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al vacuum

검색결과 1,509건 처리시간 0.031초

Thermal Conduction in Transparent Carbon Nanotube Films

  • Zhu, Lijing;Kim, Duck-Jong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1-201
    • /
    • 2012
  • Using material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the field of thermal management. In this study, we present our experimental results on an important physical property of carbon nanotube (CNT) films, two-dimensional thermal conductivity obtained by using an optical method based on Raman spectroscopy. We prepared four kinds of CNT fil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NT type on heat spreading performance of films. This first comparative study using the optical method shows that the arc-discharg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yield the best heat spreading film. And we observed thermal conductivity values of CNT films with various transmittances and found that the Raman method works as long as the sample is a transparent film.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characterization of thermal conduction in transparent CNT films and could be an important step toward high-performance carbon-based heat spreading films.

  • PDF

위성에 탑재된 상변화물질 열제어장치 비행모델의 열진공시험 및 이를 통한 열해석 모델 보정 (Thermal Vacuum Test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Thermal Control Unit Loaded on the Satellite Flight Model and Thermal Model Correlation with Test Results)

  • 조연;김택영;서정기;장태성;박홍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0호
    • /
    • pp.729-737
    • /
    • 2022
  • 하반기에 발사 예정인 차세대소형위성2호(NEXTSat-2)에 탑재된 고상-액상 상변화물질 열제어장치(Phase Change Material Thermal Control Unit, PCMTCU)의 비행모델에 대한 위성 차원 열진공시험 결과로부터 융해-응고에 따른 작동과정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PCM의 상변화는 발열부품의 온도 안정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에서 계측된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타당한 정도의 정확도를 갖도록 PCMTCU의 열해석모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된 열해석모델로써 임무궤도의 정상 작동에 따른 PCMTCU의 주기적 온도변화를 예측하였으며, PCM의 액상분율로써 정량적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향후 임무궤도에서의 비행자료를 수신하여 PCMTCU의 우주 환경 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지역난방 적용 태양열시스템의 장기 열성능 분석 (Analysis of Long-term Thermal Performance of Solar Thermal System Connected to District Heating System)

  • 백남춘;신우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167-173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by simulation using TRNSYS as well as by experiment on the solar district heating system installed for the first time for the district heating system in Bundang. Simulation analysis using TRNSYS focused on the thermal behavior and long-term thermal efficiency of solar system. Experiment carried out for the reliability of simulation system. This solar system where the circuits of two different collectors, flat plate and vacuum tube collector, are connected in series by a collector heat exchanger, and the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ircuit varies. Therefore, these differences must be considered for the system's control. This system uses variable flow rate control in order to obtain always setting temperature of hot water by solar system. Specifically, this is a system that heats returning district heating water (DHW) at approximately $60^{\circ}C$ using a solar collector without a storage tank, up to the setting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85{\sim}95^{\circ}C$ To realize this, a flat plate collector and a vacuum tube collector are used as separate collector loops. The first heating is performed by a flat plate collector loop and the second by a vacuum tube collector loop. In a gross collector area basis, the mean system efficiency, for 4 years, of a flat plate collector is 33.4% and a vacuum tube collector is 41.2%. The yearly total collection energy is 2,342GJ and really collection energy per unit area ($m^2$) is 1.92GJ and 2.37GJ respectively for the flat plate vacuum tube collector. This result is very important on the share of each collector area in this type of solar district heating system.

KSTAR 진공용기의 베이킹시 열응력해석 (Thermal stress analysis of the KSTAR vacuum vessel during bake-outs)

  • 인상렬;윤병주;조승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5-292
    • /
    • 1998
  • KSTAR 토카막용 진공용기는 토러스형으로써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 작업할 수 있 는 큰 종단면을 갖고 있다. 이 용기는 불순물이 적은 깨끗한 플라즈마 발생을 위해 기저압 력이 초고진공이어야 하며 각종 플라즈마 대향부품을 포함해서 용기전체를 $350^{\circ}C$까지 베이 킹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진공용기의 형태가 삼차원적으로 복잡하고 토카막 가동중 용 기에 걸리는 다양한 임을 해소하기 위해 지지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일한 온도분포를 만들기 어려워서 베이킹시 큰 열응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에서는 진공용기의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만들기 어려워서 베이킹시 큰 열응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에서는 진공용기의 불균일한 온도분포와 지지구조의 구속조건에 따라 열응력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살펴보고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한다.

  • PDF

우주개발과 진공기술의 응용 (Space Business and Applications of Vacuum Technology)

  • 이상훈;서희준;유성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2008
  • 진공이란 공간의 기체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즉 분자밀도가 약 $2.5{\times}10^{19}$분자/$cm^3$ 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하며, 극청정환경 제공, 단열효과, 입자의 장거리 비행가능, 증발과 승화작용, 안정된 플라즈마를 유지, 생화학 반응 억제, 우주환경 제공 등의 특성으로 인해 오늘날 전 산업분야 및 과학기술 분야에 응용이 되고 있다. 우주환경은 이러한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위성체는 지상에서 발사되어 우주궤도에 진입한 순간부터는 계속해서 우주환경에 노출된다. 위성체가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에 노출될 경우 주요부품에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위성체는 지상에서 우주환경시험을 거쳐 기능 및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주환경을 모사 할 수 있는 우주환경 모사장비가 필요하다. 우주환경모사장비라 함은 우주환경의 주특징인 고진공상태와 극저온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지상장비를 말하며, 장비의 설계 및 제작에는 기본적으로 진공기술이 응용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인공위성의 개발에 필수 장비인 우주환경모사장치들을 소개하고, 최근 발달된 국내 진공기술로 국산화 제작에 성공한 유효제원 ${\varphi}8m{\times}L10\;m$ 급의 대형열진공챔버를 통하여 우주개발에 응용되는 진공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중공사막 진공 막증류 모듈의 하우징 누수가 담수 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 on Freshwater Production of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Module according to Housing Leak)

  • 주홍진;곽희열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3-319
    • /
    • 2016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meate flux of hollow fiber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module according to leak problem between module housing and membrane bundle. For the permeate flux performance experiment of the two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modules, the Lab-scale experimental equipment was built in the capacity of $1m^3/day$. The performance test of the two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modu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eed water condition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leak VMD module decreased about 14% of permeate flux than normal VMD module.

진공청소기 모터 하우징 내부 온도상승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Motor Housing of Vacuum Cleaner)

  • 김주신;김성근;이응호;주보경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25-429
    • /
    • 2008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motor housing of vacuum cleaner and reduce the development period by CFD analysis. CFD analysis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flow pattern in the motor housing and validated by experiments. The validation of CFD analysis is conducte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n motor housing cover. Through the present study the CFD analysis procedure in the motor housing of vacuum cleaner is established and various experimental materials are obtained. Thes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effectively as design factors of vacuum clea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