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visually impaired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장애인을 위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 지폐 인식기 개발 (Development of a Raspberry Pi-based Banknote Recogni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 이지완;안지후;이기용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31
    • /
    • 2018
  • 한화 지폐는 그 크기들이 비슷하고 지폐가 오래되면 점자 부분이 마모된다. 이로 인해 촉각만을 이용해 지폐를 구분하는 시각장애인들은 한화 지폐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며,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 지폐를 인식하는 유사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나 기존 시스템은 한화 지폐를 인식하지 못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있어 사실상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화 지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 지폐 인식기를 개발한다. 본 지폐 인식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인식을 시작하며 시각장애인들에게 음성으로 인식 결과를 알려준다. 특히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선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특징 추출 알고리즘인 SIFT, SURF, ORB의 성능을 실제 비교하였다. 다양한 실제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95%의 인식률로 가장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SIFT를 시스템 구현에 채택하였다.

보행안내 기기의 효과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A System with Efficient Managing and Monitoring for Guidance Device)

  • 이진희;이은석;신병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4호
    • /
    • pp.187-194
    • /
    • 2016
  • 실내외 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할 때에 피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 기기를 개발하였다. 이 기기는 실내외 특정 위치마다 POI (Point of Interest)를 설정하고 실내에서는 인공 표식(landmark), 실외에서는 직비(ZigBee) 모듈을 이용하고 보행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보행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실제 테스트베드에서는 시각장애인이나 안대를 착용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므로 실험 대상자가 위험 상황에 노출될 수 있고,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 대상자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하고 대용량의 실내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대상자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고 대용량의 지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 관리용 시스템을 소개한다. 실험을 수행할 때에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피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용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제자리멀리뛰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n The Stand Long Jump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 오정환;최정규;정익수;이동진;최수남;남택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47
    • /
    • 2006
  • This study long jump action to each situation on a chessboard and section of sight disabled person and normal person through third dimension reflex analysis mechanical special quality because do comparative analysis sight disabled person's exercise ability and technology structure of action that run understand. As can do better without danger of injury map and training of exercise item that action that run is included, do offer of pabulum by purpose. Through this study, conclusion is as following. 1. Sight disabled persons' long jump average recording (121.84cm) showing normal persons' average recording (259.27cm) and much differences, show that motion of body is not big to Touch-down from Ready action. 2. Each phase body center composition(r) average speed displayed result that it is more meaning more than Each phase time required. 3. Began in line carriage without body back stretching in 1 situation on Event one are sight disabled persons. Was expose that do not bend enough knee and ankle than normal person in Event two. Was expose that body is not drooped for surface of land in Event three, and knee and ankle were expose that do not unfold easily than normal person. Was expose that do not bend enough on Touch-down knee by relation that can not grasp position of the floor in Event four. 4. When taking off, the average of horizontal speed of body center are 1.80m/sec for blind people and 3.53m/sec for the normal. In this connec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horizontal speed between the blind and the normal is bigger than difference of vertical speed, which are 1.56m/sec for the blind and 1.98m/sec for the normal. Also, composite speed also shows us big difference between 2.41m/sec of the blind and 4.07m/sec of the normal. The speed body center of take-off was expose that average adjuster are big width of deceleration than average - beginning disabled person's average by 2.23m/sec - 1.71m/sec in the vertical speed. 5. If examine change of high and low for z Sign of right hand, change of high and low showed as is small than normal person is sight obstacle, and all hand movements are small and was expose that do not use enough reaction of body as well as in ready ac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장치 기반 플랫폼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Based on Platform for the Visually Impaired)

  • 이욱;최정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38-549
    • /
    • 2019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의 개인적 특성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보호자와 통신 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안한다. 플랫폼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 측면에서 서버 처리 및 실시간 상호 작용을 통해 보호자 설정을 한다. 이로써 시각장애인에 상당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들의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함으로써 휴대성과 비용 효율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자 비용 측면에서 이 시스템은 특수 시스템 장치가 아닌 개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통해 관리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이다. 이 시스템은 건물 위치, 위험, 장애물까지의 거리, 신호등 및 단계를 알려주는 것과 같이 시각장애인의 주변 환경과 자동으로 통신하는 웹 기반이다. IOT 장치를 통한 위험 접근과 같은 필요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안전을 향상시킨다. 또한 시스템이 개인적 특성을 감지 할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에 많은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개인화 된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보호자가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와 전자 지원 및 상호 작용을 제공 할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안전한 보행에 기여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CNN 기반의 점자 변환 및 음성 출력 장치 설계 (Design of CNN-based Braille Conversion and Voice Output Device for the Blind)

  • 박승빈;김봉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7-92
    • /
    • 2023
  •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정보가 다양해지고 이를 얻는 방법도 다양해진다. 살아가면서 얻는 정보의 양 중 약 80%는 시각적 감각으로 습득한다.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은 시각 자료를 해석하는 능력이 제한된다. 그래서 점자라는 시각장애인용 문자가 등장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의 점자 해독률은 5%에 불과하며 시간에 지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이나 자료를 원하는 시각장애인들의 요구가 늘어나면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개발 및 물품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품 제작의 예로는 점자 도서를 들 수 있는데 이 점자 도서는 장점보단 단점이 많아 보이고 비장애인과 다르게 아직도 정보 접근에 대해서는 많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정보를 기존의 방법보다 쉽게 얻을 수 있도록 CNN 기반 점자 변환 및 음성 출력 장치를 설계하였다. 이 장치는 점자로 되어 있지 않고 점자로 제작이 되지 않은 책, 텍스트 이미지나 손글씨 이미지 등을 카메라 인식을 통해 점자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고, 점자로 변환 후 시각장애인들의 요구에 따라서 음성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설계해 시각장애인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도와주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The Status of Health-related Lifestyle in Massage Therapists with Visual Impairment)

  • 송종균;진행미;김정은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16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장애정도, 근무경력,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5년 안마사 보수교육에 참가한 시각장애인 안마사 2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타당성이 입증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건강관련 생활양식 항목별 실천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 후 휴식 습관(81.4%), 균형 식사(70.8%), 그리고 정기적 건강검진(69.9%) 항목들에서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규칙적 아침식사와 자주간식 실천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흡연율이 높았고 아침식사 항목의 실천율이 낮았다. 근무형태별로는 안마시술소에 근무하는 시각장애인 안마사가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고, 적정 수면, 규칙적인 식사 및 휴식 항목에서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경우 장애정도, 근무경력, 그리고 근무형태에 따라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웹 접근성 준수 정도 분석 (A Study on Analyzing the Degree of Conforming to Web Accessibility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of Cities and Provinces)

  • 김미정;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71
    • /
    • 2018
  • 본 연구는 K-12의 구성원 및 관계자들에게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시 도 교육청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 분석을 통해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9개의 교수학습지원센터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전문가 2명에 의한 1차 전문가 수동평가와 18명의 사용자가 진행하였다. 사용자 평가는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뇌병변 장애인, 고령자, 다양한 브라우저 사용자, 다양한 운영체제 사용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전문가와 사용자 평가에서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는 교수학습지원센터는 1곳도 없었다. 전문가 평가 결과, 웹 디자인 개선, HTML 소스 오류 수정, 장애인을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등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을 통해 향후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에 의한 시청각장애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변화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through home oral health care intervention: a case report)

  • 윤해수;정민숙;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3
    • /
    • 2023
  • Objective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older individual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hrough home oral health care based on community car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wo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hrough home visits, an or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oral hygiene care and training on strengthening of oral func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 months. Dental hygienists performed special oral health interventions such as dental plaque control through individual tooth brushing and interdental care, training on strengthening of intraoral and extraoral muscle function, and denture care for the individuals with visual-hearing impairments. Results: The overall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muscle function improved in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were oral mucosal moisture (30.1 and 37.2 poin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salivary secretion (3.5 and 4.0 cm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and maximum tongue pressure (20.5 and 26.2 kPa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increased from 28.3 points before the intervention to 38.4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maximum tongue pressure increased from 1.85 kPa to 23.5 kPa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Oral health intervention activitie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eriodontal health and oral function of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o improve their overall and oral heal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activate customized or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웹 UI/UX 연구 (Mobile Web UI/UX Research for Low Vision in Visually Handicapped People)

  • 송승훈;김의정;강신천;김창석;정종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1-394
    • /
    • 2017
  • 저시력 장애인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안질환으로 인한 의학적 안광학적 방법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시력 장애 및 시기능 장애를 말한다. 저시력 장애인은 전 세계에 2억 4000만 명에 해당할 만큼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잔존시력이 있음에도 불과하고 스마트 시대에 정보 취약 계층에 속하고 있다. 기존 스크린리더(TTS) 및 화면확대 기능을 통해 정보접근이 가능한 환경에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UI/UX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저시력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 및 향후 연구 방안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IT 융합기반 도로안전지킴이로봇을 통한 도로 건설 현장에서의 장애인운전환경 개선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Impaired Driving Environment of the IT Convergence-based Road Safety at Road Construction Sites with a Robot Protector)

  • 이신영;김동옥;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21
    • /
    • 2015
  • 최근에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자동차 자체의 기술 개발을 통한 운전자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속적이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통안전시설 개발을 통해 운전 주변 환경에 운전자를 배려하는 기술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도로안전지킴이 로봇 도구가 운전환경에서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으로 IT 융합(보조공학 관련 전문가), 운전교육(운전재활), 자동차 관련 연구, 도로환경관련 연구, 건설업 전문분야로 26명을 선정하여 IT융합기반 도로안전지킴이로봇에 대한 안전성, 편리성, 효율성, 효과성을 중심으로 운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성 평가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LED 전광판의 정보(차량 속도, 건설현장 서행 경고, 안개나 시야확보가 어려운 날씨에 정확한 정보제공)가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사고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론은 도로안전지킴이 로봇의 경우 운전자의 운전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교통위반, 사고 범죄자 추적 등의 불법 행위에 대한 결과를 기록함으로써 교통안전 예방 메커니즘으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