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ate of rooting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1초

주목삽수(揷穗)의 모수령(母樹齡) 및 아조형태(芽條形態)가 발근(發根)과 묘형(苗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tet Age and Types of Cuttings on Rooting, Cyclophysis and Topophysis of Rooted Cuttings in Taxus cuspidata S. et Z)

  • 구관효;이강영;윤기식;권영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59-366
    • /
    • 1990
  • 주목의 삽목증식(揷木增殖)에서 모수령(母樹齡) 및 삽수(揷穗) 채취(採取) 부위(部位) 아조(芽條) 형태(形態) 그리고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 처리(處理)에 따른 삽목묘(揷木苗)의 발근량(發根量)과 생장특성(生長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Vermiculite와 마사(磨砂)를 1:1 (v/v)로 혼합(混合)하여 Plastic 용기(容器)($60cm{\times}55cm{\times}20cm$)에 채우고 삽수(揷穗) 100개(個)를 삽목(揷木)했으며 삽목(揷木) 당년(當年) 11월중(月中)에 발근율(發根率), 일차근수(一次根數), 뿌리 길이 아조장(芽條長)(Shoot length), 근원직경(根元直徑), 주축아조(主軸芽條)가 수평면(水平面)과 만드는 각도(角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수모수령(揷穗母樹齡)이 5, 10, 20년생(年生)으로 증가(增加)할수록 발근율(發根率)은 85.7%, 81.7%, 62.4%로 일차근수(一次根數)는 5.3개(個), 3.7개(個), 2.9개(個)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1%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삽수채취부위(揷穗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形態)에 따른 발근율(發根率)은 측아조(側芽條)가 정아조(頂芽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3. 발근(發根)은 IBA 처리구(處理區)가 평균발근율(發根發根率) 78.6%, 일차근수(一次根數) 4.7개(個)로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74.6%와 3.3개(個)보다 증가(增加)하여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4. 모수령(母樹齡)에 따른 사향성생장(斜向性生長)을 나타내는 삽목묘(揷木苗)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만드는 각도(角度)는 모수령(母樹齡)이 5, 10, 20년생(年生)으로 증가(增加)하면 각각(各各) $75.9^{\circ}$, $68.5^{\circ}$, $59.6^{\circ}$로 감소(減少)하여 모수령(母樹齡)이 증가(增加)할 수록 심(甚)한 cyclophysis 현상(現象)을 나타내어 모수령간(母樹齡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5. 삽수(揷穗) 채취부위(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形態)에 따른 topophysis 현상(現象)을 나타내는 삽목(揷木)햄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만드는 각도(角度)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정아조(頂芽條)의 평규각도(平均角度)가 $77.0^{\circ}$로서 상(上), 하(下) 부측아조(部側芽條)의 $65.1^{\circ}$, $61.7^{\circ}$ 보다 높게 나타나서 정아조(頂芽條)가 측아조(側芽條)보다 수직성(垂直性) 생장(生長)을 보였다. 6. 증식(增殖)된 삽목묘(揷木苗)의 주축아조장(主軸芽條長)도 정아조(頂芽條)가 측아조(側芽條)보다 길었으며 모수령(母樹齡)과 삽수(揷穗) 채취부위(採取部位)의 아조(芽條) 형태간(形態間) 아조장(芽條長)은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7. 삽목(揷木)의 주축아조(主軸芽條)가 향(向)하는 각도(角度)와 발근율(發根率), 일차근수(一次根數), 뿌리길이, 근원직경간(根元直徑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나 아조장(芽條長)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아 아조(芽條)의 초기생장(初期生長)이 topophysis 현상(現象)에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수리나무 기내(器內) Axillary Bud의 치상부위(置床部位)에 따른 다경(多莖) 및 발근유도(發根誘道) 효과(効果) (Position Effect of Axillary Buds on Shoot Multiplication and Rooting in Bud Culture of Quercus acutissima)

  • 문흥규;김재헌;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370-375
    • /
    • 1987
  •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1년생(年生) 실생묘(實生苗)의 액아(腋芽)를 배양(培養)하여 얻은 기내(器內) shoot를 상(上) 중(中) 하(下)의 세 부분(部分)으로 나누어 다경유도(多莖誘導), 발근(發根) 및 풋트이식시(移植時) 활착율(活着率)을 조사(調査)하였다. 다경유도(多莖誘導)는 하부(下部)>중간부(中間部)>상부(上部)의 순(順)으로 양호(良好)하였으며 하부(下部)를 배양시(培養時) WPM+$1.0g/{\ell}$ BAP+$0.1g/{\ell}$ NAA에서 배양(培養) 4주후 액아(腋芽) 1개(個)에서 평균(平均) 6.2개(個)의 줄기가 유도(誘導)되었다. 발근율(發根率)은 다경유도(多莖誘導)와 반대현상(反對現象)을 보여 상부(上部)>중간부(中間部)>하부순(下部順)으로 양호(良好)하였다. IBA $0.2mg/{\ell}$를 같이 첨가(添加)할 경우 1/2 MS 배지(培地)가 GD배지(培地)보다 발근(發根)이 빠르게 이루어 졌으며 뿌리도 양호(良好)하였고 상부(上部)줄기의 경우(境遇) 1/2 MS 배지(培地)에서 100%의 발근율(發根率)을 보였으며, sucrose 농도별(濃度別) 1/2 MS+IBA $0.2mg/{\ell}$ 배지(培地)에서의 발근시험결과(發根試驗結果)는 sucrose 3~6% 농도(濃度)에서 양호(良好)하였다. 활착율(活着率)에 있어서는 상부(上部)줄기의 발근묘(發根苗)가 양호(良好)하였고(50%) 중(中) 하부(下部)는 생존(生存)하지 못하였다. 활착(活着)된 묘목(苗木)은 조기낙엽현상(早期落葉現象)이 관찰(觀察)되었으나 10개월(個月)까지 생존(生存)하고 있다. 위의 결과(結果)로 상부(上部)는 발근(發根)시켜 pot묘(苗) 생산(生産)에 이용(利用)하고 중(中) 하부(下部) 줄기는 연속증식(連續增殖)에 이용(利用)함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Efficient In vitro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DC.

  • Hwang, Sung-Jin;Hwang, Bai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6-320
    • /
    • 2003
  • A protocol is described for rapid multiplic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DC. (Rutaceae), an important aromatic and medicinal plant, through shoot-tip explant cultures.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N-6-benzyladenine (BA), N-6-benzylaminopurine (BAP) and thidiazuron (TDZ), in single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aphthaleneacetic$ acid (NAA), was used to determine the rate of shoot proliferation. N-6-benzyladenine (BA) used at 0.5mg/l, was the most effective in initiating multiple shoot proliferation at the rate of 23 microshoots per shoot-tip explants after 40 days of culture. Shoot multiplication increased 1.2-fold in each successive subculture. Induction of rooting (98%) was achieved by transferring the shoots to the same basal medium containing 2 mg/l indole-3-butyric acid (IBA). Plantlets went through a hardening phase in a controlled growth chamber, prior to in vivo transfer. These results represented that possible application for the mass production of plantlets through in vitro culture system of Zanthoxylum piperitum DC.

Effects of Auxins end Cytokinins on Callus Induction from Leaf Blade, Petiole, and Stem Segments of in Vitro-grown 'Sheridan' Grape Shoots

  • Seung-Heui kim;Kim, Seo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17-21
    • /
    • 2002
  • To establish an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grape anthocyanin pigments through callus and cell suspension culture, the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auxins and cytokinins on friable callus production were studied. for friable callus production, 2,4-D was superior to other regulators. IAA at 2 mg/L induced callus from stem and petiole while NAA resulted in rooting. Callus induction rate increased with the 2,4-D level, and stem segments were superior to leaf blade or petiole, showing nearly 100% with 1 and 2 mg/L 2,4-D from petiole and stem. Combined treatments of 2,4-D + kinetin and NAA + BA also yielded friable callus from stem segments. In treatments with 1 mg/L 2,4-D + 1 mg/L kinetin and 1 mg/L NAA + 1 mg/L BA, callus induction rate was nearly 100%. The combination effect of 2,4-D and BA on anthocyanin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

고흡수성 수지를 활용한 다공 구조 콘크리트 가능성 연구 (Settlement and Mass Change of the Porous Concrete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 조재현;박재웅;임군수;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11-312
    • /
    • 2023
  • In this study, porous concret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was developed by using superabsorbent polymer (SAP) to provide rooting space for plants. The depth of settlement and mass change according to the substitution and addition rate of SAP were determined by investigating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SAP and the volume change upon saturation. Test results indicated the depth of penetration settlement increased as the substitution rate of SAP increased, but the mass change could not be confirmed as the addition rate of SAP increased. The instability of the specimens due to the excessive volume change of SAP, as well as the osmotic pressur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H concentration, were identified as the cause.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substitution and addition rate of SAP, as well as to reduce the osmotic pressur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H concentration,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vegetation concrete.

  • PDF

시로미의 숙지삽목 증식 및 초기생장 특성 (Hardwood Cutting Propag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

  • 김홍림;김찬수;고석찬;고정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0-536
    • /
    • 2006
  • 본 연구는 한라산의 대표적인 극지성 고산식물인 시로미의 현지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저지대에서 생장특성을 밝히고자 삽목조건 및 초기생육 특성 등을 알아보았다. 숙지삽시 식물호르몬의 처리나 상토의 조건에 따라 발근이나 생장 등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NAA 100 mg/l 또는 500 mg/l를 처리한 경우 생존율, 발근율 및 뿌리의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할 뿐만 아니라 뿌리의 수도 많고 신초생장도 비교적 양호하여 시로미의 삽목증식을 위한 적정한 처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로미 삽목묘를 노지에 옮겨서 키웠을 때에는 2개월 후부터 고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7개월 후에는 26.7%가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차광처리를 하면 고사율이 낮아 $91.1{\sim}94.4%$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광처리가 시로미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에서는 차광처리에 관계없이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95.6{\sim}97.8%$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육장소 및 차광처리별 시로미의 평균 생장량은 노지와 온실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차광처리를 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량을 보였는데 이는 차광처리가 상대습도를 높이고 광량을 낮추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Initiation, proliferation, and improvement of a micropropagation system for mass clonal production of banana through shoot-tip culture

  • Khaskheli, Allah Jurio;Ali, Muharam;Shah, Syad Zakir Hussain;Memon, Zohra Fatima;Awan, Saleem;Khaskheli, Muhammad Ibrahim;Khaskheli, Mohsin Ali;Magsi, Bilqees;Qambrani, Zareen;Khaskheli, Asad Ali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86-92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itiation, proliferation potential, and mass clonal production ability of a micropropagation system for banana through tissue culture. A total of 60 explants were cultured on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BAP and NAA. Banana plants regenerated on MS basal medium (control) without the addition of BAP + NAA showed a significantly (P < 0.05) lower survival rate with no signs of shoots up to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in MSS-XI medium was almost 89%, followed by MSS-IX and MSS-X media, both of which showed performance up to 88%. In contrast, the performance in the MSS-XVI medium was less than 60%, at the less duration of time and highly shoot induction detected at MSS-XIII medium. The maximum number of shoots (4.9) was observed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growth adjuster MSS-XI, followed by the MSS-XII medium (4.5). Surprisingly, the best performance was observed for the MSR-VII medium approximately 16 days after initiation, while the lowest performance was observed with MSR-XI (approximately 31 days). The maximum rooting percentage (98%) was observed in the MSR-V to MSR-VIII media (98%), while the minimum rooting percentage was observed in MSR-XI (approximately 45%).

희귀 수종 시로미의 액아줄기 유도 미세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Tree Species,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 via Axillary Bud Culture)

  • 한무석;박소영;문흥규;강영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68-572
    • /
    • 2010
  • 희귀수종 시로미(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의 기내증식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당년생 신초를 재료로 증식에 미치는 배지염류, 싸이토키닌 효과와 기내발근에 미치는 배지 및 오옥신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액아 마디로부터의 줄기 유도는 WPM 배지가 MS 배지보다 양호한 반응을 나타냈다. WPM 배지의 염류농도에 따른 줄기유도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본배지에서 비교적 건전한 줄기가 유도되었다. 다경 유도에는 zeatin이 BA보다 효과적인 반면에 줄기 생장은 BA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식된 줄기로부터 기내 발근은 1/2MS 배지보다는 WPM 배지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0 mg/L IBA 처리 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발근묘는 인공 배양토에서 4 주후 93% 이상이 활착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희귀종 시로미의 기내배양을 통한 증식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경정배양(莖頂培養) 천궁유묘의 기내(器內)발근과 포장정식기별 근경생육(根莖生育) (In Vitro Rooting of Cnidium offcinale Makino through Shoot Tip Culture and It's Rhizome Growth under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창길;이현숙;정재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109-114
    • /
    • 1997
  • 주요 약용작물중(藥用作物中)의 하나로 울릉도와 영양 등 경북 북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일천궁의 종근생산(種根生産)을 목적으로 경정배양(莖頂培養) 유묘(幼苗)에 있어서 단기간내의 기내발근(器內發根) 배지구명과 포장정식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근경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정배양(莖頂培養)을 통해 생산된 유묘의 효과적인 발근배지(發根培地)는 IBA 1.0 mg/L와 BA 0.05 mg/L를 혼용처리한 것이 배양 30일 후 81%가 발근하여 가장 좋았으며 근수(根數)가 9개 이상인 배양묘를 기외이식하고 75% 차광하에 두었을때 생존율이 67%로 높았다. 포장 정식시기를 4월(月) 20일(日), 5월(月) 5일(日), 6월(月) 10일(日), 7월(月) 5일(日)로 하여 정식하였을 때 5월(月) 5일(日) 정식한 유묘(幼苗)가 생존율(生存率) 72%, 초장 33cm, 줄기수 47개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좋았고, 지하부의 근경생육은 5윌 5일 정수록 근경형성율(根莖形成率)은 높은 편이었으나 근경수(根莖數)와 무게는 다소 적었다.

  • PDF

에케베리아 6품종의 엽삽 시 식물공장시스템 내 LED 파장에 따른 번식 효율 (Propagation Efficiencies at Different LED Light Qualities for Leaf Cutting of Six Echeveria Cultivars in a Plant Factory System)

  • 김성민;김지선;오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3-370
    • /
    • 2018
  • 다육식물인 에케베리아(Echeveria)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번식효율이 품종이나 환경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연중 고품질 묘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이 연구는 밀폐형 식물공장 내에서 LED 파장 조합이 에케베리아 엽삽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주년 생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번식이 어려운 'Afterglow(AG)', 'Berkeley Light(BL)', 'Mason(MS)', 'Subsessilis Light(SL)', 'Cream Tea(CT)', 'Ben Badis(BB)' 등 6품종의 모주로 부터 균일한 잎을 채취하여 실내온도 $24{\pm}2^{\circ}C$, 상대습도 $60{\pm}10%$의 식물공장 내에서 혼합상토에 삽목하였다. 청색(B, 450nm), 녹색(G, 530nm), 적색(R, 660nm), 원적색(FR, 730nm) LED를 이용하여 R10, R8+B2, R5+B5, R7+B2+FR1, R7+B2+G1의 비율로 광질을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PPFD는 $200{\mu}mol{\cdot}m^{-2}{\cdot}s^{-1}$, 광주기는 16/8(명/암) 시간이었다. 그 결과, 번식 효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SL'은 상대적으로 발근과 신초 형성이 쉽게 되었으나, 'AG'는 발근과 뿌리 생장이 잘 되지 않았다. LED 파장 또한 번식효율에 영향을 주었는데, B 비율이 높은 R5+B5, R7+B2+FR1, R7+B2+G1 하에서 신초 형성과 생장이 촉진된 반면, 발근과 뿌리 생장은 억제되었다. 반대로, R 비율이 높은 R10나 R8+B2 하에서는 부정근 형성 및 생장이 촉진된 반면, 신초 형성 및 생장이 억제되었다. 한편, FR은 잎의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번식이 어려운 에케베리아 품종의 엽삽 시 번식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파장별 효과를 활용한 적정파장 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