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extualit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푸코의 고고학적 언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the Archaeological Statement of Foucault -)

  • 박경애;박영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Foucaul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levance for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history. By Foucault's Theory, regionalism is product of the instrumentality of space, power, knowledge and provide the basis for making the operation of power both spatial and tempo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opographical map of historical progres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ing of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on the poststructural-archaeological aspect.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suggests Foucault's 'Theory of archaeology'. It mentions 'historical apriori' and archive, collateral space and general grammar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archaeological logic. Secondly, it clarifies 'stateme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at is 'episteme' in which they emerge and exist within a field of discourse. And it discuss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concept as a social product on the situated character of interaction in time-space. Finally, it studies genetic varia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based on the social progress in Korean society. And it analyses practical actions of 'Statements' in terms of general grammar and textuality.

현대 패션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현대 예술의 특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Show Window Display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 김나윤;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89-798
    • /
    • 2015
  • This research analyzes trends of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regarding it as a new form of installation ar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are more than a physical space for displaying and have emerged as a new space in which creative expressions of arts take place. This research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First, recent show window displays have shown "decentralization": various themes, forms, and mediums that are accepted without discrimination. Recent show window displays deviate from conventional methods, constantly pursuing experimental and progressive ideas and also include categories of current art, body art, and live art. Second, show window display has "interactiveness"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s and art, rather than fixing audiences as receptive viewers. Third, "textuality" can be found in show window displays. Recent show windows are use "objects" to show products as well as to express the meaning and symbols of products. A new directionality and effective strategies are shown to be imperativ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무이구곡(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전승(傳承)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80
    • /
    • 2009
  • 본 연구는 '무이도가(武夷櫂歌)'나 '무이구곡(武夷九曲)' 관련 문화현상이 어떠한 연유와 과정으로 조선시대에 수용되었으며 내재된 담론과 문화적 응집의 규칙성, 특히 국내에서 구곡문화의 반복과 모방을 통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현장답사에 의한 경관 인식과 함께 드레슬러(Dressier)가 제시한 텍스트성의 7가지 기준을 근거로 '해석 및 논의 틀'을 구축하고 텍스트의 의존관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 반복 및 모방 그리고 전파과정으로 나누어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해석하였다. 텍스트 파악 의도와 상황적 근거로 볼 때 주자의 무이도가 그리고 무이구곡 경영은 무이산지 등의 문헌과 그림을 통해 조선에 전파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국내에서도 산간 계곡의 뛰어난 지형경관에 구곡을 설정하며, 정사를 경영하는 등 문학적 원림경관적 반복과 모방사례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생겨났다. 생산자의 의도 또는 용인에 관계없이 조선에 수용된 구곡문화는 수용자 계급이 지향한 도교문화적 상황과 유교의 경세제민(經世濟民)적 사대부 사고관에 편승하면서 새로운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조선 구곡원림은 무이도가와 무이구곡에서 나타난 상자연(賞自然)의 미의식을 수용하면서 도교와 성리학적 사유방식과 결합되었다. 그러나 텍스트적 요인에 의한 의존 관계만을 살펴 볼 때, 국내에는 무이구곡과 같이 배를 타고 하상을 거슬러 올라갈만한 장소가 드문 관계로 하천 형태와 기능적 텍스트성으로서의 결속구조는 다소 이완된 채 도학적 사고나 풍류적 향유에 의존한 구곡문화가 텍스트성의 내적 구조를 지배한 것으로 보인다.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지배하는 내적 요인은 "굽음의 미학, 물돌이", "영역성의 표현, 각자(刻字)", "의미경관의 성찰로 본 문화적 풍경", "기(奇)의 추구와 표상성" 그리고 "도교와 성리학적 토포스의 초월적 풍경"으로 해석되었다.

텍스트성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의 수업비평 탐색 (Exploring class criticism in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using textuality)

  • 오세경;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563-5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들의 전문성 신장과 비평적인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멘티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 내용 및 현상을 활동 텍스트로 보고, 일곱 가지의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응결성은 멘토와 멘티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관계적인 측면을 뜻하고, 응집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이 결속되어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하나의 주제나 정체성을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의도성은 멘토가 멘토링 수업활동 전에 수업에 대한 의도나 목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용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에 의해 받아들여질 때 수업활동 텍스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정보성의 경우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가 예측가능할 때에는 정보성이 낮으며, 예측가능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보적인 가치가 높다는 관점이다. 상황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물리적인 텍스트 상황과 멘티의 상황에 따라 수업활동에 대한 상황성은 달라질 수 있고, 상호텍스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의 경우 멘토가 수업활동 텍스트를 새롭게 창조하여 생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멘토의 학습경험, 동료 친구의 자문, 교육 등을 통해 수업활동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다.

현대섬유예술에 나타난 몸의 확장성과 인체기호로서의 상호 텍스트성 - 아바카노비치의 아바칸을 중심으로 - (Extensibility of Human body Inter-textuality as Body-signs in Contemporary fiber Arts - Abakanowiz Abakan -)

  • 김성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69-80
    • /
    • 2000
  • Body has been high-lighten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 since the philosophy and the arts are focused on it in the late 20 century. Resurgence of interests in human body has been based on the skepticism on rapid digitalization and do-materialization currently undergoing in electronic media environments. Artists have been endeavoring more and more to find a synthesis which links the conceptual and the sensuous in their works as digitalization gets faster and faster. The Bodily-oriented art uses its visceral qualities, either literally or metaphorically, to engage our total being, not just our mental consciousness, in building a sensuous, evocative statement. Its transcendent ideas are inter- mixed with the fabric of the world. We are touched by this art not only because we understand it cognitively, but because we "feel"it. These characteristics of textile arts caused gradual increase of soft-sculpture works using textiles and implies possibilities of inter-grade of physical and mental world. Ann Hamilton, Magdalena Abakanowiz, Folly Apfelbaum and Pallid Dougherty are, for example, related to the fiber arts. It would be of worth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ber-art works, especially done by Abakanowiz who has been regarded as a dominant pioneer in the contemporary fiber arts from the viewpoint of inter-grade of the physicals and the mental. This paper, therefore, deals with the Abaknowiz′works in the context of human body and body-signs. Life and works might be classified into 5 stages; first, learning period since her birth in 1930, second, creation period of Abakan, third, remodelling period of Abakan, fourth, composition and dissolution period of Abakan and the last and fifth, new transformation period of Abakan. ′Abakan′through her whole life as an artist has been a plastic language and based ultimately on external human body but in various materials and forms.

  • PDF

패션 브랜드 유튜브 캠페인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특성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in Fashion Brand YouTube Campaign)

  • 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35-49
    • /
    • 2023
  • The purpose is to derive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objectifying the visual image of the YouTube campaign into adjectives. As a result, we intend to identify advertising strategies that use them as basic data for setting fashion design concepts. A group of experts in fashion majors watched each of them, wrote adjectives, and collected 75 adjectives.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adjectives,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with adjectives recording the upper number of time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at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mburin's Jenny appeared to be strange, scary, rambling and charming. Among the internal meanings of deconstruction due to spatial, soci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consumers, it can be said that T.P.O's mutual textuality and play of interaction. Second, Gucci Cruise be chosen rural, strange, wild, unharmonious, and difficult, which is a mixture of intertextuality and play of T.P.O. Third, The Excise Gucci Campaign parodies that juxtaposes six films directed by Stanley Kubrick, making them strange, retro, difficult, interesting, and wrong. Deconstructionist de-genre and de-boundary Fourth, Kenzo World is weird, dynamic, wrong, difficult, difficult, and confused, which correspond to T.P.O's interactive textuality, play of the second half, and destruction and decomposition among the external expressions of deconstruction. Fifth, Burberry Hero emphasized the aesthetic value of traditional men, so it was ostensibly wild, free, powerful, sensual, and fantastic. Compared to the lifestyle of men who usually work at work, this corresponds to play of second best.

Lady Gaga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제1보) (Allegory in Lady Gaga's Fashion Style (Part 1))

  • 김향자;권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19-531
    • /
    • 2012
  • This study comprehends the various expressions of Lady Gaga's fashion style based on Craig Owens's Allegory theory. This study analyzed four application elements of Borrow, Site Specificity, Accumulate of Strategy, and Hybridization in addition, it studied all aspects of the aesthetic value of Lady GaGa (an influential popular culture icon). It was classified in the external representation of the fashion style for the aesthetic val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rrow' of the singers of the 80's music and fashion style present from her elders and visual homage to shock artists. It influenced her fans with a difference in viewpoint for a star's fashion that subsequently resulted in a deformation of form, playful kitsch style, and mixed gender. Second, 'Site specificity' presents an extreme make over through an intentional and grotesques fashion style to extend physical territory and defenseless. The results remove stereotypes and reveal deconstructive performances. Third, 'Accumulate of strategy' simultaneously presents voluptuous beauty, futurism, and avant-garde style. This shows the countercultural tendency through the random repetition of fashion images and layerd coordination. Finally, 'Hybridization' presents multiful fashion style through a collaboration with world-famous designers and cosmetic brands. She expressed a diverse and complex fashion style composed of an art form that combines a high-tech cyborg image. The aesthetic values of Lady Gaga' fashion style are 'ambivalence virtuality', 'Transcendental mixed gender', 'plural textuality', and 'unexpected play culture'.

요괴 캐릭터 연구:요괴 이미지의 생성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a Japanese goblin character:Centered around the making method of goblins' image)

  • 김윤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6호
    • /
    • pp.141-163
    • /
    • 2009
  • 일본 요괴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요괴 캐릭터의 이미지를 검토하고, 요괴 캐릭터의 생성 원리를 찾아내고자 했다. 이론적으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상호텍스트성' 개념과 롤랑 바르뜨의 '텍스트'개념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중국의 신화 지리지 "산해경"과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보이는 <포켓몬스터>의 여러 캐릭터들의 생성원리와 일본의 애니미즘적 사고에 기초한 '백귀야행도'에 등장하는 전통 요괴 캐릭터들의 현대적인 변용을 고찰하였다. 상호텍스트성은 기억 혹은 역사와 연관되며 이는 텍스트에서 드러나기 때문에 요괴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또한 요괴담이나 요괴의 이미지들은 민담처럼 집단적 담론의 결과물이며 끊임없는 첨가와 삭제가 이루어지는 텍스트적 속성을 고려해 볼 때, 변화하는 집단 상상력의 산물이라 보인다.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괴물이나 요괴의 이미지 생성은 크게 '하이브리드'와 '뮤턴트'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이미지 제시와 분석을 통해 요괴 이미지의 생성원리를 설명하였다. 인간의 공포에 상상력의 날개를 달아 만들어지는 요괴 캐릭터들은 이미지에 있어 시각적 쾌락을 보여주며 문화 컨텐츠의 아이콘으로 기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Visual textuality of stereoscopic 3D animation)

  • 전경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31-45
    • /
    • 2010
  •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입체영상 콘텐츠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주요 애니메이션 기업들이 앞으로 모든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입체 방식으로 제작하기로 하는 등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기존 3D 애니메이션 콘텐츠 영역을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영상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지닌 미학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스크린 밖의 공간은 물론 스크린 안의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입체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야기 소재, 이야기 구조, 캐릭터 디자인, 장면의 구성 등의 차원에서 입체 효과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가상현실 체험의 강조, 시각 경험을 넘어서는 육체적 다감각성을 구현하는 영상미학을 구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입체기술이 영상에 어떤 시사점을 안고 있는지 정리하고, 3D 애니메이션의 특정한 속성과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며, 나아가 실제 3D 입체 애니메이션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이 지닌 영상 특징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미학은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함의를 안고 있는지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Medium of Poetry: Romantic Writing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Physicality in "Hyperion"

  • Jon, Bumsoo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233-249
    • /
    • 2014
  • This essay addresses the missing conversation in Keats studies by showing how an enduring mystery of Romantic writing—the medium of poetic process and the physical conditions of enunciation—remains a central question in the Hyperion fragments. It is my argument that the tropes of material textuality prevalent in the Hyperions represent a bold cultural statement in which Keats reacts to the major premises underlying the Romantic culture's notion of poetry as abstraction: the Romantic notion of literary (re)production as a product of the activity of a mind. Keats's self-conscious,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mechanics of poetry-making can be read as an investig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 Romantics were aware of and even eager to articulate the instabilities of their posi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words and things. This essay does not focus exclusively on the physical embodiment of Keats's work as such, so much as the second-generation Romantic poet's contribution to the Romantics' self-consciou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depiction, perception and ideologies of their poetry and its me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