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apeutic forest progra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우종민;박상미;임성견;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77-68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주요우울장애의 정신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대조군 비교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 받고 현재 정신과 외래에서 항우울제 약물치료 중인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각 네 집단으로 나뉘어 세 집단은 각각 산림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병원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단순 산림욕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은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고 일반 진료만 받은 대조군이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증상 변화, 생리적 지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Hamilton Rating Scales for Depression(HRSD), Montgomery-Asberg Depressin Rating Scales(MADR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SF-36), Heart Rate Variability(HRV)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의 HRSD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ADRS 점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 HRSD 7점 이하로 정의되는 관해율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이 가장 높았다. 또한 SF-36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에서만 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Heart Rate Variability(HRV)에서도 생리적 이완감을 나타내는 HF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산림환경을 이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외래 치료 중인 우울증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우울증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우울증상 감소와 관해율에 있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순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 송정희;신원섭;연평식;최명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82-87
    • /
    • 2009
  • 산림의 건강 기능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산림의 건강 기능을 활용한 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 해소와 자존감의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E시설에 입소하여 보호를 받고 있는 미혼모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5명과 비교집단 35명을 나누어 수집되었다. 2008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24회의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산림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미혼모들에게서 큰 폭의 우울증 감소와 자존감의 향상이 있었다.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치 않은 비교집단 미혼모들에게서는 이러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Stress Reduction in Middle-aged Women)

  • 정용구;신원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4-472
    • /
    • 2023
  • 중년여성은 발달주기 상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이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만성적인 고통과 질병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산림치유가 주목받고 있다. 산림치유는 산림의 치유적 요소를 통해 인간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각통찰기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중년 여성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20명씩 무작위 배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감각과 통찰 기반으로 6시간 8회기로 구성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는 제주 사려니숲에서 진행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지각된 스트레스, 여가만족도, 맥파검사를 통한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스트레스를 낮추고, 여가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act of Program Improvement Using Forest Healing Resources on the Therapeutic Effect: Focused on Improving Index of Greenness for Adolescents

  • Hwang, Joo-Ho;Lee, Hyo-Jung;Park, Jin-Hwa;Kim, Dong-Min;Lee, Kyoung-M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1-698
    • /
    • 2019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using forest healing resources (focused on improving index of greenness for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30 students from in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2018 program, and 51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mproved program in 2019.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was comprised of items on general matters, index of greenness, restorative environment,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faci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had 30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49 valid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 t-test for each group,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categories except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ll categories significantly improved to a higher level (p <.01).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tailed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improved index of greenness. As a result, the index of greenness increased by 0.73 points(t=2.555, p <.01) and restorative environment by 1.01 points (t=2.567, p <.01),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Negative emotion increased by 0.04 points (t=0.183, p >.05), which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ositive emotion decreased by 0.42 points (t=-1.918, p <.05), facial expression by 0.57 points (t=-1.775, p <.05),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by 0.29 points (t=-0.981, p >.05), showing significance in positive emotion and facial expression. However, all the decreased item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한국 성인에게 적용한 산림치유요법 고찰 (Literature Review of Forest Healing Therapy on Korean Adults)

  • 채영란;김주현;강현욱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22-13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therapy by analyzing researches on forest healing therapy applied to Korean adults and to confirm that forest healing therapy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nursing or rehabilitation nursing. Methods: We searched 972 research papers on forest therapy applied to Korean adults. We reviewed appropriate 25 research papers with experimental design among them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Forest healing therapy had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effects. First of all, it showed physiological effects to reduce stress index such as heart rate variation. Forest therapy also improved melatonin level in blood of middle-aged women with menopause and increased alpha wave in electroencephalogram and decreased lipid level and superoxide dismutase in blood. Second, forest healing therapy showed psychosocial effects to reduce depression and to improve mental health. But the effect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mplementing type, period of forest healing therapy,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rapists. Therefore, if forest healing therapy would be applied to nursing, it should be based on its key principle, in other words, its principle of action-interaction-response of forest healing 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a forest healing program as an intervention of nursing.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Forest Healing Program on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Mental Health Care Workers's Job Stress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 신창섭;연평식;김영규;엄재옥;임영란;윤수복;박석희;김인옥;이상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94-299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A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8명과 C도의 정신보건종사자 24명을 대상으로 1박2일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사전-사후의 설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분상태 요소인 긴장-불안, 우울, 분노, 곤란,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기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산림의 치유기능이 활용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뿐만이 아니라 소진예방프로그램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Plant Essential Oils on Physiological Changes

  • Cho Sin 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3-34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inhaling the aroma of essential oils could alleviate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and mimic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in urban settings. Briefly, 31 participants underwent stress index assessments for two days and inhaled the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The effects of this treatment on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determined through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s taken before and after inhaling the aroma of essential oils, extracting results for low frequency (LF) and high frequency (HF) components of HRV, as well as 𝜃 and 𝛼 brainwav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vender oil did not yield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pine, chamomile, and cypress oil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Overall, stress relief was associated with enhanced 𝜃 and 𝛼 brainwave activities, a decrease in the LF component and an increase in the HF component of HRV. Among the essential oils studied, pine oil was the most effectiv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plant essential oils in replicating the therapeutic benefits of forest therapy, even in urban environments.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ir utilization are warranted to better understand and harness their therapeutic potential.

산림치유 효과 검증 연구의 주요어 분석을 통한 치유 발현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Forest Therapy Process and Effect Verification through KeyWord Analysis of Literature on Forest Therapy)

  • 박경자;신창섭;김동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82-90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 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 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회복력과 저항력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면역력 증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란 "대상자들의 숲에 대한 긍정경험 및 태도와 산림의 환경요소를 매개로 대상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영적 회복력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이라 제안한다.

크나이프 요법이 HRV에 미치는 효과: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최초의 예비적 검증 (Effects of Kneipp therapy on HRV: the First Preliminary Validation in Forest Environment)

  • 홍금나;신방식;송규진;손정희;김현석;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22
  • 배경: 독일 크나이프 요법을 국내에서 적용하기 위해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국내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이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크나이프 요법 중 4가지 요소('움직임', '삶의 질서', '음식섭취', '치유식물')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성인 40명을 10명씩네그룹으로나눠 3회(주1회, 5시간씩) 적용했다. 중재 전과 후에 맥파측정기(uBioMacpa)를 이용하여 HRV(TP, VLF, LF, HF, LF/HF, CSI: Cumulative Stress Index)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했다. 결과: 잡파 혼입이 있는 7명의 데이터를 제외한 33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중재 후 연구대상자의 TP(8.64%, p < .001), VLF(6.96%, p < .05), LF(15.86%, p < .001), HF(8.46%, p < .01), LF/HF(5.77%, p < .05)는유의하게증가하였고, CSI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6.06% p < .001). 결론:국내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은 자율신경계를 전체적으로 활성화하고, 교감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높여 심장활동을 촉진시키며, 누적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나이프 요법이 국내 산림 환경에서 치유 프로그램으로 활용되어 스트레스 해소를 포함한 자율 신경계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 초기적인 최초의 증거라 할 수 있다.

숲 환경이 인터넷 중독 치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Forest Environment on Internet Addition Treatment)

  • 오창홍;박상규;박정환;오인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89-499
    • /
    • 2016
  • 본 연구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숲과 교실이라는 환경에서 각각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S시의 중학생 24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등으로 각각 8명씩 무선 할당하여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 및 추후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종속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와 자존감 점수로 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 시기에서 인터넷 중독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기별로 보면,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인터넷 중독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교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숲 환경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자존감의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비교집단 또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이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자존감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중독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향상하는 등의 치료적 기제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독자에 대한 치료적 방법의 하나로서 숲 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