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iciency Determinants to Port Cargo Equipment on Container Terminals to DEA & Tobit Model

DEA와 Tobit 모형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장비 효율성 결정요인

  • 박홍균 (순천대학교 경영통상학부 무역학과)
  • Received : 2010.07.25
  • Accepted : 2010.09.0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measuring the efficiency of container yards in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and Gwangyang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pproach. It analyses the relative efficiency of 11 container terminals based on the data for the period between 2006 and 2009 to offer a fresh perspective. The applied framework assumes inputs to be container cranes, transtainer cranes and yard tractors and output as container transshipment volume. Through the 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act of using of container cranes, transtainer cranes and yard tractors, top handler & reach stacker on container yard efficiency are measured. Moreover,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three input factors are analyzed as well. This paper also employs heteroscedastic Tobit model to show the impact of explanatory variables on container yard efficiencies. I took into consideration the strategies for operation of container cranes, transtainer cranes and yard tractors in container yard.

항만하역시설은 효율화는 항만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다. 항만하역서비스강화를 위하여 주요항만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야드장비의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효율과 비용절감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다양한 야드장비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는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에서 4가지의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며 산출요소는 환적물동량이다. 컨테이너야드 운용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Tobit분석을 이용하여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1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두 변수가 투입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 과 Tobit II 두 모형에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보다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2와 모형 3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형 4는 Tobit II에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형 5와 모형6은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모형7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는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준다 모형 8과 모형 9는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계수가 야드트랙터 계수보다 커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을 이용하여 도출한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 10에서 겐트리크레인은 5%에서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에서 5%, Tobit 2에서 8% 수준에서 음의 부호로 유의하다. 모형 11와 모형 12는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제.윤원철, "DEA 기법과 토빗모형을 활용한 효율성 차이에 대한 분석: 서울시 고등학교의 교육성과를 대상으로", 재정논집, 제21권 제1호, 2006, pp. 97-1141.
  2. 김창범, "운송관련 서비스산업의 정태적, 동태적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Vol.22, No.4,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pp.1715-1724.
  3. 모수원,"국내항만의 효율성결정요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4호, 한국항만경제학회,2008, pp. 349-361.
  4. 모수원.이광배, "부산항과 광양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성", 한국항만경제학회지,제26권 제2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pp.139-149.
  5. 이윤미.유재균, "DEA와 Tobit 모형을 이용한 철도산업 효율성 결정요인분석",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2권 6호 2009,, 한국철도학회, pp1030-1036.
  6. 박홍균, "환적화물의 컨테이너 터미널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제26권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pp.1-19.
  7. 손승태, "국내 은행의 경영효율성 비교연구" , 한국개발연구원, 1993년, pp.64-82.
  8. 손승태, "국내 은행의 경영효율성 비교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993년, pp.64-82.
  9. 최상희.하태영, "컨테이너터미널의 야드배치 형태별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21권1호, 해양수산개발원, 2006, pp.150-160,
  10. 한병섭, "한국진출기업의 조직간 연계성 구축 노력과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산업연구원, 2003, 12, pp71- 78.
  11. Athanasios Ballis., Golias, John, "Comparative Evaluation of Existing and Innovative Rail-Road Freight Transport Terminal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6., 2002,pp593-611. https://doi.org/10.1016/S0191-2615(01)00020-0
  12. Arabmazar, A. and Schmidt, P, "An Investigation of the Robustness of the Tobit Estimator to Non-Normality" ,Econometrica, Vol. 50, 1982, pp. 1055-1063. https://doi.org/10.2307/1912776
  13.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W,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1984,pp.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4. Boussofiane, A., Dyson, R. G. and Thanassoulis, E,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32, 1991, pp.1-15.
  15. Charnes, A, Cooper, W. W, and E. L.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 1978, pp.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6. Scherega, C.A, "Operational Eefficiency Versus Financial Mobility in The Global Airline Industry: a Data Envelopment and Tobit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8., No. 5, 2004, pp. 383-404.
  17. Wade D. Cook, Larry M. Seifor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Thirty years o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92., 2009, pp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