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bit model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9초

DEA와 Tobit 모형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장비 효율성 결정요인 (The Efficiency Determinants to Port Cargo Equipment on Container Terminals to DEA & Tobit Model)

  • 박홍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0
  • 항만하역시설은 효율화는 항만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다. 항만하역서비스강화를 위하여 주요항만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야드장비의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효율과 비용절감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다양한 야드장비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는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에서 4가지의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며 산출요소는 환적물동량이다. 컨테이너야드 운용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Tobit분석을 이용하여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1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두 변수가 투입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 과 Tobit II 두 모형에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보다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2와 모형 3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형 4는 Tobit II에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형 5와 모형6은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모형7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는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준다 모형 8과 모형 9는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계수가 야드트랙터 계수보다 커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을 이용하여 도출한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 10에서 겐트리크레인은 5%에서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에서 5%, Tobit 2에서 8% 수준에서 음의 부호로 유의하다. 모형 11와 모형 12는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using panel tobit model)

  •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4호
    • /
    • pp.853-8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국회의 공공기관 고용현황 조사, 알리오 (www.alio.go.kr) 및 클린아이 (www.cleaneye.go.kr) 등 4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기관별 청년채용 비율은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속변수 가 일정한 영역에서만 관찰되는 중도자료를 갖는 형태로서 통상적 최소제곱추정은 편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합동 토빗모형과 패널 토빗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 토빗모형에 비해서 패널 토빗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고,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의 청년채용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공기관에 비해서 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입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정원대비 정규직비율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DEA 모형을 활용한 소매점의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e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iciency Factors of Retail Stores Using DEA Model)

  • 고경완;김대철
    • 경영과학
    • /
    • 제31권4호
    • /
    • pp.135-150
    • /
    • 2014
  • This paper analyz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91 individual retail stores in Seoul by a two-step procedure. In the first step,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is used to identify the efficiency scores. Three inputs (store size, number of items, and number of employees) and two outputs (sales and number of customers) are used for the efficiency measurement. In the second step, a Tobit regression model is used to identify the drivers of efficiency. DEA efficiency scores are used to test hypotheses on the impact of five independent variables, namely store age, number of items per store size, number of items per employee, trade area index, and number of competitors. Results of the Tobit analysis show that number of items per store size, number of items per employee, and number of competi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etail store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충돌유형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Models by Collision Type at Roundabout)

  • 박병호;백태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6-142
    • /
    • 2016
  • This study deals with traffic accident of roundabout by collision type.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developing the appropriate models using Tobit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Tobit models (by collision type)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their $R^2$ values are 0.858, 0.918 and 0.859) are developed. Second, t-test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values. Finally, such the common variable as traffic volume, and such the specific variables as diameter of central island, the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 approach width and average of the number of approach are adopted in this study.

3차병원의 생산 효율성 측정 및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Measuring Hospital Efficienc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 in Tertiary Hospitals: Data Envelopment Analysis)

  • 양동현;서원식;박광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3-202
    • /
    • 1997
  •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been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under turbulent health care environment. This situation led hospitals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managerial efficiency in various way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echnical efficiency of 31 tertiary hospitals in Korea and find determina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Tobit Model were adopted for study. For the analysis, human resource factors such as number of physicians, nurses, and administrative staff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inpatients and outpatients) are used as output variables. Among 31 hospitals, in CCR model, 8 hositals showed efficiency score 1 which means they have been operated in very efficient ways and BCC model showed 13 of 31 hospitals as efficient organizations. Next, we analyzed determina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By using Tobit model, the study showed hospital size, Quality of care, value added per capita, and revenue per patient we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However, it appeared that financial status of hospitals(i.e : making profit or not) was not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 PDF

장미농가의 생산효율성 분석: DEA와 SFA 기법 비교를 중심으로 (Productive Efficiency of the Rose Farming Business: A Comparison of DEA and SFA)

  • 김기태;김원경;정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19-8727
    • /
    • 2015
  • 본 연구는 장미농가의 생산효율성을 측정하고, 경영의 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FA(Stochastic Frontier Analysis) 기법과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사용하여 생산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Tobit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SFA 방법을 통한 생산효율성은 88.4%으로 측정되었으며, DEA 방법에서 불변규모수익(CRS) 모형과 변동수익규모(VRS) 모형을 통해서는 생산효율성이 각각 78.5%와 85.2%로 측정되었다. 특히 두 가지 방법의 생산효율성 측정결과는 각 경영체의 효율성 순위를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어 상호보완적이다. 다음으로 Tobit 분석 결과, 투입한 6개의 변수가 모두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묘비와 제재료비는 (+) 부호를 나타냄과 동시에 회귀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경영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미농가는 종묘비와 제재료비의 투입을 증대시켜 더욱 높은 소득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경영 효율성을 증대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Meta Frontier를 이용한 국내 IT서비스기업의 효율성 분석 및 Tobit 모형을 이용한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IT Service Companies Using Meta Frontier and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Using Tobit Model)

  • 신민수;박지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31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45 Korea IT service companies from 2012 to 2016 using DEA analysis. Large enterprises, medium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CCR model and BCC model were used for efficiency analysis. Among the various analytical objects, the decision objects which yield the maximum output with minimum input are compared with other analysis objects. The relative inefficiency was measured through this, and Technical Efficiency (T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Scale Efficiency (SE), scale profit, reference frequency were analyzed. Also, we analyzed the Technology Gap Ratio (TGR),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production function and Meta-Frontier for each firm, using Meta-Frontier analysis. Finally, the Tobit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sources of efficiency and inefficiency. The inputs are assets, capital, and employees, and the output factor is sales. The analysis shows that large firms are achieving technological achievements more efficiently th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s a result,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MEs can improve efficiency overall through efficient operation of workforce and appropriate combination of inputs such as assets and capital. Also,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the managed asset ratio and the management cost ratio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of the IT service companies. This study suggests the efficiency analysis using DEA for many Korea IT service companies. Inefficient parts of each compan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ize and technology. Also, we identify the most efficient companies and analyze the causes of those companies whose profits are lower than their size.

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 : 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II 토빗 모형을 이용하여 (A Study on Determinants Affecting At-home Laver Consumption Expenditures : Type II Tobit Model Treating Sample Selection Bias)

  • 이민규;박은영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3호
    • /
    • pp.147-167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at-home laver consumption expenditures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of households implemented in 2009. It happened that non-response ratios of monthly expenditures on dry laver and flavored laver among sampled households are 18.8% and 25.6%.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affecting at-home laver consumption expenditures by using type II tobit model, one of sample selection models, to deal with sample selection bias caused from non-response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e age variable positively affects expenditures on dry laver but negatively contributes to expenditures on flavored laver. In addition, the household size, the household's income,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laver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oth expenditures. Household size elasticity and income elasticity of the expenditure on dry laver are estimated as 0.220 and 0.251. In the case of flavored laver, these elasticities are estimated as 0.484 and 0.261. Such analysis results can provide information on division of the at-home laver consumption market into groups with high willingness to expense and implementation of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at-home laver consump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on other marine products and other analyses on sample with non-response data in the fishery research.

  • PDF

문화공연에 대한 사회·경제적 수요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demanders for cultural performance)

  • 이주석;곽승준;조승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55-3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된 일대일 개별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일반 국민들의 사회 경제적 변수가 공연관람 및 공연관람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수요를 분석할 경우 공연관람 경험이 없거나 공연관람 지출이 전혀 없는 다수의 응답자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wo-equation 모형과 Tobit모형을 활용하여 이를 고려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젊을수록,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서울 거주자일수록 문화공연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득에 대해서는 비탄력적이며 일정연령(peak age)가 지나면 오히려 수요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의 경제적 편익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Social Benefit of Mitigation of In-Vehicle Congestion Level in Intercity Buses)

  • 류시균;한시원;유재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23-534
    • /
    • 2016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을 운행하는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차내혼잡도 완화의 편익측정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시장재의 편익측정방법론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서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조사기법으로, Tobit모형을 측정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992개의 유효표본이 얻어졌으며 연령, 소득수준, 버스탑승시간, 통행목적, 혼잡도 등을 설명변수로,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을 종속변수로 하는 Tobit모형을 추정하였다. 통계적 검정과 논리적 검정을 통해서 모형의 적합도가 검정되었으며 모형으로부터 산출된 광역버스 차내혼잡도 완화에 대한 추가지불의사액을 경기도가 인가한 광역버스 이용실태에 적용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광역버스 좌석제를 시행할 경우 일평균 약 61백만 원, 연간 약 147억 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