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ophanate-methy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초

벼 종자소독시 수온 처리시간 및 약량이 벼 키다리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soaking period, and chemical dosage on Bakanae disease of rice (Gibberella fujikuroi) in seed disinfection)

  • 박흥규;신해룡;이인;김석언;권오도;박인진;국용인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6-222
    • /
    • 2003
  • 벼 육묘기간 중에 발생되는 벼 키다리병의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최근에 육성된 벼 품종별 발병 정도와 시판되는 종자소독제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종자소독시 약액의 온도, 처리시간 및 약량에 따른 벼 키다리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품종별 벼 키다리병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화영벼, 동진벼, 호안벼, 농호벼, 남평벼, 호진벼 6 품종이 저항성 품종으로, 그루벼, 소비벼, 오대벼, 주남벼, 삼천벼, 상주벼, 화봉벼 7 품종이 감수성 품종으로 분류되었다. 종자소독제별 벼 키다리병 방제효과에 있어서 prochloraz, fludioxonil, carpropamid+imidacloprid+fludioxonil 등은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으나 benomyl+thiram, thiophanatemethy+thiram, thiophanate-metyl+triflumizole등은 방제효과가 저조하였다. 종자소독당시 수온에 따른 벼 키다리병 방제가는 $10^{\circ}C$에서는 61% 이었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상승하여 $30\sim35^{\circ}C$에서는 벼 키다리병을 $95\sim98%$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자소독시간과 약량은 벼 키다리병 방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저항성이 강한 벼 품종과 효과가 우수한 종자 소독제 선정 그리고 종자소독시 적정수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enomyl에 저항성인 사과 겹무늬썩음병균의 교차 및 이중저항성 (Cross- and Double-Resistance of Benomyl-Resistant Botryosphaeria dothidea)

  • 이창은;박석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0-276
    • /
    • 1994
  • Mycelial growth resistant isolates of Botryosphaeria dothidea to benomyl showed 99~79% spore germination on the PSA media supplemented with 200~2,100 $\mu\textrm{g}$/ml of carbendazim and thiophanate-methyl to manifest the high cross-resistance in spore germination. Mycelial growth, 23~9 mm in colony diameter, also manifested the high cross-resistance of mycelial growth together with similarity of spore forming cross-resistance. Benomyl resistant isolates BR1, BR2 and BR3, grew 23~10 mm in colony diameter at 330~3,000 $\mu\textrm{g}$/ml of captafol, captan and oxine-copper showing the high double resistance of myceli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with minor difference. However, within concentration range of the 3 fungicides tested, germinations of all the tested isolates were completely suppressed to show no double-resistance in the fungal spore germination.

  • PDF

Chemical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in Korea

  • Shin, Gil-Ho;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162-165
    • /
    • 2000
  • Screening of effective fungicides, determination of effective fungicide application time and investigation of the emergence of resistant isolates to fungicid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effective chemical control strategy of gray blight of tea (Camellia sinensis) in Korea. Systemic fungicides, such as bitertanol, were effective for controlling gray blight when the fungicides were sprayed within 3 days after cutting tea leaves for harvest. Sprayed immediately after cutting, contact fungicides such as chlorothalonil were also effective, but control efficacy rapidly decreased with lengthening of the intervals between cutting and spraying. Korean isolates of P. longiseta and P. theae were still sensitive to bitertanol or fluazinam. However, the isolates highly insensitive to copper hydroxide or thiophanate-methyl have already emerged in Korea. Therefore,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se of fungicides and spraying program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in Korea.

  • PDF

소독제의 침지시간 및 희석농도가 수수 발아 및 오염율에 미치는 영향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Effect of Disinfectant Treatment on Sorghum Seeds)

  • 김경민;최세현;김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24-129
    • /
    • 2020
  • 본 연구는 수수 종자에 소독제를 이용하여 알맞은 종자 소독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종자소독 실험에 있어 희석액 200배 기준으로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SAP317과 BTx623 두 품종 모두 베노밀·티람수화제를 처리하지 않는 무처리와 소독제에 24시간 침지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무처리를 제외하고 약제소독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또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베노밀·티람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400배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BTx623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200배와 400배액에서 높았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과 BTx623 두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SAP317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무처리를 제외하고 모든 농도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Tx623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100배와 200배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 종자소독 시 활용가능한 기초자료를 정립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수종자의 발아율 향상 및 오염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베노밀·티람수화제와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소독제를 200배 희석하여 24시간 침지 하는 것이 수수 종자소독에 가장 효율적이었다.

농약사용 지표개발을 위한 과채류 농약사용실태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in fruit vegetables)

  • 오경석;임양빈;오홍규;이병무;경기성;김남숙;김백연;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6-73
    • /
    • 2003
  • 농약사용과 관련하여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환경영향 감소를 위한 농약사용 지표 개발에 활용하고자 고추, 딸기, 수박, 오이, 참외, 토마토 등을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0지역 20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과 채류 재배 환경 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채류 재배시 용도별 농약 사용량은 살균제 > 살충제 > 제초제 순으로 많았으며, 살균제의 사용이 약 $70\sim80%$를 차지하였다. 살균제의 주요 사용농약은 mancozeb, thiophanate-methyl, propineb 이었으며, 살충제는 imidacloprid, milbemectin, methomyl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농약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수화제, 유제 중심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은 고추 노지재배 (13.2 a.i.kg/ha), 오이 노지재배 (12.4 a.i.kg/ha), 참외 노지재배 (11.2 a.i.kg/ha) 등에서 많은 농약을 사용하였으나, 수박 시설하우스재배 (1.2 a.i.kg/ha), 참외 시설하우스재배 (2.2 a.i.kg/ha), 딸기 노지재배 (2.8 a.i.kg/ha) 등에서는 매우 작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농약사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농약에 대한 위해성을 경감하고, 농업환경의 보존을 반영시키는 정책개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린키위와 골드키위 과실무름병 예방약제의 적정 살포시기, 간격 및 횟수 (Optimal Spray Time, Interval and Number of Preventive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Fruit Rots of Green and Gold Kiwifruit Cultivars)

  • 김경희;이영선;정재성;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3
  • 그린키위 품종 'Hayward'와 골드키위 품종 'Hort16A'가 같은 과수원에서 나란히 재배되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에 있는 키위 재배농가 포장에서 2009년과 2010년 국내에서 키위 과실연부병(무름병)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인 베노밀 수화제 및 지오판 수화제와 키위 재배농가에서 관행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카벤다짐 디에토벤카브 수화제의 적정 살포시기, 살포간격 및 살포횟수를 조사하였다. 약제간 방제효과는 베노밀 수화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카벤다짐 디에토펜카브 수화제 순이었다. 개화 전부터 약제를 살포하는 것보다 수정 후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았으나 수정 후 약제살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방제효과는 낮아졌다. 약제살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방제효과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Hayward'와 'Hort16A' 모두에서 과실무름병 방제를 위한 예방약제의 적정 살포시기, 살포간격 및 살포횟수는 수정 후 2주일 간격 4회 처리로 판단된다.

여름잎마름병(Summer patch) 병원균에 대한 살균제의 억제효과 조사 (Investigation of Fungicides Inhibitory Effect of on Summer Patch Disease, Caused by Magnaporthiopsis poae, in Kentucky bluegrass)

  • 이정한;심규열;김정호;전창욱;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51-156
    • /
    • 2017
  • 국내 Kentucky bluegrass로 조성된 골프장이나 잔디 재배지에서 여름철에 여름잎마름병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잎마름병방제약제가 아직까지 등록되어있지 않아 병원균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형적인 여름잎마름병 병징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였고 ITS1과 ITS4 염기서열 분석으로 Magnaporthiopsis poae로 동정되었다. 잔디용으로 사용되는 10개의 약제를 대상으로 병원균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병원균 생장을 억제하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병원균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triazole계 약제 4종(metconazole, myclobutanil, propiconazole과 tebuconazole)의 병원균 억제효과는 10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thiophanate-methyl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strobilurin계의 약제인 azoxystrobin, pyraclostrobin과 trifloxystrobin 약제를 비교하였을 때는 pyraclostrobin 약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zoxystrobin과 trifloxystrobin 순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과 fluxapyroxad의 병원균 억제효과는 trifloxystrobin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olletotrichum acutatum ABC Transporter CaABC1

  • Kim, Suyoung;Park, Sook-Young;Kim, Hyejeong;Kim, Dongyoung;Lee, Seon-Woo;Kim, Heung Tae;Lee, Jong-Hwan;Choi, Woob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375-383
    • /
    • 2014
  • Fungi tolerate exposure to various abiotic stresses, including cytotoxic compounds and fungicides, via their ATP-driven efflux pumps belonging to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s. To clarify the molecular ba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fungus and various abiotic stresses including fungicides, we constructed a cDNA library from germinated conidia of Colletotrichum acutatum, a major anthracnose pathogen of pepper (Capsicum annum L.). Over 1,000 cDNA clones were sequenced, of which single clone exhibited significant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to ABC transporter genes. We isolated three fosmid clones containing the C. acutatum ABC1 (CaABC1) gene in full-length from genomic DNA library screening. The CaABC1 gene consists of 4,059 bp transcript, predicting a 1,353-aa protein. The gene contains the typical ABC signature and Walker A and B motifs. The 5'-flanking region contains a CAAT motif, a TATA box, and a Kozak region. Phylogenetic and structural analysis suggested that the CaABC1 is a typical ABC transporter gene highly conserved in various fungal species, as well as in Chromista, Metazoans, and Viridiplantae. We also found that CaABC1 was up-regulated during conidiation and a minimal medium condition. Moreover, CaABC1 was induced in iprobenfos, kresoxim-methyl, thiophanate-methyl, and hygromycin B.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aABC1 is necessary for conidiation, abiotic stress, and various fungicide resistanc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s for further study on the function of ABC transporter genes in C. acutatum.

단감원의 최근 농약 사용실태 (Current State of Pesticide Application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Korea)

  • 이동운;이상명;최병렬;박정규;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5-89
    • /
    • 2003
  • 단감원에서의 농약 사용 실태를 2000년(62농가)과 2001년(17농가)에 단감 주산지인 진주, 사천, 창원, 창녕, 김해 등지에서 단감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과 방제력 수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단감원의 년 평균 농약 살포 횟수는 2000년에 7.6회, 2001년에 7.7회였으며, 약제를 살포하는 농가의 비율은 일년 중에서 6월과 7월에 가장 높았다. 살포한 살균, 살충제의 종류는 2000년에는 각각 36종과 34종이었으며 2001년에는 각각 22종과 23종이었다. 최종 약제 살포시기는 9월 중순이 가장 많았다. 단감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살균제로는 2000년에는 mancozeb과 thiophanata-methyl, benomyl순이었으며, 2001년에는 lime sulfur와 benomyl, carbendazim순이었다. 살충제는 두 해 모두 deltamethrin, methidathion, fenitrothion순이었다. 사용한 약제가 단감이나 감에 고시되어있는 비율은 품목수 기준으로 50% 내외 이었다.

Efficacy of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in the Suppression of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the Causal Agents of Seed Decay in Soybean

  • Oh, Jeung-Haing;Kang, Nag-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16-220
    • /
    • 2002
  • Seed decay of soybean caused by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is a serious disease when soybean is harvested under warm and wet weather conditions. Benomyl has been used for controlling the disease, however, benomyl application may be limited due to common occurrence of resistance. The efficacy of 21 fungicides against the pathogens was evaluated in vitro. Among the fungicides tested, benomyl, carbendazim, fluazinam, iprodione+propineb, thiophanate-methyl,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 seed pathogens. Fluazinam complet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textrm{m}{\ell}$ for D. phaseolorum; and at a concentration of 500 $\mu\textrm{g}$/$\textrm{m}{\ell}$ for C. truncatum and C. kikuchii. $EC_90$ values of fluazinam were similar to that of benomyl. Because fluazinam, iprodione+propineb,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the seed pathogens, these were subjected for field-testing. Suppression of pod and seed infection by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was as high as that of benomyl without any reduction in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This study shows that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benomyl to control seed pathogens, manage resistance, and ensur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bean s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