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level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1초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on High-level Thinking

  • Kim, Dong-Ma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1-8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investigate the existing EPL education related studies and to collect the total effect size for the improvement of high-level thinking through meta-analysis and to confirm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o, we have objectively identified and generalized the practical effects of EPL education on the various elements of high-level thinking and high-level thinking.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1) EPL is a teaching-learning tool that greatly improves students' high-level thinking. 2) Education based EPL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and logical thinking among high-level thinking. 3) Kodu, App Inventor, Scratch, and Dolittle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igh-level thinking was great.

산술적 사고 수준의 분석 및 검사 도구 개발 (An Analysis on Level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and Development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 임미인;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5-598
    • /
    • 2017
  • 초등 수학의 주요 내용인 산술 지도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을 위해 산술적 사고의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산술적 사고 수준별 특징을 탐색하고 학생 개인의 산술적 사고 수준 판단을 위한 검사 도구를 마련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결과에 따라 산술적 사고 요소에 기초한 산술적 사고의 수준별 특징을 탐색하고, Guttman 척도를 따르는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산술적 사고는 산술적 사고 요소에 따라 특징이 상이한 4가지 수준으로 구별 가능하며, 그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는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 판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검사 도구의 적용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 수학에서 관계 수준(3수준) 및 적용 수준(4수준)을 위한 학습 경험을 더욱 풍부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Statistical Thinking Based on Survey Activities)

  • 김민경;김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207-227
    • /
    • 2011
  •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순간순간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사회구성원은 주어진 정보를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비판적 사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설문 조사 활동을 통해 설문 주제 및 설문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통계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해 자료의 수집, 자료의 기술, 자료의 조직과 요약, 자료의 그래프 표현, 자료의 해석과 분석 측면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습관적(Idiosyncratic) 사고 수준(1수준), 전이적(Transitional) 사고 수준(2수준), 양적 (Quantitative) 사고 수준(3수준), 분석적(Analytical) 사고 수준(4수준)의 4단계 중 2~4수준에 걸쳐 통계적 사고의 수준을 나타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 김경혜;김경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9-23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86 nursing students in D and M cities. Result: The average score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62.59 and self efficacy 88.91.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system. The self-efficacy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d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vel and self-efficacy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335, p<.000). Conclusion: A strategy for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s needed for nursing students.

  • PDF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 측정을 위한 Framework와 Rubric의 개발 (Development of Framework and Rubric for Measuring Students' Level of Systems Thinking)

  • 이효녕;전재돈;이현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5-36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을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시스템 사고 수준과 정의를 제시하고 둘째, 시스템 사고 정의와 수준에 근거하여 문항 개발을 위한 Framework을 개발하고 셋째,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열린 응답형 검사지를 채점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 틀을 적용하여 국외 논문 60편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을 근거로 시스템 사고 수준과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 수준과 정의에 근거하여 각 수준별 핵심 아이디어와 평가 요소를 포함한 Framework을 개발하였다. 또한 순위선다형 문항 외에 열린 응답형 검사 문항의 채점을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루브릭은 Hung(2008)이 개발한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루브릭에 기반하여 연구팀에서 시스템 사고 수준과 정의에 적합하도록 문항과 위계를 수정하였다. 그리고 각 문항마다 1~5점 척도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각 점수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 사고 수준과 정의, 문항 개발을 위한 Framework, 열린 응답형 검사지 채점을 위한 루브릭에 대하여 과학교육 전문가 7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 CVI가 세 도구에서 모두 .95이상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항에 대한 구인 타당도 및 준거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과 관련된 시스템 사고수준의 체계적인 측정을 위한 타당화 연구도 진행하고자 한다.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추론 능력 및 함수적 사고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unctional Thinking Based-Teaching on Algebraic Reasoning and Functional Thinking Level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은미;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55-676
    • /
    • 2016
  • 본 연구는 대수적 사고 중 하나인 함수적 사고에 기반 한 수학 수업이 6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추론 능력 및 함수적 사고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12차시의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에 비해 대수적 추론 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대수적 추론 능력의 하위요소인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적 추론 및 함수적 사고로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은 5가지 유형별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수준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 중 분류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분류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lassification problem solving of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Classified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category)

  • 이성현;한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2-107
    • /
    • 2011
  •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cience program, this category did not affect any troubleshooting analyzed. Thinking Science Program to buy for them in group activities by using one of the elements of a program of treatment and cognitive level effects were two kinds of research questions. 102, 5th grade four classes were involved, these two clas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Pre-test between the two groups is compared to the level and classif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but the skill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nking Science activity after application of classification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classified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higher. Thinking Science program is a treatment effect for each level of analysis, tests, regardless of cognitive level was more effective. Through theses findings, Thinking Science activities 5th grade category classif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nd these types of programs actively introduced in the field suggests that we need to see.

브랜드 위기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고방식, 자기감시성,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n the Brand Crisis Form toward a Brand Attitud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king Style, Self-monitoring, and Product Type)

  • 서경도
    • 산업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57-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derate effects of self monitoring and the ways of thinking on th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e effects of brand credibility and brand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the customer attitude holistic and analytic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customer attitude.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divided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into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research also divided product type into functional product and symbolic product. participants are classified as having Low or High self monitoring. and the ways of thinking divided into holistic and analytic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customer attitude.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hypothesis test: (1)the consumers with low(high) level of self moniter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negative information of corporate ability. (2)the consumers with analytic(holistic) ways of think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negative information of corporate ability. (3)the consumers with low(high) level of self moniter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functional product. (4)the consumers with analytic(holistic) ways of thinking aren't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functional(symbolic) product.

  • PDF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확률적 사고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ability Activities in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정;신애경;이상권;최미화;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87-793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와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확률적 사고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5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을 투입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투입 전에 SRT II와 확률적 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고, 투입 후에 확률적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확률 문제 해결에서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은 주관적 전략과 양적 전략을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전기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은 양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수준의 확률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확률적 사고의 형성을 인지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기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진아;김복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40-85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560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measured us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Results: The mean score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was 3.37 and 4.10 respectively on a 5 point scal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 regression model explained 72.8% of clinical competence. Prudence 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linical competence ($R^2=.728$). Conclusion: Study findings suggest that nurses with a high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ould have a higher level of clinical competence. Furthermore, prudence might b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clinical competence. In order to strengthen clinical competence in nurses,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should be emphasized at the college level and nurses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a clinical decision with greater pru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