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variation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2초

Topex/Poseidon 고도계 자료를 이용한 북동 아시아 해역의 조석 산정 (Computation of Tides in the Northeast Asian Sea by Blending the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 김창식;;;이종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1
  • Topex/Poseidon(T/P)고도계 자료를 조석 수치 모델에 혼합하여 북동 아시아 해역의 $M_2,\;S_2,\; K_1$, 및 $O_1$ 분조를 $5'{\times}5'$ 분해능으로 계산하여, 북동 아시아의 조석을 산정하였다. Blending 방법에 사용되는 가중 인자 값에 대한 모델반응을 검토하기 위해 $M_2$ 분조만을 고려한 수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수치 실험을 통해 T/P 자료를 정확히 재현하되 혼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기 위해 가중 인자 값은 수심의 평방근에 반비례하도록 설정하였다. T/P자료에서 구한 $M_2,\;S_2,\; K_1$, 및 $O_1$ 분조를 동시에 혼합한 수치 모델 결과는 연구 해역 내의 모든 T/P궤도 자료와 비교되었다. 진폭 오차와 지각 오차의 평균은 거의 0으로 나타났다. 진폭 오차의 표준 편차는 2 cm 내외였으며, 지각오차의 표준 편차는 $10^{\circ}$보다 작았다. T/P자료를 혼합한 모델 결과는 특히 얕은 수심(h<250m)의 T/P 궤도 자료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P 자료만으로부터 계산된 진폭과 지각은 깊은 수심 해역에 대해서는 불합리한 공간 변화를 보이는 반면, 이들 자료를 동화시킨 모델 결과는 T/P 자료와는 차이를 보이나 합리적인 진폭과 지각의 공간 분포를 보였다. 한편 T/P자료를 혼합한 모델 결과는 자료 동화에 사용하지 않은 연안 관측 자료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바지락패곡의 형태변이와 바지락의 장형, 단형의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Special Feature of the Elongated and the Stunted Forms in the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 최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1965
  • The short-necked clam is distributed widely in Korean tidal flats and it is a much an important bivalve quantitatively as to control the production of the tidal flat. The shell of this clam tends to show remarkable morphological variations depending on the habitat. Under a seemingly favorable condition for the growth , the color pattern of shell of the clam is clear and obvious and having less weight and elongated shape, the ratios of shell length to both height and width are small . On the contrary , when the environment appears to be an unfavorable one, the shell is found to be heavy and stunted with smudgy color pattern. If this correlation between could be a basis for the judgement in suitability of growth environment for the clam. In the Ikawazu Bay, Japan, it is revealed that the elongated shell is produced from the coast outside of the Bay (1) , the stunted from the esturay (2) and the intermediate from the floodgate area (3) and the middle of the Bay (4).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laim in this Bay. 1.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the largest shell rib length is linear and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the shell width is also linear but with a critical point at the shell length of 17-20 mm. The ratio between the width and the largest rib length at a given shell length increases with the order of 1, 3, 4, and 2. 2. A gradual decreases of the ratio of the shell length to the largest rib length is observed when the former is less than 17-18 mm, and this ratio increases with the shell of longer. Also there is a different range of this ratio in each different location ; the greatest range in 2, the smallest in 1 and 4 being in between. 3. A similar biometric finding is apparent with the ratio betwe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hell and the order in value is 2, 4, 1 and 3. 4. The ratios between the length and the largest rib length of elongated and stunted shell are 0.84-0.86 and 0.89-0.92, respectively , and those between the length and width are 0.40-0.51 and 0.49-0.58, respectively. 5. Generally , the elongated short necked clam shells are products of the tidal flat of good circulation of sea water with high salinity and smaller fluctuation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within a day. The stunted shells are produced for tidal flats of opposite of above conditions.

  • PDF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 유공충의 안정동위원소 성분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Foraminifera of the Tidal Flat in the Gomso Bay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박병권;이광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87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곰소만 조간대의 현생 해양환경, 2종 (Elphidium etigoense와 Ammonia beccarii tepida)의 유공충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 성분비와의 관계, 그리 고 유공충 종간의 차이 등을 연구하였다. E. etigoense의 $\delta$/SUP 18/O값은 -1.11$\textperthousand$에 서 +0.61$\textperthousand$이고 $\delta$/SUP 13/C값은 -2.04$\textperthousand$에서 -1.40$\textperthousand$이다. 상부, 중부, 하부 조간대 사이의 차이는 없었으며 유공충 2종간에는 아주 낮은 측정값을 보여주는 시료 한 개를 제외하면 평균$\delta$/SUP 18/O 값의 차는 0.20%이고 평균 $\delta$/SUP 18/O값의 차는 1.63$\textperthousand$이 었다.

  • PDF

지형도, 해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 변화 추정 (Estimating the Variations of Tidal Flat Area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Satellite Images)

  • 강문성;박승우;김상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597-60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 해도,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아산만과 천수만 지구를 대상으로 방조제 축조 후 의 간석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지형도를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의 산정 결과는 아산만 지구와 천수 만 지구 모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이는 지형도의 제작시 항공사진 촬영시간의 조위를 감안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된다. 해도의 분석 결과, 아산만 지구와 천수만 지구의 방조제 준공후 연평균 간석지면적은 각각 22.2 ha/yr, 55.6 ha/yr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기 Landsat-5 TM 영상을 이용하여 무감독분휴의 ISODATA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방조제 축조후 간석지 면적은 아산만 지구가 21.33 ha/yr, 천수만 지구가 47.3 ha/yr의 증가를 보였다. 해도 분석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양상은 방조제 축조 후의 증가 비율이 축조 전의 증가 비율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방조제 축조 후의 위성영상 자료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추세는 해도에 의한 분석 결과 의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

  • 정상옥;조윤식;최윤석;정희도;송재희;한형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43-7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lph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lph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웨이블릿방법을 이용한 조위편차 성분의 중·장주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Tidal Residuals' Mid/Long-period Components Using a Wavelet Method)

  • 강주환;김양선;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00-206
    • /
    • 2013
  • 해역별 조위편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푸리에(Fourier)해석과 함께 웨이블릿(Wavelet)분석을 실시하였다. 푸리에 해석결과 조석관련성분은 단주기, 계절풍 성분은 중주기에 분포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웨이블릿 분석에서는 3시간 주기부터 8개월 이상 주기까지 주기별로 분리한 후 24시간 이내의 단주기, 1일~16일의 중주기 및 1개월 이상의 장주기로 구분하여 주기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24시간 이내 단주기 성분의 조위편차는 조석예측 오차에 기인하고 있으며 조차가 큰 서해안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태풍에 의한 주기성분은 대략 12시간 정도인 단주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일~16일 주기의 중주기 성분의 경우 서해안에서 동절기에 특히 활성화되고 있어 계절풍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순수한 해일고 성분은 중주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해역별로 뚜렷한 특성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모든 해역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장주기 성분은 평균해수면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Nutrients And Chlorophyll $\alpha$ Variations At A Fixed Station During The Red Tides In The Jinhae Bay

  • Yang, Dong-Beom;Hong, Gi-H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6
    • /
    • 1982
  • 12 or 25 hours continuous observations were made for the varia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alpha}$ with tidal cycle at a fixed station located at a mid-channel of the Masan Bay. High nitrat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t the time of low tides whereas high phosphate concentrations at the time of high tides. It is suggested that anoxic bottom waters could also be the possible source of high phosphates in the outer bay.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e nitrates in April and to the phosphates in June and August. The possible role of growth stimulators in causing the extensive blooms of red tide organisms is suggested.

  • PDF

Landsat을 이용한 담수호의 수질, 수리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a Water Quality and Tidal Flow of a Frehshwater Lake Using Landsat Images)

  • 장태일;박승우;김상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79-482
    • /
    • 2003
  • Landsat-TM images were applied for evaluat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flow and water quality at the Saemankeum areas. For supervised classifications, the results from hydrodynamic modeling and water quality data were compared to th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he satellite imag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uspended sediment, transparency, salinity,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showed a good relationship to the signature. Supervised classifications showed spatial variations of the water environments at the areas under co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e satellite imagery may be applied for the project areas with a reasonable degree of accuracy.

  • PDF

한강 하구역에서 섬모충류 군집의 조석 및 계절에 따른 변동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Ciliate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Han River Estuary)

  • 홍현표;송태윤;이인우;김경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77-95
    • /
    • 2009
  • Ciliate abundance and biomass were determined at three anchored stations in the Han River estuary trimonthly from May 2006 to February 2008. The total abundance of ciliates ranged from 0-13,853 cells $l^{-1}$ and biomass ranged from $0.00-73.98\;ugC\;l^{-1}$. Owing to the large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range 0.20-$27.2^{\circ}C$), ciliate abundance displayed marked seasonal variation, being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Tintinnids dominated the ciliate communities at station YC where suspended sediment was highest. Difference of ciliate biomass between ebb tide and flood tide were irregular. Seasonal variations of ciliate carbon biomass at each station were related to temperature, suspended sediment and chl.a, especially nano chl.a. Geographical variations of ciliate carbon biomass in each season were related to suspended sediment and salinity.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itudinal Wavenumber-4 Structure in the Equatorial Ionospheric Anomaly

  • Kim, E.;Jee, G.;Kim, Y.H.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35-346
    • /
    • 2008
  • Using the global total electron contents (TEC) measured by the TOPEX satellite from Aug. 1992 to Oct. 2005, we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the longitudinal wavenumber-4 (LW-4) structure in the equatorial anomaly (EA) crests with season, local time, and solar activity. Our study shows that the LW-4 structure in the EA crests ($5{\sim}20^{\circ}$ MLAT in both hemispheres) has clear four peaks at fixed longitude sectors during the daytime for both equinoxes and June solstice. In spite of being called a wavelike structure, however, the magnitudes and spatial intervals of the four peaks are far from being the same or regular. After sunset, the four-peak structure begins to move eastward with gradual weakening in its amplitude during equinoxes and this weakening proceeds much faster during June solstice. Interestingly, the longitudinal variations during December solstice do not show clear four-peak structure. All these features of the LW-4 structure are almost the same for both low and high solar activity conditions although the ion densities are greatly enhanced from low to high solar activities. With the irrelevancy of the magnetic activity in the LW-4, this implies that the large changes of the upper atmospheric ion densitie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ion-neutral interactions, have littl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LW-4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LW-4 is remarkably similar to that of the zonal component of wavenumber-3 diurnal tides at low latitudes, which implies that the lower atmospheric tidal forcing, transferred to the upper atmosphere, seems to have a dominant role in producing the LW-4 structure in the EA crests via the E-region dyna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