmental contaminant provoking genetic mutation and damages to liver and central nerve system even at low concentrations. A practical scheme is reported using toluene as a primary substrate to revitalize the biofilter column for an extended period of TCE degradation. The rate of trichloroethylene (TCE) degradation by Pseudomonas putida F1 at $25^{\circ}C$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time, without toluene feeding to a biofilter column ($11\;cm\;I.D.{\times}95\;cm$ height). The rate of decrease was 2.5 times faster at a TCE concentration of $970\;{\mu}g/L$ compared to a TCE concentration of $110\;{\mu}g/L$. The TCE itself was not toxic to the cells, but the metabolic intermediates of the TCE degradation were apparently responsible for the decrease in the TCE degradation rate. A short-term (2 h) supply of toluene ($2,200\;{\mu}g/L$) at an empty bed residence time (EBRT) of 6.4 min recovered the relative column activity by $43\%$ when the TCE removal efficiency at the time of toluene feeding was $58\%$. The recovery of the TC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t higher incoming toluene concentrations and longer toluene supply durations according to the Monod type of kinetic expressions. A longer duration ($1.4{\sim}2.4$ times) of toluene supply increased the recovery of the TCE removal efficiency by $20\%$ for the same toluene load.

VOC 분해 플라즈마-덤프 연소기 특성 (Characteristics of a Plasma-Dump Combustor for VOC Destruction)

  • 김은혁;전영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492-497
    • /
    • 2015
  •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는 주로 도색 공정이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업체나 세탁소 등에서 발생된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탄화수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기 중에 방출되어 희석되므로 그 농도가 낮아 발열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일반 연소기로는 직접 소각처리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저열량 가스인 VOC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플라즈마-덤프 연소기를 제안하였다. 이 연소기는 플라즈마 버너와 덤프 연소기 그리고 3D 매트릭스 버너의 특성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소기는 안정적인 화염형성과 VOC 분해에 필요한 충분한 분해온도와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플라즈마-덤프 연소기의 성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모사 VOC를 톨루엔으로 하여 VOC 공급량과 농도 그리고 VOC 인젝터 위치 등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VOC 인젝터 위치를 바깥쪽으로 하여 톨루엔의 농도가 3,000 ppm인 VOC를 450 L/min 공급한 경우 VOC 분해효율이 89.64%이고 에너지 효율은 1.227 kg/kWh으로 기존의 연소기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저농도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염소화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광촉매 분해 (Photocatalytic Destruction of Chlorinated and Aromatic Hydrocarbons for Low-Level Indoor Air Cleaning)

  • 조완근;권기동;최상준;송동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9호
    • /
    • pp.767-777
    • /
    • 2004
  • This study evaluate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iO_2$ photocatalysis for the removal of volatile hydrocarbons(VHC) at low ppb concentrations commonly associated with non-occupational indoor air quality issues.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evaluate five parameters (relative humidity (RH), hydraulic diameter (HD), feeding type (FT) of VHC, photocatalytic oxidation (PCO) reactor material (RM), and inlet port size (IPS) of PCO reactor) for the PCO destruction efficiencies of the selected target VHC. None of the target VHC presented significant dependence on the RH, which are inconsistent with a certain previous study that reported that under conditions of low humidity and a ppm toluene inlet level, there was a drop in the PCO efficiency with decreasing humidity.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four parameters (HD, RM, FT and IP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VHC removal efficiencies for the application of $TiO_2$ photocatalytic technology for cleansing non-occupational indoor air. The PCO destruction of VHC at concentrations associated with non-occupational indoor air quality issues can be up to nearly 100%. The amount of CO generated during PCO were a negligible addition to the indoor CO levels. These abilities can make the PCO reactor an important tool in the effort to improve non-occupational indoor air quality.

곰팡이 쓴 옥수수를 사용할때 Ammonia 처리와 BHT, CTC, Probiotics의 첨가가 육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moniation or Supplementation of BHT, CTC, and Probiotics to Moldy Cor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남궁환;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1-226
    • /
    • 1986
  • 분쇄옥수수에 수분을 조정(20%)하여 3$0^{\circ}C$에서 20일간 배양했을 때 발생한 곰팡이 수의 변화와 aflatoxin의 발생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곰팡이가 발생한 옥수수(moldy corn)를 7% 함유한 사료에 각종약품을 첨가시 broiler 병아리의 성장과 각종 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iler 36수를 공시하여 대조구로 Fresh corn구, Moldy corn 구와 Ammonia 처리(1.5%) moldy corn구, Moldy corn+BHT(butylated hydroxy toluene, 0.1%) 구, Moldy corn+CTC(chlortetracycline, 100ppm)구, Moldy corn+Probiotics(시판-P제판, 0.2%)구로 나누어 처리당 6수를 2수씩 3반복으로 하여 battery에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옥수수의 곰팡이 수는 수분을 첨가하지 않은 옥수수에서 11$\times$$10^4$/g, Moldy corn에서는 42$\times$$10^{7}$ g이 검출되었으며 TLC에 의한 검사에서 aflatoxin(B$_1$, B$_2$, G$_1$, G$_2$)은 검출되지 않았다. 4주간의 사양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 각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증체량에 있어 Ammonia처리구와 Probiotics 및 CTC 첨가구가 Moldy corn 구에 비하여 4-7%의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Probiotics 및 CTC 첨가구가 Moldy corn구보다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신장, 취장, 비장의 무게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의 건물함량은 Ammoniated moldy corn구와 Moldy corn+BHT구가 Moldy corn 이외의 타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낮았으며 간의 단백질함량은 Moldy corn구와 Moldy corn+CTC구가 Mold corn+BHT구 이외의 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간의 조지방함량은 각 처리구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Moldy corn구가 타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 PDF

Wetted Column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스티렌 열분해 반응속도론적 연구 (Reaction Kinetic Study on Pyrolysis of Waste Polystyrene using Wetted Column Reactor)

  • 유영길;윤병태;김성보;최명재;최청송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35-539
    • /
    • 2008
  • 폐EPS 열분해반응으로부터 원료인 스티렌모노머로 회수하는 열분해반응에서 오일의 생성 및 오일 중에 함유된 스티렌, 에틸벤젠, 알파메틸스티렌의 생성은 반응중에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으며 원하는 조건에서 반응의 진행이 어려우므로 반응중에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지않는 새로운 반응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과정에서 주입되는 원료가 회분식반응기와 달리 반응 중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전한 온도가 유지되는 원료가 벽을 통해 흐르는 새로운 형태의 wetted-wall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생성오일의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해 주입되는 질소 유량 등의 변수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반응으로부터 선정된 최적조건에서 반응기 설계를 위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