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atio of runoff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3초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혼합유출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Combination Runoff Model Applied by Genetic Algorithm)

  • 심석구;구보영;안태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201-212
    • /
    • 2009
  • 탱크모형과 PRMS(Precipitation Runoff Modeling-modular System) 모형으로 섬진강댐 유역의 유출량을 1981년부터 2001년까지 모의 발생하였다. 적용된 각각의 단일모형인 Tank 모형과 PRMS 모형에 의하여 모의된 유출량은 서로 상이한 모의 양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Tank 모형과 PRMS 모형과 같은 단일모형에 의하여 모의되는 유출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관측유출량에 보다 잘 부합되는 유출모의결과를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알고리즘 혼합유출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혼합유출모형은 Tank 모형과 PRMS 모형의 각각 결과를 혼합하는 모형이며,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모의 유출량과 관측 유출량을 최소화하는 Tank 모형과 PRMS 모형에 의한 각각의 유출량의 비율을 결정하는 최적배합비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혼합 모형을 섬진강댐 유역에 적용한 결과, Tank 모형 또는 PRMS 모형과 같은 단일모형으로 유출량을 모의하는 경우보다 두 개의 모형을 적절한 배합비를 도입한 혼합 모형으로 모의된 유출량은 관측유출량과의 각종오차를 작게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EMC 방법적용을 위한 논 대표 유출률 산정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Runoff Ratio from Paddy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EMC Method)

  • 최동호;정재운;윤광식;진소현;최우영;최우정;김상돈;임병진;최유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43-947
    • /
    • 2010
  • Runoff ratio of paddy fields for the applic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method was studied. To measure actual runoff ratio of paddy fields, a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for 2008 ~ 2009 period. Long-term rainfall data of four cities in major river basins were analyzed and weighting factors were developed to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distribution of Korean peninsula. The observed runoff ratio ranged 0.00 ~ 1.20 and arithmetic mean were 0.25, respectively. However, the representative runoff ratio for paddy fields was determined as 0.41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계절유역 모형을 사용한 유량의 공간적분포 결정 (Areal Distribution of Runoff Volume by Seasonal Watershed Model)

  • 선우중
    • 물과 미래
    • /
    • 제17권2호
    • /
    • pp.125-131
    • /
    • 1984
  • watershed Model by mathematical formulation is one of the powerful tool to analyze the hydrologic process in a watershed. The seasonal watershed model is one of the mathematial model from which the monthly streamflow can be simulated and forcasted for given precipitaion data. This model also enables us to compute the monthly runoff at each subbgasin when the basin is subdivided into several small subbasins. The computation of runoff volume makes a Prediction of the areal distirbution of runoff volume for a given precipitation data. Several basins in Han River basin were chosen to simulate the monthly runoff and compute the runoff at each subbasin. A simple logarithmic regression were conducted between runoff ratio and area ratio. The correlation was very high and the equation can be used for prediciting flood volume when flood at downstream gaging station is know.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강수효율 및 유출량의 변화특성 분석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nds of Precipitation Effectiveness Ratio and Runoff Data in South Korea)

  • 김종필;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8호
    • /
    • pp.683-694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영향인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로 인한 수자원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상청(KMA)으로부터 전국 59개 관측지점에 대해서 1973년부터 2009년까지 강수량 및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강수효율자료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으로부터 1966년부터 2007년까지 PRMS 모의 유출량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강수효율의 거동은 강수량의 변화 특성을 따르나 지역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기온 상승에 따라 강수효율이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으며, 이는 유출량의 변화 특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유출량의 평균대비 변화율은 강수량 변화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이 증가하는 5월~9월을 제외한 전체 기간에 대하여 강수효율은 강수량보다 더 유의한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해당기간의 가용 수자원량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특성은 봄, 가을 및 겨울철 수자원 관리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청양-홍성간 도로에서의 초기강우에 의한 유출부하량 평가 및 기여율 산정 (Evaluation of Runoff Loads and Computing of Contribute ratio by First Flush Stormwater from Cheongyang-Hongseong Road)

  • 이춘원;강선홍;최이송;안태웅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7-417
    • /
    • 2011
  • Nowadays, the high land use, mainly used for urbanization, is affecting runoff loads of non-point pollutants to increase. According to this fact, increasing runoff loads seems like to appear that it contributes to high ratio of pollution loads in the whole the pollution loads and that this non-point source is the main cause of water becoming worse quality. Especially, concentrated pollutants on the impermeable roads run off to the public water bodies. Also the coefficient of runoff from roads is high with a fast velocity of runoff, which ends up with consequence that a lot of pollutants runoff happens when it is rain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project to evaluate the quantity of pollutant loads. In this study, I computed the pollutant loadings depending on time and rainfall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unoff while first flush storm water and evaluated the runoff time while first flush storm water and rainfall based on the change in curves on the graph. I also computed contribution ratio to identify its impact on water quality of stream.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first flush storm water effluents is very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road's non-point source pollutants because runoff load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re over the 80% of whole loads of stream. Also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runoff loads of first flush storm water for SS, run off time was shown under the 30 minute and rainfall was shown under the 5mm which is less than 20% of whole rainfall. These are under 5mm which is regarded amount of first flush storm water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it is judged to be because run off by rainfall is very fast on impermeable roads. Also, run off time and rainfall of BOD is higher than SS. Therefore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should be managed and done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material. Finally, the contribution ratio of pollutants loads by rainfall-runoff was shown SS 12.7%, BOD 12.7%, COD 15.9%, T-N 4.9%, T-P 8.9%, however, the pollutants loads flowing into the steam was shown 4.4%. This represents that the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ants is relatively higher and we should find the methodical management and should be concerned about non-point source for improvement on water quality of streams.

선행강우를 고려한 제주하천 유출특성 분석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a Jeju Stream considering Antecedent Precipitation)

  • 양성기;김동수;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3-560
    • /
    • 2014
  •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in inland, due to highly permeable geologic features driven by volcanic island. Streams are usually sustained in the dry conditions and thereby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changes in terms of initiating stream discharge and its types, depending highly on the antecedent precipitation. Among various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lag time mainly used for flood warning system in river and direct runoff ratio for determining water budget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re practically crucial. They are expected to vary accordingly with the given antecedent precipit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lag time in the measured hydrograph and direct runoff ratio, which are especially in the upstream watershed having the outlet as $2^{nd}$ Dongsan bridge of Han stream, Jeju, based upon several typhoon events such as Khanun, Bolaven, Tembin, Sanba as well as a specific heavy rainfall event in August 23, 2012. As results, considering that the lag time changed a bit over the rainfall events, the averaged lag time 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was around 1.5 hour, but it became increased with antecedent precipitation. Though the direct run-off ratio showed similar percentages (i.e., 23%)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it was substantially increased up to around 45% when antecedent precipitation existed. In addition, the direct run-off ration 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was also very high (43.8%), especially when there was extremely heavy rainfall event in the more than five hundreds return period such as typhoon Sanba.

논의 배수물꼬의 유량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Outlet Drain Discharge from Paddy Field)

  • 최진규;김현영;손재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4-142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rain runoff characteristics from one paddy field,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od discharge and unit drainage water for drainage improvement and farmland consolidation. For this purpose, under the assumption that drain discharge from paddy field was similar to outflow of reservoir, runoff model based on storage equa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field, and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measured discharge at weir point. To estimate effective storage volume of paddy field with water depth, 4 regression formula were examined such as linear, exponential, power, and combined. From the observed runoff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o be 3.3~16.3${\ell}$/sec in weir discharge, 57.2~98% in runoff ratio, and relative error of simulated result was 3.0~39.4%, 8.5 ~56.0 % for peak flow and runoff ratio, respectively. Curve number by SCS method was calculated as mean value of 96.4 using measured rainfall and runoff data, it was considered relatively high because paddy field has generally flooding depth contrary to the upland watershed area.

  • PDF

유역특성 변화에 따른 도시유출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분석(II) -모형의 검정 및 적용- (The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of Urban Runoff Models due to Variations of Basin Characteristics (II) - Model Calibration and Application -)

  • 서규우;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53-26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크기와 형상 및 도시화 정도가 다른 동수천유역과 무심천의 청주 시험유역, 두 곳을 대상으로 ILLUDAS 모형과 SWMM 모형을 적용한 유출특성을 바탕으로 각 매개변수의 민간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총 유출량비는 선정 매개변수 대부분 강우지속기간과 유역면적크기에 따라서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우의 시간적 분포형변화에는 관계성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첨두유출량비는 ILLUDAS 모형에서는 침투능과 매개변수 모두 일정한 관계성을 갖고 선형변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출민감도비는 1 이하의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첨두유출량보다 총유출량에 대한 민감도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SWMM 모형의 조도계수 유출민감도비는 거의 1의 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용모형에서 선정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해 유역면적크기별, 60,120,180분 강우지속기간별과 Huff의 4분위형별로 총유출량비, 첨두유출량비, 유출민감도비를 산정하여 도시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민감도비율 결과를 표로 제시하였다.

  • PDF

목감천 유역 내 투수성포장과 빗물저류조의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설치 우선 순위 결정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permeable pavement and rain barrel in Mokgam stream basin and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ies)

  • 채승택;정은성;박인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05-91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목감천 유역에서 투수성포장(PP)과 빗물저류조(RB)의 설치에 의한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유역 내 설치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PP와 RB의 설치를 통한 최대 유출 저감 성능 도출을 위해 최적 설계인자를 결정했고, 최적 설계인자를 반영한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비교했다. 유출량의 시계열 변화로부터 첨두유출량 발생 전에는 PP가, 첨두유출량 발생 후에는 RB가 유출량 저감에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설치에 따른 소유역 별 총 유출량, 첨두유출량 저감 성능을 비교한 결과, PP의 경우 유역면적이 큰 소유역에서 RB보다 더 높은 우수 유출저감 성능을 나타냈고 RB는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더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결과를 통해 목감천유역 내 두 시설의 설치 우선 순위를 결정했다. 그 결과, PP와 RB 모두 유역면적,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소유역에서 높은 우선 순위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순위와 유역특성 간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상위 25%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나타낸 소유역에서는 불투수면적외에도 유역의 형상 인자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도심 지역에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우선 순위 결정 시 불투수면적 비율과 함께 유역의 형상 인자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 - (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Catchment in Eoseungsaeng-oreum, Jeju Island)

  • 김태호;안중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65
    • /
    • 2008
  • 한라산 어승생오름에서 수문 관측을 실시하여 제주도 스코리아콘 소유역의 유출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유역은 면적이 5.1ha이며, 식생은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실험 유역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기저 유출은 4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10월 이후에 다시 감소하였다. 강우량이 현저하게 작거나 선행 강우가 없는 일부 강우 이벤트를 제외하면 강우 발생시에는 대부분 유출의 피크가 출현하였다. 또한 하이드로그래프의 상승 곡선과 하강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섬광적인 유출 특성을 보이며, 지체 시간도 매우 짧아 평균 35.8분에 불과하다. 연속 강우량이 증가하면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도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크지 않고 최대 유출률도 24.7%에 불과하다. 또한 68.3%의 강우 이벤트에서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은 1%를 넘지 못할 만큼 총강우량에 대하여 빠른 유출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비교적 지속 시간이 긴 강우 이벤트에서는 측방침투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 완만한 2차 피크도 출현하였다. 이런 유출 특성에는 실험 유역의 국지적인 불투수층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