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adlike structur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Viscoelastic behavior of aqueous surfactant micellar solutions

  • Toshiyuki Shikata;Mamoru Shiokawa;Shyuji Itatani;Imai, Shin-ichiro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29-138
    • /
    • 2002
  • A cationic surfactant, cetyltrimethylammonium $\rho$-toluenesufonate (CTA$\rho$TS), forms long threadlike micelles in aqueous solution. The threadlike micelles make concentrated entanglement networks, so that the solution shows pronounced viscoelastic behavior as concentrated polymer systems do. However, a mechanism for a process responsible for the longest relaxation time of the threadlike micellar system is different from that of semi-dilute to concentrated polymer systems. The threadlike micellar system exhibits unique viscoelasticity described by a Maxwell model. The longest relaxation time of the threadlike micellar system is not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of CTA$\rho$TS, but changes with that of $\rho$-toluenesufonate ($\rho$$TS^{-}$) ions in the bulk aqueous phase supplied by adding sodium $\rho$-toluenesulfonate (NapTS). The rates of molecular motions in the threadlike micelles are not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rho$$TS^{-}$ anions, therefore, molecular motions in the threadlike micelles (micro-dynamics) are independent of the longest relaxation mechanism (macro-dynamics). A nonionic surfactant, oleyldimethylamineoxide (ODAO), forms long threadlike micelles in aqueous solution without any additives. The aqueous threadlike micellar system of ODAO also shows Maxwell type viscoelastic behavior. However, the relaxation mechanism for the longest relaxation process in the system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in the threadlike micellar systems of CTA$\rho$TS, since the system of ODAO does not contain additive anions. Because increase in the average degree of protonation of head groups of ODAO molecules in micelles due to adding hydrogen bromide causes the relaxation time remarkably longer, changes in micro-structure and micro-dynamics in the threadlike micelle are closely related to macro-dynamics in contrast with the threadlike micellar system of CTA$\rho$TS.

In-Situ Observation of New Ex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 of Mouse Using a Fluorescence Stereoscopic Microscope

  • Sung, Baeck-Kyoung;Lee, Ja-Woong;Lee, Byung-Cheon;Johng, Hyun-Min;Baik, Ku-Youn;Nam, Tae-Jeong;Park, Dae-Hun;Soh, Kyeong-Sun;Soh, Kwang-Sup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3-76
    • /
    • 2004
  • We report the new threadlike structures outside the blood vessels of mice. For this, we developed an in-situ searching method of the structure by vital staining with the dye of acridine orange and using a fluorescent stereomicroscope design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We consider that the newly found threadlike structure might be rediscovery of the extra-vascular Bonghan duct which was reported in 1963 by Bonghan Kim.

흰쥐 혈관 내에 존재하는 봉한관의 호은성 섬유 (Argyrophilic Fibers of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in Rat)

  • 이병천;남태정;정현민;박은성;백구연;성백경;소경순;윤여성;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6
    • /
    • 2008
  • Objective: We took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from rat aortas to investigate their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the intravascular Bonghan duct. Methods: Gomori s silver impregnation method, in addition to routin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as applied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Results: These two staining methods clearly showed that the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had unique features of argyrophilic reticular fibers and heavily stained oval or rod-shaped nuclei in them. Conclusion: The results are strong evidences for identifying threadlike structure as the intravascular Bonghan duct.

형광염색을 이용한 혈관내봉한관의 관찰 (Fluorescent Method for Observing Intravascular Bonghan Duct)

  • 이병천;백구연;정현민;성백경;소경순;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9
    • /
    • 2005
  • 미분간섭현미경법과 아크리딘-오렌지(acridine-orange) 형광 염색을 이용하여 쥐 혈관 내의 실 모양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공초점현미경법과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해 피브린, 모세혈관, 소정맥, 소동맥 혹은 림프관의 핵 분포와 뚜렷이 구별되는 혈관 내 실 모양 구조물의 핵 분포 패턴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 실 모양 구조물의 생리적 기능을 침술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이 실 모양 관을 통한 약물의 흐름이 약침의 기전에 해당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하였다.

경락추적을 위한 피내 알시안 블루 주입방법 (Intradermal Alcian-Blue Injection Method to Trace Acupuncture Meridians)

  • 성백경;김민수;오가이;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2
    • /
    • 2008
  • 목적 : 본 논문에서는 경락을 추적하기 위한 피내(皮內)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염색 방법을 기술한다. 방법 : 1% 알시안 블루 용액을 31게이지 바늘이 달린 0.5mL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경혈 지점에 피내 주사한 후 실체 현미경하에서 수술,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조직을 레이저 공초점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알시안 블루로 염색되고 피하로 이어지는 실 모양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이 조직 내에서 특징적인 막대모양 핵 배열 및 $1-2{\mu}m$크기의 데옥시리보핵산 입자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혈 조직 내에서 풍부한 모세혈관총 및 말초신경 말단, 그리고 약 $300{\mu}m$크기의 소체형 구조물을 확인하였다. 결론 : 경혈 지점의 피내에서 발견된 특징적 실 모양 구조물 및 소체형 구조물은 각각 표층 봉한관 및 소체로 판단된다.

경락의 관점에서 본 근막 분리조직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83-194
    • /
    • 2006
  •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urface Film Formation in Static-Fermented Rice Vinegar: A Case Study

  • Yun, Jeong Hyun;Kim, Jae Ho;Lee, Jang-Eun
    • Mycobiology
    • /
    • 제47권2호
    • /
    • pp.250-255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cause of surface film formation in three rice vinegars fermented using the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method. The pH and total acidity of vinegar were 3.0-3.3 and 3.0-8.7%, respectively, and acetic acid was the predominant organic acid present. Colonies showing a clear halo on GYC medium were isolated from the surface film of all vinegars. Via 16S rDNA sequencing, all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cetobacter pasteurianus. Furthermore,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showed that the bacterial cells had a rough surface, were rod-shaped, and were ${\sim}1{\times}2{\mu}m$ in size. Interestingly, cells of the isolate from one of the vinegars were surrounded with an extremely fine threadlike structure.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formation of the surface film in rice vinegar was attributable not to external contamination, to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A. pasteurianus to withstand the high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However, because of the formation of a surface film in vinegar is undesirable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devising a modified fermentation process to prevent surface film formation and consequent quality degradation.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 화강암질(花崗巖質) 삼림토양(森林土壤)의 SEM과 TEM에 의한 관찰(觀察) (Submicroscopy of Forest Soils (kandiustults) Derived from Granite in Southern Part of Korea)

  • 조희두;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08-618
    • /
    • 2001
  • SEM이나 TEM에 의하여 토양의 풍화과정을 구명하는 것은 토양의 성질을 파악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남부지역 화강암질 삼림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과 초현미경적 특성을 파악하여 토양 형성 과정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O층과 E층에서 삼림 소동물의 적극적인 활동을 증명 해주고 있는 동물 배설물인 fecal pellets의 외부형태를 상세히 관찰 할 수 있는데, 외부형태는 spherical, ellipsoidal, cylindrical, platy, threadlike의 5가지로 알려져 있는데(Mermut, 1985) 본 연구에서 doughnutlike 형태가 발견되었다. 토양 미세립자(微細粒子)는 투수(透水)에 의하여 상부 A층에서 용탈(溶脫)되어 B층이나 BC층에서 집적(集積)하는데 B층이나 BC층에서 Ped 표면에 집적(集積)되어 있는 cutan과 kaolinite가 퇴적(堆積)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고 cutan은 312cm나 되는 깊은 곳에서도 형성되고 있으며 이 cutan의 표면은 높은 배솔(倍率)로 관찰하여보니 fine silt, coarse clay, fine clay로 구성되고 있으며 rod-like halloysite를 관찰할 수 있다. Fine clay에서 TEM에 의해서 halloysite를 관찰할 수 있는데 halloysite는 장석(長石)에서 풍화 생성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화강암에서 유래된 ferruginous chlorites에서도 생성되는 사실이 Cho와 Mermut(1992a, b)에 의하여 보고된바 있지만 Jackson(1962)에 의하여 kaolin의 풍화과정이 추론되고 Wada와 Kakuto(1983a, b)에 의하여 우리나라 Alfisols와 Ultisols에서 intergradient vermiculite-kaolin mineral의 생성과정이 추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많은 양의 halloysite가 ferruginous chlorite에서 풍화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차광물(一次鑛物)인 chlorites의 구성원소(構成元素)인 Fe가 풍화 과정에서 Iron oxides가 형성되어 토양을 붉은색을 띄게 하여 주는데 Bt층에서 ferruginous chlorites가 exfoliation이 생기며 1층(層)의 가장자리에 Iron oxides가 결품집합(結品集合)된 형태로 관찰(SEM)되었으며 fine clay에서 Hematite와 Goethite을 관찰(TEM)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