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otomy pain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s of Ulinastatin on Postoperative Blood Loss and Hemostasis in Atrioventricular Valve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 Park, Jae Bum;Kim, Seong Hyop;Lee, Song Am;Chung, Jin Woo;Kim, Jun Seok;Chee, Hyun Ke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185-191
    • /
    • 2013
  • Background: Cardiopulmonary bypass (CPB) induces variable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s associated with major organ dysfunction via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PMNs). Ulinastatin, a urinary trypsin inhibitor, inhibits PMN activity and reduce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ulinastatin on postoperative blood loss and laboratory changes in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February 2009, 110 patients who underwent atrioventricular valve surgery through right thoracotom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received either 5,000 U/kg ulinastatin (ulinastatin group, n=41) or the equivalent volume of normal saline (control group, n=69) before aortic cross clamping. The primary end points were early coagulation profile changes, postoperative blood loss,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duration of intubation and intensive care unit sta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arly coagulation profile, other perioperative laboratory data, and postoperative blood loss with transfusion requirement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ulinastatin during operation did not improve the early coagulation profile, postoperative blood loss, or transfusion requirements of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In addition, no significant effect of ulinastatin was observed in major organs dysfunction,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s, or other postoperative profiles.

흉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흉강경하 흉추간판 절제술 (Thoracoscopic Discectomy of the Herniated Thoracic Discs)

  • 이상호;임상락;이호연;전상협;한영미;정병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577-1583
    • /
    • 2000
  • Objectives : Among the various types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ies, thoracoscopic surgery is becoming more widely accepted and increasingly utilized. This report delineates our clinical experience using thoracoscopy to resect herniated thoracic discs in 16 patients who suffered from myelopathy or intolerable radiculopathy. Patients and Methods : Between Mar. 1997 and Sep. 1999, 16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thoracoscopic discectomy for treatment of herniated thoracic discs. There were 12 men and 4 women(mean age 43.5 years ; range 18-61 years). Eleven patients presented with myelopathic signs and symptoms from spinal cord compression and 5 patients had incapacitating thoracic radicular pain without myelopathy. The surgical level was varied between T3 and T12. The pathology of specimen were 11 hard discs and 5 soft discs herniations. Thoracoscopic techniques were performed with long narrow spine instruments and high speed drill through 3 or 4 ports under one lung ventilated general anesthesia. During the operation three patients were converted to open thoracotomy due to intolerable one lung ventilation, excessive bleeding and inadequate operation field.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64min.(range : 100-420min.), and postoperative mean admission period was 11 days. Results : Clinical and neurological outcomes were good in all patients(mean follow-up period 20 months). Among the eleven myelopathic patients, 8 improved neurologically, and 3 stabilized. Among the five radiculopathic patients, 4 recovered completely and no patient had worsen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pleural effusion in one case, intercostal neuralgia in one, delayed hemopneumothorax in one, prolonged air leakage in one and pneumonia in one case. Conclusions : Thoracoscopic discectomy needs a steep learning curve to be familiar to anatomical space and handling of endoscopic instruments. However, it is technically feasible and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 acceptable results.

  • PDF

식도암의 외과적 요법에대한 임상적 고찰 (Surgical Results of Esophageal Cancer)

  • 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2호
    • /
    • pp.1530-1536
    • /
    • 1992
  •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91, One hundred sixty five patients with carcinomoa of the esophagus were treated surgicall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hospital records were available in 121 patients an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115 men and 6 women, with ages ranging from 40 years to 79 years[mean age of 59.2 years]. The most frequent preoperative symptoms included dysphagia[72.7%], weight loss[60.3%], chest pain or discomfort[14.9%], general malaise[13.2%]. All were treated surgically: 100 patients were managed by curative or palliative resection with reconstruction, and 6 by palliative bypass surgery. In 15 patients, explorative thoracotomy or laparotomy was only done due to unresectability. [operability: 87.6%, resectability: 82.6%] All specimens[those from resectable 100 cases] were sent to patholog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s were done; squamous cell carcinomas were found in 95 cases, adenocarcinoma in l. Adenosquamous carcinomas were found in 3, and malignant melanoma in 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4 cases; anastomotic site leakage[10], which was followed by empyema in 9 of them, wound problem[7], hepatic failure[6], pneumonia [3], post-operative bleeding[3], chylothorax[2], post-operative stricture[2], sepsis[1], and tracheobronchial fistula[1]. Hospital deaths were in 6 cases[Hospital mortality: 5.0%]. During the follow up period, 26 patients were proven to be recurrence of cancer locally or distantly. The one, two, and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f.es were 71.3$\pm$4.5%, 57.4$\pm$5.6%, 34.7$\pm$8.9%, respectively. The data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esophagectomy with reconstruction of gastrointestinal tract could be performed with a low operative mortality and a few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chieved reasonable long term palliation for carcinoma of the esophagus.

  • PDF

흉부 자궁내막증에 의한 자연 기흉 - 1예 보고 - (Spontaneous Pneumothorax associated with Thoracic Endometriosis - Report of a case-)

  • 조정수;김영삼;김정택;백완기;이경희;김루시아;김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518-521
    • /
    • 2005
  • 흉부 자궁내막증에 의한 기흉은 드문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월경과 연관되어 재발하여 발생하는 경우 월경성 기흉(Catamenial pneumothorax)으로 명명된다. 발생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단순 폐기포의 파열, 장측 늑막에 형성된 자궁내막조직에 의하여 발생된 경우, 횡격막에 형성된 자궁내막조직에 의한 횡격막결손부위를 통한 공기의 이동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전형적인 월경성 기흉은 주로 30-40대 여성에서 월경 후 48-72시간 안에 발생하며 편측성으로 우측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저자들은 양측 성으로 발생한 자발성 기흉 환자에서 시행한 개흉술로 절제된 폐의 병리조직검사 소견상 '자궁내막증(endometriosis)'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수술적 처치가 필요했던 식도이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Surgical Treatment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y (10 cases report))

  • 황의두;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17-1120
    • /
    • 1997
  • 충남대학교병원에서 1980년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경험한 식도이물 10례를 수술 치료하였다. 나이는 25 세에서 71세로, 평균 나이는 45.3세였고 남녀의 비는 6:4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연하곤란, 발열, 이물감, 경부 동통이였다. 이물질은 생선뼈 3례였고, 거품 약포장지가 2례였고, 맥주병 마개,욕조 물마개, 깨진 사발 조각, 닭고기, 콩이 각각 1례였다. 진단은 수용성 식도 조영제와 식도 내시경을 이용하였다. 10례중 2례에서는 과거에 가성소다 섭취로 인해 식도 협착이 있었다. 1례에서는 정신과적 문제가 있었다. 식도이물은 모두 수술적 처치로 제거하였다 5례에서는 경부식도절게술을 시행하였고 1례는 우측 개흉술 을, 1례는 개복하여 위를 통해 위관을 역류성으로 통과 제거하였으며, 2례는 경부농양이 있어 절개후 배농하 였다. 3례는 수술 후 누출이 있었으나 수술치료없이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었으며,1례는 일시적인 애성이 있 었다. 1례는 외상성 기흉이 발생하여 폐쇄적 홉관 삽관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사망자는 없었다.

  • PDF

종격동 종양 및 낭종 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50 Cases Analysis])

  • 조순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849-854
    • /
    • 1985
  • We have experienced 50 cases of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from March, 1979 to August, 1985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cases analysis were as followings; 1. Of all 50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26 patients were male and 24 patients were female. There was no sex preference.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27 months to 64 years, and mean age was 33.5 years old, and also no age preference. 2. The most common mediastinal tumor was benign cysts [12 cases], which comprise 24% of all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The second common mediastinal tumor was teratoma [9 cases-18%], and followed by thymic tumors and tuberculous granuloma [7 cases-14% each], neurogenic tumors [5 cases-10%], and other tumors [10 cases-20%]. 3. The anterior mediastinum was most common tumor location, and followed by middle, superior, and posterior. 4. All 9 teratomas were developed at anterior mediastinum, and 4 of 5 neurogenic tumors were developed at posterior mediastinum. Thymomas were developed at anterior and superior mediastinum. The bronchogenic cysts had no predilection of location. 5.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 at admission was chest pain or discomfort [23 cases-46%], and followed by cough with or without sputum, and exertional dyspnea. Asymptomatic patients were only 7 patients [24%]. 6. Of all 50 cases, 38 cases [76%] received radical tumor resection, 7 mediastinoscopic biopsy, 3 explo thoracotomy and biopsy, and 1 neck mass biopsy. 7. There were 2 hospital deaths, one of which was a patient who suffered malignant thymoma and Myasthenia Gravis. The patient received radical tumor excision, but died at 7th POD. The other patient was a patient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benign cystic teratoma. The operative mortality was 4%.

  • PDF

좌심실 보조장치를 이용한 전격성 심근염의 치료 - 1례 보고 - (Management of Acute Fulminant Myocarditis Using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 A case report -)

  • 강신광;박상순;나명훈;유재현;임승평;이영;성인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90-493
    • /
    • 2001
  • 17세 여자 고등학교 학생이 전흉부 동통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약물 치료와 대동맥내 풍선 펌프에도 불구하고 폐부종과 순환 허탈이 악화되었다. 급성 전격성 심근염 추정 진단 하에 좌심실 보조장치를 설치하였다. 유입구 도관은 유방하 좌전개흉술로 좌심이를 통하여 좌심방에 삽입하였고, 좌심이의 일부를 조직검사를 위해 떼어냈다. 유출구 도관은 좌측 대퇴 동맥에 PTFE도관을 간치시켜 삽입하였다. 체외순환 158시간 후 심초음파에서 좌심실의 운동성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좌심실 보조장치를 성공적으로 이탈할 수 있었다. 면역화학 검사와 중화 항체 검사에서 콕사키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환자는 입원 23일 째 아무런 심부전 증상없이 퇴원하였다.

  • PDF

흉막에 발생한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 1예 보고 (Malignant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Pleura A case report)

  • 박승일;양경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85-1391
    • /
    • 1996
  •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은 과거 중피종의 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중피종과 흔돈하여 쓰여 왔으나 최근에는 중피하에 존재하는 미분화 중배엽성 기원의 섬유세포에서 기원하고 있는 종양으로 해석된다. 환자는 65세 여자로 우측흉통과기침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본원에 입원하여 흉부 방사선 및 전산화 단층 촬영상 우측 흉강내에 고형성 종괴가 발견되었다. 수술소견상 종괴의 크기와 무게는 12$\times$12$\times$6mm, 400mm 이었으며, 폐 실질내로 침윤하였고 세기관지 내강을 따라 성장한 부분이 관찰되었다. 또한 종괴는 횡경막과 벽측 흉막 및 폐실질에 다발성으로 전이 되어 있었다. 병리학적으로, 종괴는 세포밀도가 높았고, 판상배열을 보이는 등글거나 난원형 또는 짧은 방추형의 세포로 이루어졌으며, 10배의 고배율 시야에서 3개의 유사분열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vimentin과 actin에 미만성 강양성 반응을 보였고 전자현미경적으로 조면 세포질내세망이 풍부하며 세포접합부나 미세응모는 관찰되지 않아서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에 합당하였다. 본 교실에서는 흉막에 발생한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종격동 병변의 진단 및 치료와 비디오 흉강경의 역할 -흉강경에 의한 종격동 병변 진단 치료- (The Role o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in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 of a Mediastinal Mass)

  • 백효채;박한기;배기만;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69-776
    • /
    • 1996
  • 흉강경 수술은 흥강의 모든 부위를 자세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예측하지 않았던 부위 에서도 종격동 종양을 발견할 수 있으며 병변의 여러 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함으로서 정확한 진단을 얻을 수 있을뿐 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종괴의 완전 절제를 시행할 수 있다. 비디오 흥강경 수술은 종격동 종양의 진단시 에 특별한 이병율 및 사망율 없이 환자의 92 %에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종격동 종양 절제 또는 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환자중 기록을 검토할 수 있었던 113명을 대상으로 개흥 또는 정중 홍골절개를 통하여 수술을 시행한 군(group A)과 비디오 흥강경으로 수술을 시행한 군(group B)으로 구분하여 수술시간, 통증의 정도, 흥관제거 시기, 퇴원일자 등을 비교하였다. 또 림프절생검을 비디오흥강경으로 수술한 군 (group C)과 전종격절개술을 통하여 시 행한 군(group D)의 합병증 및 진단율을 검토하였다. Group A는 38명으로 남자 18명, 여자 20명 이었으며 나이는 2개월에서 67세까지로 평균 36.2세였고 Group B는 36명으로 남자 20명, 여자 16명 이 었으며 \ulcorner이는 7개월에서 81세로 평균 41.3세 였다 Group A의 수술시간은 75분에서 440분으로 평균 164분이었으며 통증의 정도는 수술후 투여한 근육 주사의 횟수로 비교하였을 때 0회에서 15회까지로 평균 3.4회 투여하였다. 흥관의 제거는수술후2일부 터 11일까지로 평균 5.2일만에 제거하였으며 퇴원은 5일에서 37일로 평균 11.3일이었다. Group B의 수 술시간은 60분에서 255분으로 평균 152분이었으며 통증의 정도는0회에서 13회까지로 평균2회 투여하 였고 흥관의 제거는 1일부터 16일까지로 평균 4.7일만에 제거하였으며 퇴원은 2일에서 27일로 평균 8.3 일만에 퇴원하여 두 군간에 퇴원일자가 P value 0.03으로 의의 있게 흥강경으로 수술한 군에서 짧았다. Group C는 평균연령 45.8세, 수술시간 105분, 통증제거 3.2회, 흥관삽관 6.1일이 었으며 진단율은 81.8 % 였고 group D는 평균연령 53.3세, 수술시간 121분, 통증제거 2.6회, 흥관삽관 10.5일이었으며 진단율 은 100%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Group A는 수술중 혈액 량감소성쇽과 심장마비가 각각 1예씩 있었으나 회 복이 되었고수술후농흥과출혈이 각각 1예씩, 일시적 호흡정지 1예, 흉관 7일 이상유지가)예 있었다. Group B에서는 성Til마비와 흥관 7일 이상 유지가 각각 2예씩 있었으며 Horner's 증후군과 brachial neuropathy가 각각 1예씩 있었다. 본 저자들은 비디오 흥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의 제거를 비교적 안전하게 하였으며 입원기간도 짧 고 수술과 관련된 이병율 및 사망율도 적어 환자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비디오 흥강경수술이 종격동종 괴 절제시 에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의 비교 (Comparison of Conventional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and Modified Transaxillary Minithoracotomy with Thoracoscopy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미경;류대웅;이삼윤;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71-376
    • /
    • 2005
  • 배경: 저자는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비디오흉강경하 쐐기절제술이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보다 우수한가를 결정할 목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을 보인 $14\~35$세 사이의 1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수술기법과 수술 접근법에 의해서 고식적인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군(A군: 80예)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을 이용한 군(B군: 80예)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후 늑막강 첨부의 찰과상과 탈크 도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수술시간, 수술 후 사용한 진통제의 사용일수, 수술 첫날 공기누출이 없는 수, 흉관 삽관일과 병원 입원일, 그리고 술 후 합병증, 추적기간 동안의 만성 흉통과 일상생활로 복귀할 때까지의 기간 그리고 또한 추적기간 동안에 수술동측에서의 재발을 평가하였다. 결과: 양 군사이에서 연구한 평가요소 중 어느 것에서도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고식적인 비디오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은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를 야기하였다. 합병증의 발생률도 낮고, 통각도 장기 추적동안에 받아들일 만 하였다. 따라서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 또한 가치 있는 대체수술 기법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