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lative factor of land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1초

지리 정보량에 따른 고등학생의 공간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 지가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Recognition Chang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ographic Information Quantities - Focused on Factors Influencing the Land Value -)

  • 신영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3-458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 정보량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공간 인식 변화에 대해 지가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례 연구 지역은 송탄관광특구의 일부 지역으로 설문 대상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지역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인 두 지역의 '최고가라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표준지와 그렇게 인식한 이유'에 대한 분석 결과, 최고가 표준지의 지가 형성 요인으로 절대적 요인보다는 상대적 요인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성이 다른 두 지역의 최고가 표준지의 선택 이유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같은 지역이더라도 지리 정보량에 따라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제공한 지리 정보량이 늘어나면서 최고가 표준지의 선택율도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떤 지역의 지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이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 PDF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서울시 고등학생들의 인식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 Value)

  • 신영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서울시 고등학생들의 인식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시지가 산정과 관련 있는 지가 형성 요인이 공시지가 산정과 관련 없는 그 밖의 요인보다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상대적 요인이 절대적 요인보다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5개의 평가 척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주요 시설과의 거리이고, 가장 미약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토지 이용 현황으로 인식하고 있다. 13개의 요인 중에서는 편의 시설과의 거리는 가장 크게, 토지의 모양이 가장 미약하게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최고가 또는 최저가 지점 선택에 대한 인식과 지가 형성 요인이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인식 결과와 성제 지역의 지가의 분포와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비교해보면, 비슷한 결과를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결과틀 보이기도 하였다.

  • PDF

유압햄머다짐 준설매립지반의 액상화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quefaction Potential at Reclained Land by Hydraulic Hammer Compaction)

  • 김종국;김영웅;최인걸;최원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7-524
    • /
    • 2001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elative density and fine contents(Finer then # 0.08mm sieve) on liquefaction phenomenon in reclaimed land by hydraulic hammer compaction is analyzed. For more site-specific studies, reclaimed land i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is selected and the cyclic triaxial tests are performed on disturbed samples. In cyclic triaxial tests, the characteristics of reclaimed land i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are considered sufficiently.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ss ratio ($\tau$$\ell$/$\sigma$v') can be defined by relative density 40, 50, 60, and 70% and also by fine contents : 0, 10, 20, 30, and 40% under relative density (D$\_$r/) 50% used disturbed samples. From tile result of comparing tile cyclic triaxial tests, it is shown that the liquefaction strength of soil increases with increases of relative density and fine contents. Fspecially fine contents is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 addition,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ss ratio is reduced by the increase of fine content and tile ratio of change is steep until fine contents 20% and that is flexible during the range of fine contents 20% to 40%. Through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 soil characteristics (fine contents 5∼20%) of the reclaimed land i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f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liquefaction potential.

  • PDF

Land Cover Super-resolution Mapping using Hopfield Neural Network for Simulated SPOT Image

  • Nguyen, Quang Minh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2호
    • /
    • pp.653-663
    • /
    • 2012
  • Using soft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land cover proportions from the remotely sensed image. These land cover proportions are then used as input data for a procedure called "super-resolution mapping" to produce the predicted hard land cover layers at higher resolution than the original remotely sensed image. Superresolution mapping can be implemented using a number of algorithms in which the Hopfield Neural Network (HNN) has showed some advantages. The HNN has improved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through superresolution mapping greatly with the high resolution data. However, the super-resolution mapping is based on the spatial dependence assumption,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 accuracy of resulted land cover classes depends on the relative size of spatial features and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remotely sensed ima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HNN to implement the super-resolution mapping for SPOT image to create higher resolution land cover classes with different zoom factor.

대전광역시 지하수의 수리화학 특성 및 오염에 대한 토지이용 형태 및 도시화의 영향

  • 정찬호;김은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5-37
    • /
    • 2001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relation to land us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 attempt was made to distinguish anthrophogenic inputs from the influence of natural chemical weather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at Taejon.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at 170 locations in the Taejon area show very variable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e.9. electrical conductance ranges from 65 to 1,290 S/cm. Most groundwater is weakly acidic and the groundwater chemistry is more influenced by land use and urbanization than by aquifer rock type. Most of groundwater from green areas and new town residential districts has low electrical conductance, and is of Ca-HC $O_3$ type, wherea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from the old downtown and industrial district is shifted towards a Ca-Cl (N $O_3$+S $O_4$) type with high electrical conductance. A number of groundwater samples in the urbanized area are contaminated by high nitrate and chlorine, and exhibit high hardness. The Ep$CO_2$, that is the $CO_2$ content of a water sample relative to pure water, was computed to obtain more insight into the origin of $CO_2$ and bicarbonate in the groundwater. Factor analysis of the chemical data shows that the HC $O_3$ and N $O_3$ concentrations have the highest factor loadings on factor 1 and factor 2, respectively. Factors 1 and 2 represent major contributions from natural processes and human activiti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Ca^{2+}$, $Mg^{2+}$, N $a^{+}$, Cl and SO4$^2$ derive from both pollution sources and natural weathering reactions.ons.

  • PDF

Salinity affects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Kim, Kiyoon;Samaddar, Sandipan;Ahmed, Shamim;Roy, Choudhury Aritra;Sa, Tong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4-364
    • /
    • 2017
  • Saemangeum reclaimed land is a part of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Most of the persistent problems of Saemangeum reclaimed land remain to be related to soil salinity. Soil salinity is a major abiotic factor related to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also fungi have been reported to be more sensitive to salinity stress than bacteria.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salinity levels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using 454 pyrosequencing analysis. Soil samples was collected from 12 sites of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For pyrosequencing, 27F/518R (bacteria) and ITS3/ITS4 (fungi) primers were used containing the Roche 454 pyrosequencing adaptor-key-linker (underlined) and unique barcodes (X). Pyrosequencing was performed by Chun's Lab (Seoul, Korea) using the standard shotgun sequencing reagents and a 454 GS FLX Titanium sequencing System (Roche, Inc.). In the soil samples, Proteobacteria (bacteria) and Ascomycota (fungi) shows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all the soil sample sites. Proteobacteria, Bacteroidetes, Plantomycetes, Gemmatimonadetes and Parcubacteria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abundance in high salinity level soils than low salinity level soils, while Acidobacteria and Nitrospirae has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abundance in low salinity level soils. The abundance of fungal, Ascomycota has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soil samples, followed by Basidiomycota, Chlorophyta, Zygomycota and Chytridiomycota. Basidiomycota, Zygomycota, Glomeromycota and Cerozoa were show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abundance in low salinity level soils. The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and correlation analysis shown to salinity-related soil parameters such as ECe, Na+, SAR and EPS were affected to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y structure. Proteobacteria, Bacteroidetes, Plantomycetes exhibi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il salinity, while Acidobacteria exhibit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the case of fungal community, Basidiomycota and Zygomycota were seen show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alinity related soil parame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vide understanding effect of soil salinity o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correlation of microbial community with soil parameter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PDF

최대상대밀도 산정 간편법 제안을 위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Suggestion of Simple Method of Determining the Maximum Relative Density)

  • 이종진;김명모;이승현;김병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23-31
    • /
    • 2007
  • 상대밀도는 사질토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최대 및 최소 상대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최대 및 최소상대밀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기존의 방법들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히 최대상대밀도는 실험방법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으로 구한 최대상대밀도와 큰 오차를 보이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실질적으로 이용하기 편리한 간편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은 타격수와 층수를 달리해 가면서 작은 몰드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Bowles 방법과 비교하였다.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토량환산계수 산정 (The Estimation of Soil Conversion Factor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 김진수;서동주;이종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9-3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택지조성공사가 실시되고 있는 대규모 현장을 대상으로 절$.$성토부 풍화암의 정확한 토량환산 계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상지 내의 절 성토부 각각 20개소를 굴착하고 굴착 후의 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교차에 대한 체적의 상대정확도는 평균 0.5%로 산출되었다. 또한, 계산된 체적에 의한 습윤 단위중량과 실내토질시험에 의한 함수비를 이용하여 정확한 토량환산계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토량환산계수를 모래치환법에 의한 건조단위중량시험에 의해 결정된 토량환산계수와 비교 $.$분석한 결과, 미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불규칙한 굴착부분의 체적측정을 정밀수치사진측량기법을 적용하였으므로 현장시험의 신뢰성이 높고 토량환산계수 산정을 위한 합리적인 설계방법이라 판단된다.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일반폐기물 매립후보지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Proposed Waste Facilities Sit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배민기;장병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25
    • /
    • 1998
  • 본 연구는 일반폐기물 매립지의 입지인자들의 상대적 중요도에 입각하여 매립후보지를 선정함으로서 합리적인 폐기물 매립지의 입지선정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폐기물의 입지인자 및 그 입지 기준의 선정은 기존문헌의 고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입지인자들간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는 비율적 층화추출방법으로 선정된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한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을 적용하였다. 사례지역은 심각한 매립지의 부족과 평탄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입지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상북도 경산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IDRISI V2.002를 사용하여 하나의 지리정보체계를 구축하고 경사, 토양, 인구 등 17개의 주제도면을 생성하였으며, 토지적합성분석은 선형조합법과 요소조합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두 방법이 가진 방법상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합리적인 일반폐기물 매립후보지 선정의 이론적, 실천적 바탕을 제시하였다.

  • PDF

GIS를 활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uitability Analysis of Solid Waste Landfill Site utilizing GIS)

  • 이진덕;연상호;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3-49
    • /
    • 2000
  • 본 논문은 도시지역의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선정에 GIS기법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제시한 것이다.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분석을 위한 여러 가지 평가인자들을 결정하고 데이터의 수집, 입력, 변환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또한 위성영상의 처리에 의해 대상지역의 최근 토지피복 분류와 식생활력도(NDVI) 데이터가 평가인자로서 GIS데이터에 통합되었다. 사회경제적 인자와 자연환경적 인자로 구분되는 1차 분류 평가인자들의 가중치를 이원비교법에 의해 결정된 2차분류 평가인자들의 가중치와 조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 여러 가지 평가기준에 따른 적합성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인자를 중요하게 간주하는 관점에서 2차 분류 평가인자들의 가중치를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부여한 경우에서 가장 높은 적합도가 얻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