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by Beads Analysis of the Tombs of Deokcheon-ri in Uljin, Korea.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출토 구슬류의 특성 고찰

  • Lee, Minhee (Curatorial Affair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Buyeo) ;
  • Kim, Gyu-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민희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1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eighty beads excavated from a Silla tomb complex at Deokcheon-ri, Uljin in order to reveal the methods of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involved, thereby illumin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elics from each tomb. The beads excavated from these Silla tombs include one curved bead, one tubular bead, and 78 globular beads. Among them, the curved and tubular beads and three globular beads were identified to be made of minerals, and the remaining 75 beads are made of glass. Most of the glass bead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using the drawing techniqu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d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ite of excavation. The globular beads from Tomb No. 34 belong to the lead-barium glass and potash glass groups, indicating that these beads were produced at a relatively earlier period in time. The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northern portion of the complex differ in color and chemical composition from those in the southern portion, which indicates the character that each group of beads had different aspect according to site location. Considering that the excavated beads were mainly from fifth- and sixth-century tombs, it is likely that certain groups of people living around Uljin used and buried beads in their tombs. As the governance of Silla became more centralized in the sixth century, the use of beads for burial purpose appears to have come to an end in this region.

본 연구에서는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에서 출토된 구슬류 80점에 대해 형태적 특징관찰 및 화학적 조성분석을 실시하여 제작기법과 원료의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구별 출토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 출토 구슬류는 곡옥 1점과 관옥 1점, 환옥 78점으로 구별된다. 그 중 곡옥과 관옥, 환옥 3점은 광물제 구슬, 75점은 유리제 구슬로 확인되며 유리제 구슬은 대부분 유리 융액을 늘여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특성을 유구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유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소다유리군이 확인되는데 비해 중부는 다양한 융제의 유리제 구슬이 출토되고 하부는 감청색 소다유리군이 주로 확인된다. 따라서 유구 위치에 따라 유리제 구슬의 양상이 다름이 확인된다. 또한 5~6C초의 유구에서 집중적으로 구슬이 출토되어 6C 이전, 울진을 중심으로 구슬을 수용하고 부장했던 집단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신라가 중앙집권화가 되어가는 6C 이후 해당 지역에서 구슬이 자취를 감추게 되는 특징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성림문화재연구원,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I - 울진 신울진원전건설부지 1구역 1지점 유적,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2014).
  2. 성림문화재연구원, 울진 덕천리 신라묘군II - 울진 신울진원전건설부지 2구역 4지점 유적,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2015).
  3.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과, 박사학위논문, p48, (2001).
  4. Roy Newton, Sandra Davison, Conservation of Glass, p135-158, Butterworths, Oxford, (1989).
  5. Koezuka T, Yamasaki K,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a historical survey-, Proceedings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p469-474, (1995).
  6. Zvi Goffer, Archaeological chemistry, p136-166,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0).
  7. 이인숙, 4-6세기 포항.울진 지역의 고분 문화, 한국고대사연구, 93, p29-59, (2018).
  8. 이미란, 5-6세기 新羅 道使의 성립과 전개, 부경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p33-3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