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for household labo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 : 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Duration to First Job of Korean Young Graduate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 안주엽;홍서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47-74
    • /
    • 2002
  • 경제위기 직후 실업률의 급상승과 함께 경기변동에 민감한 청년층의 실업률은 15~20%까지 상승하였다.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신규학졸자의 첫 일자리 취업에는 상당한 애로가 존재하고 청년층의 유휴화율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청년층 유휴화의 부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의 학교교육-노동시장 이행과정에 관한 연구는 일천하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3차년도(2000년)에 실시한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5~29세 청년층이 최종 학교를 마치고 첫 일자리를 취득하는 데 소요되는 미취업 경과기간을 분석한다. 미취업상태가 경과할수록 탈출확률이 낮아지는 부(-)의 경과 기간 의존성이 나타나며, 예상과는 달리, 여성의 탈출확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난다. 학력수준의 탈출확률에 대한 효과는 경제위기 이전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나 경제위기 이후에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난다. 경제위기 이전 졸업자 표본은 높은 실업률이 탈출확률을 낮추는 반면 경제위기 이후 졸업자 표본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취업주부의 직업-가정 갈등, 가사노동사회화, 그리고 가정관리만족간의 인과관계 (Causal Relationships among Working Wives' Work-Family Conflict, Socialization of Housework, and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 임혜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5-99
    • /
    • 1995
  •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working wives' work-family conflict, socialization of housework, and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the double ABCX model of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recruited from working wives who had more than one pre-school child.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the responses of 536 working wiv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ically Cronbach's α to the reliability of major variable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ISREL 7 program were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frequency of work-family conflict was affected by the flexibility of work time and wives' income. 2. The severity of wok-family conflict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frequency of the conflict, the flexibility of work-time, and wives' education level. 3.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degree of socialization of housework were found to be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work-family conflict, wives' education, and the degree of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work. 4. The higher degree of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family member's health status, the greater degree of the flexibility of work-time, and the greater degree of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 PDF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 (Accounting for Trends in Income Inequality Among the Elderly)

  • 이원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63-18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외환위기 이후 십여 년간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불평등은 1999~2002년에 증가하고 2002~2008년에 감소하였다. 둘째, 성인 자녀와의 동거 감소, 독거노인 증가, 노인이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는 노인가구주 가구 증가 등의 가구구성 변화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였고, 2002~2008년에는 사적이전의 불평등 기여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노인 교육수준의 향상과 근로활동의 변화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였다. 넷째, 근로소득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고, 2002~2008년에는 근로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사회보험소득의 불평등 기여도는 1999~2002년에 증가하고 2002~2008년에 감소하였다.

  • PDF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Time Use of Family Housework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 이기영;이현아;김외숙;이연숙;조희금;이승미;김주희;한영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2호
    • /
    • pp.103-12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ily sharing time of housework and to examine the sharing time with family i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Time Use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9 is used. Among the total sample of 21,000 individuals, 9,179 samples who are married, aged from 20 to 59 years old and non-farmers a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ulation,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comparison of men and women shows women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than men do. But sharing housework time with family for men increase on Sunday. Performer average is almost same in men and women. Secondly, the family sharing time on housework is longer on Sunday. It is due to increase of men's family sharing time. It means that men's time substitute for women's housework. Thirdly,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haring housework are gender, age, education, presence of spouses, monthly income, dual earner status, weekly working hours, gender role atittude and presence of preschoolers. Family sharing housework is not only household labor but also family pleasure time. It means family policy should focus on making family time for workers fundamentally. And family policy needs to make a system of educational program for work-family balance.

  • PDF

주말부부의 거주유형에 따른 심리적 비용과 보상에 관한 연구 (The Psychological Costs and Rewards of Weekend Couples by the Type of Living Together)

  • 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87-19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weekend couples' type of residenc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o determine their major living place. Specifically, this study dealt with the weekend couples' psychological costs and rewards when they live apart in weekday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 married couples from 2002 June to July about their family life histor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ype of living together ; husband living apart on weekdays, wife living apart on weekdays, wife and child living apart on weekdays, living multi-residence. The majority of them were the type of husband living apart on weekdays. 2) children's care and education were an important factor in a couple's decision 3) weekend couples' psychological costs were such as difficulties of children's care, very fatiguing, shortage of time, and emotional isolation. In spite of all these costs, weekend couples still maintain their separate living arrangements during the week. They felt different kind of psychological costs by the type of living together. 4) psychological rewards were professional success, self-fulfillment, plenty of time to use purposely, and weekenders' relationships to their spouses might seem better than before. Socialization of child-care and household-labor are important factors to reduce psychological costs for the all weekend couples.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 분위수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Intergenerational economic mobility in Korea using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15-725
    • /
    • 2014
  • 본 연구는 분위수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조사 (KLIPS)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1) 부모 소득영향력은 자녀소득의 조건부분포의 하위 분위수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상위 분위수로 갈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녀소득 분포의 상위분위수로 갈수록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은 떨어지며 가구별 경제적 신분이 세대에 걸쳐 고착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2) 한편 교육효과를 제어하면 이러한 부모 소득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3) 대학교육 효과는 소득분포의 상위 분위수로 갈수록 더 높아져서 자녀의 대학교육이 세대 간에 소득이 이전되는 중요한 통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마지막으로 분위수회귀분석결과로부터 자녀소득의 조건부분포를 비모수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곡선 그림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시각적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Women's Unpaid Work as a Factor of Gender Inequality: A Case of Kazakhstan

  • OLGA, Yanovskaya;POTLURI, Rajasekhara Mouly;GULFIYA, Nazyrova;AIZHAN, Salimzhanov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0권2호
    • /
    • pp.17-21
    • /
    • 2020
  • Purpose: This paper explores diverse issues related to the problem of women's unpaid domestic care work, and as a factor of gender inequality in their professional practice. Research Design: This article concentrated only on the analysis of secondary data available on the topic along with observation of facts in Kazakhstan based on diverse sources. In current conditions, the problem of women's unpaid domestic care work, and consequently, the lack of enough time and energy for professional employment. Distinguish domestic work vs. job/career/occupation, self-fulfillment, education, and leis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omen's life satisfaction. Data, and Methodology: This article focuses only on secondary data available in different sources from which the researchers procures comprehensive data and information. Results and conclusion: A family policy that aims to promote combining maternity, and domestic work with paid employment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working mothers/women. It is crucial to not only proportionally distribute the household responsibilities in the family but also to form an effective mechanism of state support for wome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ervices sector, as well as the adoption of a system-wide approach to gender equality.

우리나라 국민연금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Gender Sensitive Anaylsis on National Pension of South Korea)

  • 유지영;성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2
    • /
    • 2013
  •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제도는 외형상 성중립성 및 보편주의를 지향하는 제도로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남성부양자모델에 기초하여 가정 내의 성별분업 및 노동시장의 성차별적 지위를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여성들의 종속적 지위를 유지 및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면의 한계상 우리나라 사회보험의 대표 격인 국민연금을 성인지적으로 분석한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규정을 보면 남성정규직 임금노동자 중심이어서 정규직 임금노동자로의 진입에 제한받는 여성들을 국민연금에서 배제하거나 주변화 되게 한다. 그리고 여성들의 가사 및 보살핌 노동은 권리자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인지적 분석 결과를 기초로 국민연금의 성차별적 속성을 파악하고 이 제도가 보다 성인지적이고 성평등적인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방안 (A Study on the Use of Forest Healing for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n Mountain Villages)

  • 김현진;서정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45-57
    • /
    • 2016
  • 2012년 기준 산촌지역 임가소득은 도시근로자의 54.3%, 농가의 67.6%에 불과하며, 노동집약적인 1차 산업 위주의 임업은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를 갖고 있다. 한편 우리사회는 여가시간 증가, 삶의 질을 강조하는 생활 방식이 자리하게 되면서 도시에서 벗어나 산림에서 체험하고 힐링을 하기 위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수요에 대응하여 기존에 1차 산업 위주의 임업 외에 부가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산림치유를 활용한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를 이용한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산촌지역에서 행해지는 산림치유시설의 특징, 프로그램 내용 등을 인터넷 조사와 현지 방문,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후 인터뷰한 원자료를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으며 NVivo1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186개의 개념과 8개의 범주와 24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 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촌지역에 산림치유 적용방안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량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으며, 산림치유마을 조성·운영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청년층의 주거와 취업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ng People's Housing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Willingness for Marriage)

  • 황광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0-14차(2016~2020년)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 청년층의 주거 관련 특성 현황들을 살펴보고, 주거의 특성들과 취업한 일자리의 특성들이 결혼 의향(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학력층, 고임금 취업자, 가구주이거나 경제적으로 독립한 청년층, 경제적으로 재정상태가 좋은 청년층은 결혼 의지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경제적 여건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한 상당수의 청년취업자 중에서도 상용직, 대기업, 고임금의 청년층은 결혼할 의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임시/일용직, 중소기업, 저임금의 고용상태가 취약한 청년층은 결혼에 대한 의향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상태에 있는 청년층의 경우도 자신의 생애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결혼에 대해서도 포기하거나 미루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에 대한 개선과 지원정책을 강화함과 동시에 주거문제의 개선 및 대책도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