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tratable acid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초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yogurt containing Lacobacillus sakei ALI033 and cinnamon ethanol extract

  • Choi, Yu Jin;Jin, Hee Yeon;Yang, Hee Sun;Lee, Sang Cheon;Huh, Chang K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4호
    • /
    • pp.16.1-16.7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yogurt containing antifungal-active lactic acid bacteria (ALH, Lacobacillus sakei ALI033) isolated from kimchi and cinnamon ethanol extract. The starter was used for culture inoculation (1.0 % commercial starter culture YF-L812 and ALH). Results: The antifungal activity of cinnamon extracts was observed in treatments with either cinnamon ethanol extracts or cinnamon methanol extracts. Changes in fermented milk made with ALH and cinnamon extract during fermentation at $40^{\circ}C$ were as follows. The pH was 4.6 after only 6 h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values were maintained at 0.8 % in all treatment groups. Viable cell counts were maintained at $4{\times}10^9CFU/mL$ in all groups except for 1.00 % cinnamon treatment. Sensory evaluations of fermented milk sample made with ALH and 0.05 % cinnamon ethanol extract were the highest. Changes in fermented milk made with ALH and cinnamon ethanol extract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28 days were as follows. In fermented milk containing ALH and cinnamon ethanol extracts, the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moderate and smaller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Viable cell counts were maintained within a proper range of $10^8CFU/m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vergrowth of fermentation strains or post acidification during storage can be effectively delayed, thereby maintaining the storage quality of yogurt products in a stable way, using cinnamon ethanol extract, which exhibits excellent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combin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키토산을 이용한 김치의 숙성지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longing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ng Chitosan)

  • 서정숙;방병호;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5
    • /
    • 2004
  • 고분자 키토산(분자량 약 800,000)을 농도별(0%, 0.1%, 0.2%, 0.3%)로 김치를 제조하여, pH, 적정산도, 총 균수, 젖산균 수, 대장균군 수 및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키토산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pH 저하 및 적정산도의 증가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숙성지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키토산 첨가(0.3%) 김치는 숙성 6에서 9일까지 대조구에 비하여 총 균수와 젖산균수가 약 1.3 log(cfu/g)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15일 후 대장균군 수는 시간과 더불어 그 수가 모든구에서 1.6∼2.3 log(cfu/g)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관능검사 결과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와 0.1% 첨가 김치는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내어 0.1% 첨가 김치가 기능성과 보존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선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감귤류(柑橘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주요품종별(主要品種別) 당(糖) 및 산조성(酸組成)의 시기별(時期別)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fruits in Korea(II) -Changes of acid and sugar components with growth-)

  • 박훈;김영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41-57
    • /
    • 1968
  • 제주산(濟州産) 감귤(柑橘) 14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과실(果實) 부위별(部位別) 산(酸) 및 당조성(糖組成)의 추이(推移)를 조사(調査)하고 거제산감귤(巨濟産柑橘)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으며 혈연(血緣)이 먼 타과실(他果實)의 부위별(部位別) 산조성(酸組成)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율(果皮率)이 생육(生育) 초기(初期)에 크고 그후 완숙(完熟)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減少)하며 이는 동화(同化) 산물(産物)의 전류(轉流)가 초기(初期)에는 과피(果皮)로 후기(後期)에는 과육(果肉)으로 더많이 전류(轉流)하거나아니면 과피(果皮)에서 과육(果肉)으로 전류(轉流)될 가능성을 보인다. 2) 과중(果重)이 클수록 과피율(果皮率)이 큰 경향을 나타내며 과실중(果實重)이 200이상(以上)의 것은 과피율(果皮率)이 30이상의 품종(品種)은 종실수(種實數)가 15개(個) 이상(以上)이다. 3) 과중(果重)이 최고점(最高點)에 이를때 과육(果肉) 전산함량(全酸含量)이 최고(最高)에 이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는것이 대부분이나 최고전산(最高全酸) 함량(含量)이 20me/100g 이하로 가장 낮은 품종(品種)들은 수확기(收穫期)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4) 생육각시기(生育各時期)의 과육중(果肉中) 전산(全酸)과 적정산간(滴定酸間)에 r=0.933, 과피중(果皮中) 전산(全酸)과 결합산간(結合酸間)에 r=0.970으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과육(果肉)에서는 대부분 적정산(滴定酸)(73%)인 반면 과피(果皮)에서는 대부분이 결합산(結合酸)(88%)이다. 5) 결합산(結合酸)은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과육(果肉)에서 증가(增加)하고 과피(果皮)에서 감소(減少)하므로 과피(果皮)로부터 과육(果肉)으로의 염류(鹽類)의 전류(轉流)가 예상된다. 6) 산(酸)과 당조성(糖組成)의 부위별(部位別) 차(差)에 의(依)한 과실(果實)의 유형적분류방법(類型的分類方法)은 혈연(血緣)이 먼 수박과 도마도등(等에)도 적용(適用)될 수 있다. 7)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은 계속 증가(增加)하며 전당(全糖)과 환원당(還元糖)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49^{**}$ ,$0.732^{**}$ $0.583^*$으로 감소(減少)하고 환원당비율(還元糖比率)도 감소(減少)한다.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5%$) 8) 과육당(果肉糖)은 주로 비환원당(非還元糖)(61%)인 반면 과피당(果皮糖)은 주로 환원당(還元糖)(88%)이며 수확기(收穫期) 과육중(果肉中) 전당(全糖)과 비환원당간(非還元糖間)에 r=0.861, 과피중(果皮中) 전당(全糖)과 환원당간(還元糖間)에 r=0.972로 모두 1%(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다. 9) 과피율(果皮率)이 36% 이하(以下)의 품종(品種)은 과피당비(果皮糖比) (과육전당(果肉全糖)/과피전당(果皮全糖))가 1보다 크고 과피율(果皮率)이 36% 이상(以上)인 품종(品種)은 1이하(以下)로 당함량(糖含量)과 부위별(部位別) 생장속도(生長速度)에 관련성(關聯性)이 있는 것 같다. 10) 거제군(巨濟郡) 온주(溫州)는 제주산(濟州産)에 비(比)해 과피율(果皮率)이 적고 산(酸)과 당함량(糖含量)이 낮으나 감미비(甘味比)가 높았다.

  • PDF

시판 전통누룩의 젖산균 분리동정과 제조단양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akju (a Cloudy Korean Rice Wine) Prepared with Nuruk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Fermentation Starter),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 박지희;정장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3-164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 개량누룩 1종류(MN)와 시판되고 전통제조방식으로 제조된 4종류의 전통누룩(SH, SS, JJ, and SJ)을 구입하여 단양주를 제조하고 이들 단양주의 발효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누룩으로 제조한 탁주의 pH는 담금 직후부터 24시간 까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정산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Maltose 함량은 담금 직후에는 0.49-2.68% (w/v)였고, glucose의 함량은 1.03-2.07% (w/v)으로 나타났다. T-SH와 T-SS의 ethanol 함량이 7일까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ethanol 의 함량은 12시간부터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발효 7일부터 21일까지 13.08-14.96% (w/v)로 유지되었다. 발효과정 중 유리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glutamic acid, threonine, serine과 glycine 함량을 각각 T-JJ은 104.157, 42.855, 69.715, and 53.035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탁주 유기산으로 lac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가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총량은 T-SS, T-JJ 가 2286.21 mg/100 g, 1983.5 mg/100 g 순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 수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증가하다가 발효 1일에 감소하다 완만한 증가 후 발효가 끝나는 21일까지 점차 감소하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결과 과일향은 T-SH, 단맛은 TSS, 신맛은 T-SS가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향, 알코올맛, 쓴맛은 시료간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대체적으로 전통누룩으로 담근 탁주의 아미노산 함량과 유기산 함량이 개량누룩으로 담근 탁주의 아미노산 함량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전통누룩으로 담근 탁주의 다양성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누룩들의 젖산균을 분리동정하였는데 분리된 균들은 대체적으로 Leuconostoc, Weissella, Pediococcus과 Lactobacillus속에 속하였다.

유기산처리 갑오징어갑을 이용한 두부의 저장성 개선 (Improvement on Storage Stability of Soybean Curd using Cuttle Bone Powder Treated with Acetic Acid)

  • 김진수;조문래;허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83-188
    • /
    • 2003
  • 수산가공 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고 용해성 아세트산 처리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이용하여 보통 두부를 제조한 다음, 이의 저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pH, 담금액의 탁도,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저장 6일째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pH 및 담금액의 탁도는 급격히 감소를,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pH 담금액의 탁도,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저장 9일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고, 이후 PH 및 담금액의 탁도는 미미한 감소를, 적정산도 및 생균수는 미미한 증가를 하여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한 두부와 차이가 있었다. 한편, 백색도는 응고제의 종류 및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저장 중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은 경도 및 부스러짐성의 경우 응고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저장 3일째까지 감소하였고, 이후 염화칼슘으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저장 6일째까지, 갑오징어갑 분말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저장 9일째까지는 변화가 적었으나, 이후 염화칼슘으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크게 감소하였고, 갑오징어갑 분말로 제조한 두부의 경우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응고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물리화학적 분석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두부의 유통기한은 갑오징어갑 분말을 응고제로 한 두부의 경우 9일,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한 두부의 경우 6일로 판단되었다.

자몽씨 추출물을 첨가한 석이버섯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Umbilicaria esculenta Yakju Add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during Storage)

  • 강혜영;이상권;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9-246
    • /
    • 2016
  • 석이버섯과 한방재료를 첨가하여 만든 숙성된 석이버섯주에 grapefruit seed extract(GSE)를 0.5%, 1% 첨가하여 $4^{\circ}C$는 165일간, $25^{\circ}C$ 75일간 저장하면서 약주의 저장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품질 특성은 pH, 총산도, 탁도, 일반세균수 및 ethanol, glucose, acetic acid, lact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다. GSE 무첨가 약주는 저장 중 pH, 총산도, 탁도, acetic acid, lactic acid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에 GSE 0.5%, 1% 첨가 약주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큰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GSE 무첨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일반세균수는 대조군보다 GSE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모든 시험군에서 대장균, 효모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저장 중 조금씩 증가하였고, glucose 함량은 저장 중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ethanol, glucose 함량 모두 대조군과 GSE 첨가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식품규격에 따라 품질 유지기한이 $25^{\circ}C$는 3개월, $4^{\circ}C$는 6개월까지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써 GSE는 약주의 저장성 향상 및 품질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최소가공 Fuji사과의 포장재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ackaged Fuji Apples during Storage)

  • 황태영;손석민;이창용;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9-473
    • /
    • 2001
  • 최소가공처리를 행한 신선 사과의 저장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사과 품종 중 Fuji사과를 이용하여 최소가공 처리를 행한 후 서로 다른 산소, 이산화탄소 및 수분 투과도를 가지는 필름으로 포장하여 저온저장 하였다. 저장중의 색도 변화, texture,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포장재 내부의 공기조성을 측정하였다. 신선절단 및 유기산 처리를 한 사과의 firmness는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다가 저장 3주부터 감소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육의 갈변현상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1주일을 전후로 일어났으며 1% oxalic acid를 처리한 사과의 경우 포장 필름의 종류에 상관없이 저장 초기에는 백색도가 증가하였으나 시간경과에 따라 과육의 연화 현상과 함께 갈변이 심화되었고 특히 L340필름으로 포장한 경우 L값의 변화가 가장 심하게 일어났다. 반면 사과를 1% ascorbic acid 용액에 침지한 후 P640필름에 포장하여 저장한 구는 색도,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에서 품질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 PDF

환원제 첨가가 쌀당화액의 Bifidobacterium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ucing Agents on Bifidobacterium Ferment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 이주연;목철균;박종현;장학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0-235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new rice product by the ferment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using Bifidobacterium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reducing agent to provide the anaerobic condition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during fermentation. The enhancement of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in saccharified rice solution was achieved by the treatment of reducing agents such as ascorbic acid and cyste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product were evaluated, and the effect of the reducing agents were compared between ascorbic acid and cysteine. The fermented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ascorbic acid shows the lower pH and the higher titratable acidity comparing the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cysteine. This indicated that ascorbic acid was more appropriate reducing agent than cysteine for the fermentation of the saccharified rice solution. The number of viable Bifidobacterium in the fermented product with the addition of ascorbic acid(2.2$\times$108~3.4$\times$108CFU/ml) was greater than that with the addition of cysteine (8$\times$107~2.8$\times$108CFU/ml). Ascorbic acid supplement also contributed better sensory properties, such as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ibility than cysteine supplement did.

  • PDF

Renal Tubular Acidosis in Cadmium-Intoxicated Rats

  • Ahn, Do-Whan;Kim, Kyoung-Ryong;Choi, Jang-Kyu;Park, Yang-Sae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6권1호
    • /
    • pp.41-46
    • /
    • 2002
  • Effect of cadmium (Cd) intoxication on renal acid-base regulation was studied in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Cd intoxication was induced by subcutaneous injections of $CdCl_2$ at a dose of 2 mg Cd/kg/day for $3{\sim}4$ weeks. In Cd-intoxicated animals, arterial pH, $PCO_2$ and plasma bicarbonate concentration decreased, showing a metabolic acidosis. Urine pH and urinary bicarbonate excretion increased and titratable acid excretion decreased with no change in ammonium excretion. In renal cortical brush-border membrane vesicles derived from Cd-exposed animals, the $Na^+/H^+$ antiporter activity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ronic exposures to Cd impair the proximal tubular mechanism for $H^+$ secretion (i.e., $Na^+/H^+$ antiport), leading to a metabolic acidosis.

칼슘을 함유한 초산용액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Kimchi Qualit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cetic Acid Solution Containing Calcium)

  • 박우포;유재일;이미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1-156
    • /
    • 2001
  • Acetic acid solution containing calcium (AC) was added to kimchi seasonings by 10% and 205, and heat treatment at 70$\^{C}$ for 15 min was also tried, respectively. Kimchi with treated seasonings was investigated for the quality during fermentation at 10$\^{C}$. Heat treatment with 20% AC showed a retarded decrease pH than others on 10 days,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after 14 days. Higher titratable acidity was revealed in kimchi with AC during the fermentation. Total microbial lead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were generally lower in kimchi with AC. Reducing sugar content was maximum for all samples on 5 days,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Redness of control kimchi was steadi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