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remaining to us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Preoperative Long Course Chemoirradiation in a Developing Country for Rectal Carcinoma: Kuala Lumpur Hospital Experience

  • Lee, Wei Ching;Yusof, Mastura Md.;Lau, Fen Nee;Ee Phua, Vincent Ch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41-3944
    • /
    • 2013
  • Background: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irradiation is the commonest treatment strategy employed in Malaysia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We need to determine the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s for comparison with established rates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all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rectal adenocarcinoma who underwent long course preoperative radiotherapy (RT) at the Department of Radiotherapy and Oncology, Kuala Lumpur Hospital (HKL) between $1^{st}$ January 2004 and $31^{st}$ December 2010.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radiological response post radiotherapy, pathological response including circumferential resection margin (CRM) status, 3 years local control, 3 years overall survival (OS) and 3 years disease free survival (DF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Kaplan-Meier and log rank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survival outcomes. Results: A total of 507 patients with rectal cancer underwent RT at HKL. Sixty seven who underwent long course preoperative RT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60 years old with a range of 26-78 years. The median tumour location was 6 cm from the anal verge. Most patients had suspicion of mesorectum involvement (95.5%) while 28.4% of patients had enlarged pelvic nodes on staging CT scan. All patients underwent preoperative chemo-irradiation except for five who had preoperative RT alone. Only 38 patients underwent definitive surgery (56.7%). Five patients were deemed to be inoperable radiologically and 3 patients were found to have unresectable disease intraoperatively. The remaining 21 patients defaulted surgery (31.3%). The median time from completion of RT to surgery was 8 weeks (range 5.6 to 29.4 weeks). Fifteen patients (39.5%) had surgery more than 8 weeks after completion of RT. Complete pathological response was noted in 4 patients (10.5%). The pathological CRM positive rate after RT was 18.4%. With a median follow-up of 38.8 months, the 3 year local control rate was 67%. The 3 years rate for CRM positive (<2 mm), CRM clear (>2 mm) and pCR groups were 0%, 88.1% and 100% respectively (p-value of 0.007). The 3 year OS and DFS were 57.3% and 44.8% respectively.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approach of long course preoperative chemoirradiation for rectal cancer needs to be re-examined in our local setting. The high rate of local recurrence is worrying and is mainly due to patient defaulting post-preoperative chemoirradiation or delayed definitive surgery.

에너지 절감형 서버 클러스터에서 급변하는 부하 처리를 위한 유연한 다중 임계치 기반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 (A Flexible Multi-Threshold Based Control of Server Power Mode for Handling Rapidly Changing Loads in an Energy Aware Server Cluster)

  • 안태준;조성철;김석구;천경호;정규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9호
    • /
    • pp.279-292
    • /
    • 2014
  • 에너지 절감형 서버 클러스터에서는 에너지절감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환경에서만큼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면서 전력소비를 최대로 절감하는 것이 목표이다. 에너지 절감형 서버 클러스터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현재의 사용자요청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서버 대수를 계산하여 해당 서버만을 활성화하도록 서버 전원 모드를 일정주기마다 제어한다. 부하가 급격하게 변하는 상황에서는 서버 수를 빨리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이 떨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부하추세를 급증, 증가, 완만, 감소, 급감하는 5가지 상황으로 분류하여 필요한 서버 대수를 계산할 때 각 상황에 맞는 다중 임계치를 적용한다. 또한 부하추세를 5등급으로 나누는 기준을 서버가 부하를 추가로 감당할 수 있는 잔여용량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는 방법을 추가로 사용한다. 실험은 서버 15대로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SPECweb이라는 전문 벤치마킹 툴을 이용하여 부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패턴들을 생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서비스품질은 에너지절감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클러스터링 방식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소비전력은 부하 패턴에 따라 최대 약 50% 절감되었음을 보여준다.

래디얼 동전기 휠을 이용한 전도성 트랙 위에서의 이송 시스템 (Transfer System using Radial Electrodynamic Wheel over Conductive Track)

  • 정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94-801
    • /
    • 2017
  • 전도성 평판의 모서리에 래디얼 동전기 휠을 부분적으로 중첩시켜 회전시키면 휠에는 부상력과 모서리 방향의 추력 그리고 중첩 영역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의 횡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휠을 조합하면 진행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축에서의 자기 안정성이 담보되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실증차원에서 래디얼 동전기 휠을 이용한 자기 부상 방식 이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네 개의 동전기 휠에 의해 부상, 추진되며 앞뒤 휠에 의한 추력이 서로 상쇄되도록 대항하는 구조로 배치되어있다. 휠의 동적 안정성과 동전기력에 미치는 휠 극수의 영향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단동 휠에 의한 추력과 부상력은 강하게 연성되어있고 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자는 휠의 회전속도뿐이다. 따라서 두 힘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추력과 부상력간의 비율이 속도에 비례하고 공극의 크기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으로 시스템의 면내, 면외 운동 제어를 수행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휠의 속도만으로 연성된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 후 발생한 문합부 협착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astomotic Stricture after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

  • 전도환;조성래;천수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17-1221
    • /
    • 1998
  • 배경:식도-위 문합술시 EEA stapler가 도입됨으로써 문합부 누출의 발생을 줄여 술후 사망률의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으나 문합부 협착의 발생이 수기봉합에 비해 높은 단점이 있다.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시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이고, 또 문합부 협착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1996년 12월 까지 약 11년간 고신대학교 의학부 흉부외과에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195명의 환자 중 술후 조기에 사망한 10명를 제외한 185명를 대상으로 문합부 협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문합부 협착은 185명의 환자 중 39명에서 발생하여 21%의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발생시기는 술후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에 25례(64.1%)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 사이에 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문합의 위치에 따른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은 흉곽 입구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서 기관분기 하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 비해 조금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문합시 사용된 cartridge의 크기와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의 비교에서 작은 cartridge를 사용한 예에서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p=0.04). 결론: 이상의 결과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시 가능한 큰 cartridge를 사용함으로써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1∼2회의 풍선확장술의 시행이 안전하고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출토 구슬류의 특성 고찰 (A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by Beads Analysis of the Tombs of Deokcheon-ri in Uljin, Korea.)

  • 이민희;김규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2권
    • /
    • pp.69-8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에서 출토된 구슬류 80점에 대해 형태적 특징관찰 및 화학적 조성분석을 실시하여 제작기법과 원료의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구별 출토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출토 구슬류는 곡옥 1점과 관옥 1점, 환옥 78점으로 구별된다. 그 중 곡옥과 관옥, 환옥 3점은 광물제 구슬, 75점은 유리제 구슬로 확인되며 유리제 구슬은 대부분 유리 융액을 늘여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특성을 유구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유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소다유리군이 확인되는데 비해 중부는 다양한 융제의 유리제 구슬이 출토되고 하부는 감청색 소다유리군이 주로 확인된다. 따라서 유구 위치에 따라 유리제 구슬의 양상이 다름이 확인된다. 또한 5~6C초의 유구에서 집중적으로 구슬이 출토되어 6C 이전, 울진을 중심으로 구슬을 수용하고 부장했던 집단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신라가 중앙집권화가 되어가는 6C 이후 해당 지역에서 구슬이 자취를 감추게 되는 특징을 보인다.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시각장애인 자동 보행 안내 (Automatic Walking Guid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tilizing an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 장재영;이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1
    • /
    • 2022
  • 도시가 복잡해짐에 따라 보행도로에는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볼라드, 주차차단기, 입간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보행에 심각한 방해가 되지 않지만,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오히려 충돌로 인한 부상의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PS를 비롯한 다양한 장치를 이용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장소의 제약, 장애물 감지의 부정확성, 특수한 장치에 대한 요구 등의 문제로 인해 대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간단한 장치만을 활용하여 보행 중에 출현하는 각종 장애물을 자동인식하고 충돌의 위험을 사전에 알려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전방을 촬영한 동영상에서 장애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거리를 파악하여 보행인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해줌으로써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최신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물 출현 여부와 장애물의 종류를 인식하였다. 또한, 보행자의 보폭을 이용한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기술과 비교하여 실내외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간단한 장치만으로도 정확한 보행 안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역삼투압을 이용한 전착도료 정제공정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Ion Removal Process for Purifying Electrocoat Paint in the Bath by Use of Reverse Osmosis)

  • 김진성
    • 멤브레인
    • /
    • 제8권2호
    • /
    • pp.77-85
    • /
    • 1998
  • 알루미늄 전착공정중 도료정제장치에서 발생하는 도료계 폐수(COD$_{Mn}$ 1,500~2,000 ppm)를 역삼투압을 이용하여 농축수는 전착조로 보내 재사용하고 반면 투과수는 세정수로 사용할 목적으로 시스템을 설계하여 현장 설치하였다. 역삼투압시스템은 폴리아미드 재질의 나권형 모듈(직경 102 mm$\times$ 길이 1,016 mm)3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시스템회복율 30%, 운전압력 11.5 kg/$cm^2$, 그리고 실온에서 3일 주기로 발생하는 폐수량 20 m$^3$을 회분식조업으로 처리하였다. 원폐수를 42시간 연속가동하여 5배까지 농축하는 실험기간중 거의 일정한 투과 flux 390 l/m$^2$-hr을 유지하였고 그 투과수질이 COD$_{Mn}$ 300 ppm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료정제장치의 잔존 도료성분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순수대신 세정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그리고, COD$_{Mn}$ 제거율은 83$\pm$5%이었으며, 각 용제성 분별 제거율은 feed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5배 농축시 ethyl cellusolve, butyl cellusolve 그리고 n-butanol은 각각 79, 87 그리고 70%로 나타났다.

  • PDF

마 섬유 혼입에 따른 고밀도 섬유 시멘트 복합체의 불연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Non-combustible Properties of High-density Fiber Cement Composites Mixed with Hemp Fibers)

  • 장경필;송태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14-320
    • /
    • 2022
  • 건축자재에서 사용되는 보강 섬유의 기능은 휨하중에 대한 저항력 유지,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 기능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밀도 섬유 시멘트 복합체는 주로 선형의 판재에 사용되는 것으로 휨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인장성, 시멘트 수화물과의 결합력, 내알칼리성 등이 요구된다. 최근 불연성능 기준이 강화되어 고온 가열 시 불꽃 발생을 최소화해야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유기 섬유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내열성이 우수한 마 섬유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 섬유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시멘트와의 친화력이 좋으며 알칼리 저항력 또한 우수하다. 기존의 배합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부피 총량을 기준으로 마 섬유를 대체하여 사용하여 불연성능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휨강도 등 기본 물리적 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길이 7 mm의 마 섬유를 질량비 2 %, 3 %를 사용하여 불연 및 물리적 특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불꽃의 잔존 시간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휨강도는 기존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95 % 수준까지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actors Predicting Early Release of Thyroid Cancer Patients from the Isolation Room after Radioiodine-131 Treatment

  • Fatima, Nosheen;Zaman, Maseeh uz;Zaman, Areeba;Zaman, Unaiza;Tahseen, Rabia;Shahid, Waji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125-129
    • /
    • 2016
  • Background: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DTC) who receive radioactive iodine-131 (RAI) are released from isolation when their dose rate is below the regulatory requir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stablish predicting factors for early release from the isolation facility after RAI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DTC.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study which included 96 (58 females and 38 males) patients with DTC who had received RAI from April 2013 till August 2015. The study was duly approved by the ethical committee of the institute. Patients who had complete information of primary tumor size (PTS), serum TSH, stimulated thyroglobulin level [sTg] with antibodies (IU/ml) at the time of RAI treatment were included. All had a normal serum creatinine level. To attain lower effective half-life good hydration and administration of soft laxative were ensured. Dose rate was measured (immediately, 24 h and 36 h) at 1 meter distance from anterior mid trunk and a dose rate <$50{\mu}Sv/h$ was considered as the releasing criterion. At 24 h 50 patients were released while the remaining 46 patients were released at 36 h. A post-ablative whole body scan (PA-WBIS) was performed 5-8 days after RAI ablation in all patients. Results: Patients released after 24 h were significantly younger, had smaller lesions with higher proportion of papillary cancer, lower sTg, lower sTg/TSH ratio and had received a lower dose of RAI as comapred to those who were discharged after 36 h. Serum TSH and gender were not found to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cohorts. ROC and multivariate analysis have shown age ${\leq}37years$, PTS ${\leq}3.8cm$, $RAI{\leq}150mCi$, $sTg{\leq}145ng/ml$ and $sTg/TSH{\leq}1.085$ as strong indepedent predictors for early release.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younger age (${\leq}37years$), smaller tumor size (${\leq}3.8cm$), lower RAI dose (${\leq}150mCi$), lower sTg (${\leq}145ng/ml$) and a lower sTg/TSH ratio (${\leq}1.085$) a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for release at 24 h after RAI treatment in DTC patients. Effective utilization of these factors could help the treating physicians to use limited number of internment facilities with higher throughput, lower cost and lower psychological stress to patients.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구강 잔여 세치제의 양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amount of remaining toothpaste in the mou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rinse after brushing)

  • 김승연;안다은;양정인;원미경;이정현;장정연;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93-39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흡광도 및 pH 변화를 조사하여 구강 내 잔여 치약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헹굼 횟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K대학 대학생 중 일생생활에 지장이 없는 건강한 신체를 가진 학생 총 1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잇솔질 후 0회부터 12회까지 40ml의 물로 입울 헹구었다. 각 헹굼액은 수거하여 흡광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헹굼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 잇솔질 후 6 ~ 7회의 헹굼액부터 흡광도 값이 일정한 수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1g, 1.5g, 2g으로 달리한 치약의 양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치제 사용에 관한 교육과 구강 내 잔여 세치제가 구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