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otomy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7초

외엽형 폐격리증을 동반한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 -1례 보고-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ssociated with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1 case report-)

  • 전상협;김병준;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23-226
    • /
    • 1996
  • 선천성 낭종양 선종양 기형과 외엽형 폐격리증은 각각드문 질환으로 이 두가지 질환이 퐁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원에서는 출생 후 호흡시 흥벽 함몰과 빈호흡을 보인 생후 3주된 남아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우폐하엽의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기형을의심하여 개흥술을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 우폐하엽의 낭종성 병변 이외에 독립된 늑막에 둘러싸인채 비정상적인 혈류 공급을 받고 있는 종괴를 발견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으로 부터 공급되는 2개의 동맥 가지와기정맥으로 유입되는 정맥분지를 결찰한 후 우하엽절제술과 더불어 격리폐를 절제하였다. 병리검사로 상기 두질환의 동반례로확진 하였고 환자는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었다.

  • PDF

흉강절제술 후 통증모델에서 수술 전 늑간신경차단의 효과 (Effect of the Preoperative Intercostal Nerve Block in a Rat Model of Postthoracotomy Pain)

  • 박철호;김두환;이재도;김종욱;임정길;이청;신진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2호
    • /
    • pp.106-111
    • /
    • 2008
  • Background: Chronic pain after thoracotomy has been recently reproduced in a rat model that allow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otentially beneficial drugs that might reduce the incidence of allodynia or alleviate pain. Local anesthetics produce antinociception in normal animals and alleviate mechanical allodynia in animals with nerve injury although their mechanisms of action may differ in these situations. Ou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the preoperative intercostal nerve block of bupivacaine could prevent the development of allodynia in a rat model of chronic postthoracotomy pain. Methods: All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 right 4th and 5th ribs were exposed surgically. The pleura were opened between the ribs to which a retractor was placed and was opened 10 mm in width. Retraction was maintained for one hour. Total 1 mg of 0.5% bupivacaine was injected at the intercostal nerves before (n = 17) or after (n = 16) surgery. A control group (n = 25) that underwent rib retraction did not receive any drug. Rats were tested for mechanical allodynia using calibrated von Frey filaments applied around the incision site during the three weeks following surgery. Results: The incidence of development of mechanical allodynia in the group that received intercostal injection with bupivacaine before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 < 0.05). Conclusions: Preoperative intercostal nerves block around the surgical incision before thoracotomy may decrease the incidence of postthoracotomy pain syndrome.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김은규;양현웅;최형호;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13-517
    • /
    • 1998
  • 비디오 흉강경의 이용은 여러 흉부질환에서 개흉술을 대치해 나가는 경향이며, 오늘날 광범위한 적응증은 개흉술의 대치가 보다 안전하고 유용함을 보여준다. 본원에서는 1993년 6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해 치료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진단명을 보면 재발성 기흉이 16례, 엑스레이상 기포가 보이는 경우가 6례, 7일 이상 공기유출이 지속되는 경우가 4례, 양측성 기흉이 3례, 다한증 2례, 반대측 기흉의 과거력이 1례, 원발성 혈기흉 1례 순이었다. 이들의 평균 흉관 삽관 기간은 2.1$\pm$0.4일 이었으며, 재원 기간은 3.4$\pm$0.6일 이었으며 합병증은 48시간이상 자속된 공기유출이 3례에서 있었다. 이상과 같이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수술은 안전하고, 통증이 적으며, 짧은 재원 기간을 보여준다.

  • PDF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다한증의 교감신경 절제술 (Thoracoscopic Sympathectomy in Hyperhidrosis)

  • 성숙환;임청;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7호
    • /
    • pp.684-688
    • /
    • 1995
  • Hyperhidrosis, one of the abnormaliti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been treated with dermatologic principles or thoracic sympathectomy via conventional axillary thoracotomy or dorsal spinal approach. But these techniques were rather ineffective or invasive. Recently, VATS is widely applied in thoracic surgical area, and hyperhidrosis is not the exception of these cases.From May 1993 to August 1994, 30 patients with bilateral palmar hyperhidrosis underwent bilateral thoracic [T2, T3 sympathectomy with thoracoscopic surge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20 men and 10 women and the mean age was 23.0 years.Mean operating time was 115 min and there was no thoracotomy conversion. 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esthetic overdose in 1, Horner`s syndrome in 1, and small amount of residual pneumothorax in 6. Me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2.3 days [range from 1 to 4 days and postoperative analgesics were required in 17 cases with a single dose.Sweating amount was measured in 12 patients, showing significantly decreased amount from 284.5 mg preoperatively to 18.9 mg postoperatively in 5 minutes [p=0.004 .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mean 6 months follow up. Twenty two patients [73.3 % complained moderate compensatory hyperhidrosis on the trunk.In conclusion, all patients were greatly satisfied with those results including no more palmar sweating, less pain, better cosmetics, short hospital stay. In addition, recent use of sweating amount measurement and intraoperative temperature monitoring could make this technique more accurate, so we easily applied thoracoscopic sympathectomy with minimal risk.

  • PDF

외상성 횡격막 파열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s)

  • 조재민;김은기;이종국;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57-1262
    • /
    • 1996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9년 1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외상성 횡격막 파열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5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성비는 4:1이였다. 연령 분포는 2세부터 80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37세 였다. 외상의 종류로는 둔상이 39례였고 관통상이 11례로서, 둔상인 경우 교통사고가 29례, 추락사고 7례, 경운기 사고가 3례였으며, 관통상인 경우에는 자상 9례, 총상 1례, 유리에 찔린 경우가 1례 였다. 가장 빈번한 증상은 호흡곤란, 흉통 및 복통이었고, 파열 부위는 둔상인 경우 좌측이 30례, 우측이 9례였으며, 관통상인 경우에는 좌측이 8례, 우측이 3례였다. 수술 접근 방법은 18례에서 개흉술을 시행하였고 3례는 개흉 및 개복술을, 29례는 개복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15례로서 둔상인 경우에는 창상 감염이 5례, 호흡 부전이 3례 ,수흉 및 장폐쇄가 각각 2례였으며 농흉, 신부전 및 패혈증이 각각 1례였다. 관통상인 경우는 창상 감염이 2례, 농흉이 1례였다. 사망은 3례로서 사망 원인은 패혈성 쇼크, 뇌손상 및 호흡 부전이 각각 1례였다.

  • PDF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 형성 저하증으로 인한 종격동의 우측 편위가 심한 환자에서의 승모판막 성형술 - 1예 보고 - (Mitral Valve Repair in Patient with Severe Mediastinal Shift to Right due to Pulmonary Hypoplasia - A case report -)

  • 석양기;김규태;조준용;김근직;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60-62
    • /
    • 2007
  • 폐 형성 저하증은 폐 무발생의 한 분류이다. 폐 무발생은 대부분 출생시 진단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심혈관계 기형과 같은 다른 기형이 흔히 동반된다. 소아기에 사망할 수도 있지만,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수술 전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종격동의 심한 우측 편위와 우측 폐 실질의 허탈이 관찰되었던 폐 형성 저하증이 있는 젊은 여자에서 우측 측방 개흉술을 통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tabilization of Rib Fractures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Chae-Min Bae;Shin-Ah Son;Yong Jik Lee;Sang Cjeol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2호
    • /
    • pp.120-125
    • /
    • 2023
  • Background: Multiple rib fractures are common in blunt chest trauma. Until recently, most surgical rib fixations for multiple rib fractures were performed via open thoracotomy. However, due to the invasive nature of tissue dissection and the resulting large wound, an alternative endoscopic approach has emerged that minimiz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aused by the manipulation of injured tissue and lung during an open thoracotomy. Methods: Our study concentrated on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stabilization of rib fractures (SSRF) between June 2018 and May 2020. We found 27 patients who underwent SSRF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The study design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patients' charts and surgical records. Results: No intraoperative events or procedure-related deaths occurred. Implant-related irritation occurred in 4 patients, and 1 death resulted from concomitant trauma. The average hospital stay was 30.2±20.1 days, and ventilators were used for 12 of the 22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major pulmonary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rib stabilization surgery with the assistance of a thoracoscope is expected to become more widely used in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This method will also assist patients in a quick recovery.

Penetrating chest trauma from a "less lethal" bean bag in the United States: a case report

  • Gloria Sanin;Gabriel Cambronero;Megan E. Lundy;William T. Terzian;Martin D. Avery;Samuel P. Carmichael II;Maggie Bosley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421-424
    • /
    • 2023
  • This case report presents the case of a 49-year-old man who presented to our level I trauma center after sustaining injuries in an altercation with local law enforcement in which he was shot with a less lethal bean bag and tased. In a primary survey, a penetrating left supraclavicular wound was noted in addition to a taser dart lodged in his flank. No other traumatic findings were noted in a secondary survey. Given hemodynamic stability, completion imaging was obtained, revealing a foreign body in the left lung, a left open clavicle fracture, a C5 tubercle fracture, a possible grade I left vertebral injury, and a left first rib fracture. Soft tissue gas was seen around the left subclavian and axillary arteries, although no definitive arterial injury was identified. The bean bag projectile was embedded in the parenchyma of the left lung on cross-sectional imaging. The patient underwent thoracotomy for removal of the projectile and hemostasis. A thoracotomy was chosen as the operative approach due to concerns about significant bleeding upon foreign body removal. A chest tube was placed and subsequently removed on postoperative day 5.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day 7. At a 2-week outpatient follow-up visit, the patient was doing well. This case report is the first to describe this outcome for a drag-stabilized bean bag. Although law enforcement officers utilize bean bag projectiles as a "less lethal" means of crowd control and protection, these ballistics pose significant risk and can result in serious injury.

우측 개흉술을 이용한 한국형 인공심장(AnyHeart)의 이식기법 (Surgical Technique for Korean Artificial Heart(AnyHeart) Implantation Using a Right Thoracotomy Approach)

  • 손호성;선경;신재승;이성호;정재승;이혜원;김광택;김승철;원용순;민병구;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29-335
    • /
    • 2002
  • 배경: 한국형 인공심장(AnyHeartTM)은 단심보조장치, 체네 이식형 양심보조장치, 인공심장, 그리고 생명 유지를 위한 체외순환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한 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체내 이식형 양심보조장치는 가장 독특한 형태이다. 양심보초장치 이식의 외과적 술기는 주로 삽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흉골 정중절개는 외과의사가 심장의 노출을 충분히 할 수 있어서 가장 선호되어 온 방법이다. 그러나 환자가 흉골 정중절개를 이미 시행 받은 경우나, 또는 차후에 환자 대부분이 흉골 정중절개가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재개흉에 따른 합병증은 양심보조장치 이식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일반적인 심장 수술의 임상경험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양심보조장치 이식에 있어서, 도관의 상관을 위한 접근이 심장의 우측에서도 가능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동물실험에서 양심보조장치의 이식을 위한 우측 개흉술의 수술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지난 2년 동안, 30차례의 AnyHeart$^{TM}$ 이식실험 중 16례가(11 calves, 3 canines, and 2 sheep) 우측 개흉술로 이루어졌다. 기계장치는 14례의 동물에서 체내 이식형 양심보조장치로 시술 되었으며, 체외형 양심보조장치와 체내 이식형 좌심실보조장치로 시술된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다. 수술은 4번째 늑간를 통하여 우측 흉강으로 진입하였고, 양심보조장치의 경우에 우측 유입 도관은 우심방의 free wall에 삽관 하였고, 유춘도관은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주폐동맥애 측단 문합하였다. 좌측 유입도관은 심방격을 통하여 좌심방에 삽관하였고, 유출도관을 무명동맥에 인조현관을 이장하여 측단 문한하였다. 각각의 도관은 피하터널을 통해 우측 옆구리에 위치한 펌프와 연결하였다. 결과: Fitting test와 초기 실험의 5례를 제외하고 모든 실험 동물은 수술 후 회복되었다. 펌프의 유출량은 최고 6.5L/min였고, 평균 3~3.5L/min로 측정되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이나 이환율은 없었다. 모든 실험 도물은 부검을 하였으며, 부검 결과 도관이 위치는 모두 각각의 심방내에 적절하게 위치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